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bility 4.0으로 일컬어지는 교통서비스의 핵심은 유연성 있는 모빌리티 구현이며, 이를 위해 수요-공급을 실시간, 유기적으로 이어줄 수 있는 플랫폼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즉, 교통 정보 혹은 통합 모빌리티를 빅데이터 기반의 표준화 및 상시 업데이트가 가능한 DB로 구축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 체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행 통행을 포함하는 복합환승역사와 이를 기반으로 통행 전주기로 확장하여 분석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복합환승역사를 이용하는 통행자 중심의 통합 모빌리티 분석 체계를 3단계로 구성하여, Data Repository 생성 모듈, 통합 모빌리티 분석 모듈, 공간 정보를 융합한 결과해석 모듈로 정의하였다. 철도 및 광역버스 환승역사(사당, 신도림, 교대, 광화문, 삼성, 강남, 잠실) 7개 역사를 분석 대상 역사로 지정하여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 역사는 통계적 유의성에 근거하여 3개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자료 기반으로 한 통행 전주기 분석과 해석을 통해 보다 다양하고 체계적인 복합환승역사 분석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re of the transportation service, so-called Mobility 4.0 is the flexibility of the entire mobility and its implementation. By doing so, the most essential element is to build a platform to link a supply and a demand simultaneously. In other word, a comprehensive analytical framework is to b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디지털 인프라 기반의 자료 및 수집기술 중심의 통행분석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고 현재 연구의 수준을 우선 정립하고자 한다. 우리나라는 스마트카드 기반의 대중교통 결제방식과 이후 전국호환교통카드 보급을 통해, 대중교통 통행 사슬이 디지털 자료로 수집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자료를 이용하여, 교통 결절점에 해당하는 수도권 주요 복합환승역사를 기종점으로 하거나 경유하는 통행 사슬에 대해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복합환승역사의 특성 및 부여되는 기능을 분석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장에서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3장에서 주요 개념 및 용어 정리와 지표분석 방법을 구체화하였다.
  •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수도권 전체 철도 역사를 기반으로 한 통합모빌리티 분석과 지표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분석 결과의 신뢰성 향상 및 객관화된 해석을 위한 연구의 고도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센서 및 영상 기반의 철도 역사 내 보행동선 솔루션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Data Repository의 내용 및 기능적 구성을 추가하여 보다 정밀한 분석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철도 역사 유형을 분류하고, 공생관계, 경쟁관계 등으로 좀더 상세한 연계성에 대한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말단 통행 (First- and Last Trip)에 대한 정보와 철도 역사별 보행 환승 (역사내 이동시간, 이동 경로, 이동 시설, 동선 중첩으로 인한 혼잡구간 등)에 대한 상세한 관측 자료가 확보된다면, 분석체계는 보다 정교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이동 단계 분석은 통행 전체를 프로파일링 한다는 점에서 통행 사슬과 차별화되며, 역사별로 이동 단계분석, 해당 역사의 이동 단계별 통행시간 분석, 이동 단계 기반 역사유형 분류, 공간 정보와 서브 이동 단계 간 교차분석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동 단계 분석 결과를 대상 역사별로 종합하여 단일화된 수치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철도 역사 시설 투자, 정비 및 관련 노선 조정 등 의사결정을 위한 지표 제시가 본 분석 모듈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본 모듈은 이동 전주기에 있어 가장 문제가 될 만한 요소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추출하고, 이에 따른 문제해결 방법을 도출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복합환승역사 기반 통합 모빌리티 분석은 역사를 이용하는 통행자 관점에서 통행 사슬 유형을 구분하고, 해당 역사를 거치는 통행을 대상으로 지역 간 이동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이용되는 주요 개념과 용어는 다음과 같다.
  • 본 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구축된 Data Repository와 2단계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이동 환승 편의성과 연관된 요인을 해석하고 Missing Data의 수집 및 해석에 대한 연구의 당위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제시된 철도 역사 유형별로 이동 환승 편의성 연계요인 항목과 그 가중치가 달리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논증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역사를 중심으로 1) 분석 대상 역사가 최초 출발지인 통행, 2) 분석 대상 역사가 최종 도착지인 통행, 3) 분석 대상 역사에서 철도-버스 간 환승이 발생하는 통행, 4) 분석 대상 역사에서 철도-철도 간 환승이 발생하는 통행으로 정의한다. 본 단계에서는 안정적인 데이터 구축을 위해서 정형화되고 지속적으로 자료 수집이 가능한 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다.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교통 카드 자료는 개인 식별 자료를 암호화하여, 요금정산에 적합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불필요한 자료는 제거하고 카드ID, 통행ID, 이용자유형, 승·하차 시간, 승·하차 정류장ID, 수단유형, 환승관련 정보 등 본 연구에서 Data Repository 구축에 필요한 정보만을 축약적으로 정리하였다 ([Fig.
  • 본 연구는 통합 모빌리티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로, 통합 모빌리티 분석을 위한 시스템의 개념 및 평가 기법을 체계화하였다. 기존 통행자 분석 연구를 살펴보면, 복합환승역사와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 관점에서 편의성을 평가하는 연구는 미비하였으며, 이를 자료 기반의 과학적이고 객관화된 절차로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중심의 통합 모빌리티 연구에 있어, 기존의 수단 중심 통행 사슬 해석으로부터 탈피하여, 통행 전주기에 보행 환승에 대한 개념을 추가하고자 한다. 이로 인한 불편성을 연구 체계상에 포함하여, 평가 지표를 객관적인 연구의 틀 안에서 논의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여기서는 본 연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이동 환승 및 통합 모빌리티 관련 연구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다양한 연구에서 교통카드 자료로 분석 가능한 버스-버스, 버스-지하철 간의 환승통행에 대해 집중적으로 분석하였으며(Lim et al.
  • 7]을 통해 논리적 설명이 가능하다. 이는 공간 정보를 융합한 결과 해석 모듈에서 보다 구체화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주요거점 분석은 분석 대상 역사를 경유하는 통행의 최초 출발지, 최종 도착지 분석, 대상 역사를 최초 출발지, 최종 도착지로 하는 통행에 대한 관련지역 분석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복합환승센터의 입지 선정에 있어 수도권 전체 혹은 전국적으로 효율적인 교통시설 재원 활용이 가능한 최적의 입지를 선정할 수 있으며, 관련 노선 등의 조정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과의 긴밀한 협조체계 구상이 가능하다는 점이 본 모듈의 핵심적 활용 목적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중심의 통합 모빌리티 연구에 있어, 기존의 수단 중심 통행 사슬 해석으로부터 탈피하여, 통행 전주기에 보행 환승에 대한 개념을 추가하고자 한다. 이로 인한 불편성을 연구 체계상에 포함하여, 평가 지표를 객관적인 연구의 틀 안에서 논의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측면에서 기존 집약적이고 단일화된 정책 평가가 아닌, “이용자 중심”의 다양한 사회적 현상 분석과 문제점 도출, 이용자 맞춤형 솔루션 제공 및 평가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된다(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2016a). 이를 복합환승역사 기반 통합 모빌리티 분석 영역에서 살펴보면,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설명이 가능하며, 1) 현상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지표 분석과 2) 종합적 해석이 가능한 분석 영역 설정으로 요약된다.
  • 분석 결과, 철도 (환승)역사는 토지이용 특성, 통과 서비스 노선으로 인한 연계 거점지역 등 공간 정보와 연계한 통행특성을 유형화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3개의 그룹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1) 타 수단간 환승 비중이 높은 역사, 2) 철도 수단간 환승 비중이 높은 역사, 3) 통행 발생 유입량 자체가 높은 지역에 위치한 역사로 구분된다. 이러한 결과는 철도 역사가 속한 그룹에 따라 통행패턴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동선 체계 및 이동 시설물 설계 운영 유지관리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CL Energy Institute 사가 교통서비스 체계를 분석한 이유는? 영국의 MaaS (Mobility as a Service) 시스템인 Trademark 도입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 UCL (University College London) Energy Institute, 2015)는 이용자의 실제 통행사슬에 근거한 교통서비스 체계를 분석하였으며,Flexible Transportation System (비고정 노선 기반 교통서비스)이 효율적 운영이 가능한 상태 여부를 포함한 다수의 평가기준에 근거하여 검증을 수행하였다. 특히, 목적통행 (Purpose Trip)과 이동 단계(Stage)의 개념을 도입하여, 단일 목적통행이 몇 구간의 이동 단계로 구성되는지 조사하였다(UCL(University College London) Energy Institute, 2015).
기존의 집약적이고 단일화된 정책 평가가 아닌 이용자 중심의 정책 평가로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는 이유는? 최근 10년 사이 스마트폰 등 IT 기기의 보급과 확산을 통해 국제 사회는 빠르게 소프트파워의 시대, 초연결사회로 진화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O2O (Online to Offline)방식의 교통 서비스를 출현시켰다. 이로 인해, 기존 개인교통, 대중교통, 준대중교통으로 구분되던 교통수단의 경계가 모호해짐에 따라, 다양한 수단의 조합을 통해 유연성 있는 통합 모빌리티 구현 및 효율적 인프라 활용이 주요 가치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존 집약적이고 단일화된 정책 평가가 아닌, “이용자 중심”의 다양한 사회적 현상 분석과 문제점 도출, 이용자 맞춤형 솔루션 제공 및 평가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된다(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2016a).
O2O (Online to Offline)방식의 교통 서비스가 출현될 수 있었던 배경은? 최근 10년 사이 스마트폰 등 IT 기기의 보급과 확산을 통해 국제 사회는 빠르게 소프트파워의 시대, 초연결사회로 진화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O2O (Online to Offline)방식의 교통 서비스를 출현시켰다. 이로 인해, 기존 개인교통, 대중교통, 준대중교통으로 구분되던 교통수단의 경계가 모호해짐에 따라, 다양한 수단의 조합을 통해 유연성 있는 통합 모빌리티 구현 및 효율적 인프라 활용이 주요 가치로 대두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aramuta C., Collodel G., Giacomini C., Gruden C., Longo G. and Piccolotto P. (2017), "Survey of detection techiques, mathematical models and simulation software in pedestrian dyanamics," Transporation Research Prcedia, no. 25C, pp.551-567. 

  2. Djavadian S. and Chow J. Y. J. (2017), "An agent-based day-to-day adjustment process for modeling 'Mobility as a Service' with a two-sided flexible transport market,"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Methodological, vol. 104, pp.36-57. 

  3. Higgins C. and Kanaroglou P. (2016), "A latent class method for classifying and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station area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the Toronto region,"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 52, pp.61-72. 

  4. http://citiscope.org/story/2016/why-helsinkis-innovative-demand-bus-service-failed, accessed by July 4, 2017. 

  5. Jeong E., You S., Lee J. and Kim K. (2017),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Estimating Pedestrian OD matrix using Spatial Infoarmation Ingerated Smart Card Data," Proceeding in Journal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6. Kim M. and Lee Y. (2017), "Analysis of User Demand Characteristics of Currently-established Night Bus in Seoul by Using Smart Card Data: Case Sutdy on Gangnam St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vol. 16 no. 1, pp.101-116. 

  7.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2016a), "Seminar: The Change and Preparation of Transportation System facing with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ug-17-2016. 

  8.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2016b), "Technical Develop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Planning & Operation Efficiency". 

  9. Lee M. and Sohn J. (2016), "Estimating Transfer Trips in Seoul Metropolitan Urban Railway using Transportation Card,"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vol. 15 no. 6, pp.36-46. 

  10. Lee M., Sohn J. and Cho C. (2016), "Constructing Transfer Data in Seoul Metropolitan Urban Railway Using Transportation Card,"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vol. 15, no. 4, pp.33-43. 

  11. Lim S., Lee H. and Choo S. (2016),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 Trips and Land Us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vol. 15, no. 2, pp.1-12. 

  12. Lim Y., Kim H., Limanond T. and An S. (2013), "Passenger Transfer Time in the Seoul Metropolitan Intermodal System: Can Smart-Card Data Assist in Evaluating and Improving the Transit System?," ITE Journal, July 2013. 

  13. Olszewki P. and Wibowo S. S. (2005), "Using Equivalent Walking Distance to Assess Pedestrian Accessibility to Transit Stations in Singapor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1927, pp.38-45. 

  14. Park Y. (201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in the Regional Intermodal Transit Center of the Railroad Station Oriented-Concentrated on the Osaka-Station-City in Japan,"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9, no. 2, pp.73-80. 

  15. Tipakornkiat C., Limanond T. and Kim H. (2012), "Determining an influencing area affecting walking speed on footpath: A case study of a footpath in Bangkok, Thailand," Physica A, vol. 391, pp.5453-5464. 

  16. UCL Energy Institute (2015), "Feasibility Study for 'Mobility as a Service' Concept in London,"https://www.ucl.ac.uk/bartlett/energy/case-studies/2015/jun/feasibility-study-mobility-service-concept-london, accessed by July 4,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