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중교통 수단선택과 연계한 복합환승센터 내 보행자 최적경로 산정
Computation of Optimal Path for Pedestrian Reflected on Mode Choice of Public Transportation in Transfer Station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6 no.2, 2007년, pp.45 - 56  

윤상원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ITS 연구실) ,  배상훈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래 사회로 갈수록 대중교통을 연계하기 위한 환승센터의 기능 및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환승센터 내에서 이용자를 대상으로 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도로에서의 차량을 대상으로 한 최적경로에 관한 모형은 많이 제시되고 있는 반면 건물 내에서 보행자를 위한 최적경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합환승센터 내에서 승용차를 이용하는 개인이 지하주차장에서 환승센터 내 대중교통 수단 이용을 위한 승강장이나 상가 시설로 이동하는 최적의 경로를 제시할 수 있는 모형개발을 주요내용으로 하였다. 건물 내 최적경로 모형은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기본으로 하여 거리의 최소비용을 산정하고, 여기에 이동시간, 피로감, 쾌적도와 대기시간 등의 요소를 순위합, 산술합 방법 등을 통해 적용하여 객관성을 부가하였다. 또한 대중교통 수단의 이용자들의 성향이 반영된 Neuro-Fuzzy 모형을 통하여 환승센터 내 환승하는 이용자에게 최적의 교통수단을 제시하고, 그 해당 수단의 승강장까지 최적경로를 제시함으로써 모형의 효율성을 높였다. 마지막으로 가상의 시나리오들를 통하여 개발 모형의 효율성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개발모형을 통했을 경우 그렇지 않을 경우보다, 수직이동 경로차이의 시나리오에서 약 75%, 수평이동 경로차이의 시나리오에서 약 $24.5{\sim}107.7%$ 더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function and scale of the transit center get larger, the efficient guidance system in the transit center is essential for transit users in order to find their efficient routes. Although there are several studies concerning optimal path for the road, but insufficient studies are executed about op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경우 일률적으로 하나의 경로만을 제공한다면 이용자들이 한 곳의 이동수단으로 밀집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최적의 경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알고리즘에서 방문하는 노드까지의 총 소요 비용이 동일한 링크가 여러 개일 경우 링크의 선택을 랜덤화하여 하나의 이동수단에 다수의 사람들이 몰리게 되는 가능성을 제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의 복합환승센터가 건립된 후, 승용차를 이용하는 개인을 대상으로 지하주차장에서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환승센터 내에서 개인의 이동 비용의 산정은 크게 수평이동비용과 수직이동비용으로 나누어 구성하여 보행자 최적경로 모형을 구축하였다.
  • 수평이동비용은 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그 신뢰도를 높였고, 이동수단을 이용한 수직거리비용은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 수직 이동 평가함수를 통해 객관화시켰다. 또한 환승객에 대하여, 그들의 목적지만으로 최적의 대중교통수단을 제시하는 대중교통 수단선택 모형을 Neuro-Fuzzy이론을 통하여 구축하여 그들에게는 환승 센터 내 교통수단의 승강장까지의 보행자 최적경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적경로의 산정에 있어 동일 비용의 최적경로는 임의로 하나를 제시함으로써 개발모형의 가치를 높였다.
  • 또한, 환승센터 내부라는 공간적 기능을 감안하여 환승을 위한 이용자들에게는 그들의 최종 목적지만으로 최적의 대중교통 수단을 제시하고, 그 수단의 승강장까지의 최적경로를 제시하였다. 최적의 대중교통 수단선택을 위해 Neuro-Fuzzy 모형을 비교하여, 첨두시와 비첨두시에 따라 가장 정확한 모형을 각각 제시하였다.
  • 보행자 최적경로 모형은 복합환승센터 내에서 보행자가 이동 시, 소요되는 비용을 수평 이동 비용과 수직 이동 비용으로 나누어서 그 합이 최소가 되는 경로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복합환승센터 내 승용차를 소유한 개인을 대상으로 지하주차장에서 해당 목적지까지 거리, 시간과 같은 객관적인 지표 외에 이동수단 이용 시 느끼는 피로도, 쾌적함, 선호도와 같은 주관적 지표를 반영하는 보행자 최적경로 탐색모형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수평이동비용은 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그 신뢰도를 높였고, 이동수단을 이용한 수직거리비용은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 수직 이동 평가함수를 통해 객관화시켰다.
  •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이동수단과 유사한 거리에 있는 출발점(12블록 1번 주차공간)에서 서로 다른 층으로 이동시 나타나는 최적 경로와 그 이용수단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비 첨두시 노포동 환승센터에서 화명동까지의 이동할 경우, 대중교통 수단선택 모형을 통한 최적의 대중교통 수단은 <그림 8>의 결과처럼 0.
  • 본 연구에서는 환승센터의 기능을 극대화시키고자 환승객들이 목적지를 제시하였을 때, 환승센터에서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교통수단을 제시하는 Neuro-Fuzzy모형을 구축하였다. [6] 택시의 경우는 이용자들의 상황이나 경제적 능력에 따라 이용 횟수의 차이가 있으므로, 경쟁이 되는 교통수단으로 지하철과 버스로 한정하였다.
  • 설문조사는 건물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 시, 각각의 이동수단들에 대한 소요시간 및 Human Factors 를 수직이동비용함수를 통하여 객관화하여 최적 경로모형에 반영하고자 실시되었다. 설문대상은 <표 1> 에서 나타나듯이 실제 복합환승센터의 이용자들의 비율을 성별, 연령대별로 반영하여 200명에게 실시하였다.
  • 설문조사는 목적지에 따라 고려항목이 변할 때, 버스와 지하철 중 어떠한 교통수단을 선택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한 Neuro-Fuzzy모형의 구축을 위하여 행해졌다. 부산시 노포동 환승센터를 출발지로 하여 지하철/버스가 운용되고 있는 부산시내 25개 대상지와 가상의 25개 대상지에 따른 소요시간, 요금, 대기시간, 환승시간 그리고 도보시간이 다양하게 주어졌을 때, 개개인 선호 교통수단(지하철 1, 버스 0)을 첨두시와 비첨두시로 나누어<그림 2>와 같이 조사하였다.
  • 수직이동비용함수는 정성적 요소인 Human Factors와 정량적 요소인 소요시간, 거리에 대한 상대적 비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모든 항목들의 비용을 거리비용이라는 비용척도로 환산하여 나타내기 위해 작성되었다. 거리비용으로 통일하는 상대적 가중치 결정에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순위의 합을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순위합 방법이 사용되었다.
  • 여기서 해당 버스 승강장이 지상 1, 2층에 수평으로 유사한 위치에 존재한다면 층수에 따라 이동수단과 최적경로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았다. 수행 결과 <표 6>과<그림 9>처럼 층 별로 각각 다른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하는 것이 최적경로임으로 나타났다.
  • 이는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경로 상에 포함된 링크의 통행비용의 총 합을 최소화하는 최단 경로를 찾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가설 설정

  • 소요시간의 경우는 실제 속도의 역수 값으로 나타내며 가장 느린 이동수단인 계단을 10으로 가정하여 상대적인 소요시간 비용을 구하였다. 모든 값은 항목에 상관없이 비용의 개념으로 환산하여, 그 값이 작을수록 사람들이 긍정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 거리비용으로 통일하는 상대적 가중치 결정에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순위의 합을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순위합 방법이 사용되었다. 순위합 방법을 통한 가중치 부여는 식 (1)과 같이 총 이동비용에서 고려되는 5개 항목 중 거리의 중요도를 1로 가정하고, 거리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각 요소별로 구성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