$\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람 책 참여자의 체험 현상 분석 연구 -경기도교육청의 사람 책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 Study or Analysis of the Phenomenal Experiences with Human Book - Focusing on the Human Book Program at the G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8 no.3, 2017년, pp.153 - 176  

임성관 (휴독서치료연구소,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초록

이 연구는 사람 책의 실제 체험을 통해 겪게 되는 주관적인 경험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헌들을 고찰하고 선행되어진 논문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사람 책 체험의 현상학적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고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로는 경기도 교육청 소속으로 사람 책 활동을 2년 이상 하고 있는 분들 3명으로서, 심층 인터뷰의 내용은 첫째, 사람 책의 필요성, 둘째, 사람 책 활동을 통한 체험, 셋째, 사람 책에 대한 인식의 변화, 넷째, 사람 책 적용의 개선점의 4가지로 분류하여 인터뷰 하였다. 그 결과 사람 책 활동에 참여한 학교 및 독자 수, 사람 책의 숫자는 계속 확장되었고, 더불어 사람 책 활동은 참여 독자들은 물론이고 사람 책 자신에게도 성장의 기회가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or study subjectively explores actual experiences of a human book from a phenomenal viewpoint and is based on considerable amounts of reference literature and the collecting/analyzing of precedent theses data. Selecting specific research samples and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er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람 책의 실제 체험을 통해 겪게 되는 주관적인 경험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 사람 책이 갖고 있는 특성과 내면구조를 분석하여 사람 책 활동의 본질적인 특성과 구조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고 있다.
  • 본 연구는 사람 책의 실제 체험을 통해 겪게 되는 주관적인 경험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규명하면서, 사람 책 활동의 구조와 특성 및 효과를 알아본 뒤 이 활동을 공공도서관 서비스로 실시할 때 참고 및 주의할 점들을 도출해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 그렇다면 국민들에게 두루 접목할 수 있는 새로운 독서 방법이나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본 연구자는 그 방법을 사람 책 활동에서 찾고자 하였다. 사람 책은 평소 서가에 꼽혀있지 않고 목록을 통해 존재한다.
  • 다행히도 국내 도서관 중에는 이미 사람 책 활동을 도입해 운영 중인 곳이 있고, 이벤트 형식으로 실시를 했던 곳도 있다. 하지만 아직 체계가 부족하다 여겨져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도 참여를 하고 있는 경기도교육청의 사람 책 활동을 중심으로 주관적인 경험에 대해 현상학관점에서 규명하면서, 사람 책 활동의 구조와 특성 및 효과를 알아본 뒤 이 활동을 공공도서관 서비스로 실시할 때 참고 및 주의할 점들을 도출해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따라서 이 정도 상황이라면 국민들이 독서를 하고자 했을 때 환경적 여건이 부족하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o, Chan-Sik. 2014. "A Study on the Human Library : The Case of Human Library in Seongbuk-Gu, Seoul."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25(3): 9-28. 

  2. Heo, Jeong-Sook. 2017. "Lend Human Book." Monthly Samtoh, 7: 48-49. 

  3. Kim, Hyun-Jung & Han, Seok-Jin. 2017. "Critical Remarks on Phenomenological Approaches to Dance in South."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63(1): 19-34. 

  4. Kim, Min-Young & Hwang, In-Hye. 2015. "A Study on the Human Library of the Public Libraries : The Case of Human Library In Nowon-Gu, Seoul." Conference of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8: 139-142. 

  5. Lee, Jae-Hyoung. 2016. "A Critical Review of the Living Library and Implications of Reading Education." Journal of the Dongnam Language and Literature, 41: 69-88. 

  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online]. [cited 2017. 9. 10]. 

  7. Nam, Hyo-Jin. 2017. A Study on the Living Library Programs for the Integrated Reading. M.A. thesis. Majoring in Read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ong-A University. 

  8. Park, Na-Won & Oh, Dong-Geun. 2015.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Operations of the Human Library Program of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Conference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 183-191. 

  9. Whang, Hee-Seon. 2014. A Study on Planning Human Library : Focusing on Identity and Research Methodology of Human Library. M.A. thesis. Majoring in Lifelo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Husserl, E. 1913. Ideas Pertaining to a Pure Phenomenology and to a Phenomenological Philosophy, F. Kersten(trans.)(The Hague: Martinus Nijhoff, 1983), p.35. 

  11. Morgan, David L. & Scannell, Alice U. 1998. Planning Focus Groups. New York: SAGE.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