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합환승센터 통합운영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Integrated Operation & Management System for Intermodal Connectivity Center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0 no.4, 2011년, pp.24 - 35  

김성은 (글로벌녹색융합연구본부, 서울과학기술대학 철도전문대학원) ,  임정실 (한국교통연구원 글로벌녹색융합연구본부) ,  문영준 (한국교통연구원 글로벌녹색융합연구본부) ,  오재학 (한국교통연구원 글로벌녹색융합연구본부) ,  이원영 (서울과학기술대학 철도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정부에서는 녹색성장 패러다임에 따른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 변환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통연계 환승 체계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대규모 복합환승센터 구축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운영 중인 김포공항, 사당역, 광명역 등 중소규모의 환승센터 이용자들의 설문결과 밀집된 시설 및 혼재된 교통수단으로 인해 대중교통 환승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구축될 대규모 복합환승센터의 경우 다양한 대중교통의 연계와 여러가지 상업 및 문화 시설의 복합화로 인해 이용자들에게 좀 더 명확하고 효율적인 정보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급속한 IT기술의 발달로 실내외 위치측위 및 모바일 기반 정보제공 등의 기술은 이용자들이 원하는 여러 가지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복합환승센터에서 교통수단과 연계환승시설을 통합하여 개인별 맞춤형 정보화 수준으로는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환승센터의 대규모 공간적 범위에서 이용자들에게 환승과 관련된 정보를 위치기반 시설정보, 경로안내 등과 융합하여 맞춤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운영시스템의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환승센터 이용현황과 정보제공서비스를 분석한 후 복합환승센터의 통합운영시스템 구축을 위한 서비스정의, 서브시스템 도출 및 관련 기술을 정의하고 이를 김포공항 국내선 테스트베드에 적용한 예를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monstrates a methodology of integrated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intermodal connectivity center (ICC), which is planning to be build up as a large scale public transit facilities for green growth strategy by the national government. The ICC needs to be capable of providing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 기반시설에 최신 IT기술을 접목하여 이용자 중심의 정보체계 구축이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통관련 산업의 지능화 및 첨단화를 확산시키는데 그 의의를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한 이용자 요구사항 분석과 연계환승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복합환승센터 정보체계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시스템 구축방안과 정보 및 서비스 제공방안 그리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통합운영센터 구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복합환승센터 중 항공과의 환승이 이루어지는 김포공항, 고속철도와의 환승이 이루어지는 광명역, 도시교통 중 지하철과 환승이 이루어지는 사당역을 대상으로 환승센터별 전반에 대한 인식과 복합환승센터 정보제공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요구사항분석 뿐만 아니라 국가 ITS 아키텍처에서 제시하는 서브시스템을커스터마이징하여 복합환승센터 통합운영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이용자 측면의 서비스를 도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를 이용자들의 서비스 측면에서 재정리하여 복합환승센터 이용에 따른 편의지원, 안진지원 및 통행지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운영자 측면의 서비스 내용을 관리지원으로 제시할 수 있다.
  • 현재 운영되고 있는 환승센터에 대한 인식태도와 모바일 등으로 환승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개별환승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 그리고 그 외 환승센터에 대한 인식을 분석할 수 있는 내용으로 조사지를 구성하였다. 이 중 본 논문에서는 환승지별 이용실태분석과 개별환승 정보 서비스에 대한 인식태도를 중점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합환승센터의 통합운영시스템 서비스 구축을 위해 국내외 환승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복합환승센터라는 공간에서 필요한 교통연계환승서비스를 도출하였다.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용자 요구사항을 도출하였으며, 복합환승센터 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 조사도 병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합환승센터란? 복합환승센터 (Intermodal Connectivity Center ; ICC)는 환승센터의 상위의 개념으로 공항, 고속철도역 등의 지역간 교통수단과 버스, 지하철 등 지역 교통수단과 환승주차장이 연계되고 백화점, 영화관 등의 복합몰과 사무시설 등으로 구성되어 교통․상업․업무․문화가 믹스되어 있는 대표적인 결절점으로 정의할 수 있다[1].
복합환승센터의 기능강화 및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복합환승센터의 기능강화 및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연계시설의 배치, 교통수단의 적절한 배차간격과 이와 관련된 연계환승 정보가 이용자에게 끊김 없이 제공되는 정보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운영 중인 환승센터는 각 수단별 환승시설의 운영주체가 상이하여 교통수단 또는 부대서비스별로 영역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현재 운영 중인 환승센터의 정보 제공 방법의 단점은? 하지만 현재 운영 중인 환승센터는 각 수단별 환승시설의 운영주체가 상이하여 교통수단 또는 부대서비스별로 영역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정보 제공방법 또한 타 수단의 연계 정보는 내부시설에 대한 상세한 정보 없이 연계수단의 타는 곳 방향 정보(화살표) 등을 주로 안내판에 의존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이 정보들도 환승지점별로 제공되는 수준이 상이하여 이용자들의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김성은 외 3명, "IT 융합기술 기반의 복합환승센터 정보체계 구축방안에 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61회 학술발표회, pp.1116-1121, 2009. 5. 

  2.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연계 및 환승시스템 기술개발(2차년도) 중간보고서," 2008. 9. 

  3. TAGO http://www.tago.go.kr/ 

  4. 수도권대중교통정보 http://www.algoga.org/ 

  5.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연계 및 환승시스템 기술개발(4차년도) 중간보고서," 2010. 6. 

  6. Sung-Eun Kim and Young-Jun Moon, "Intelligent Green Travel Service (I-GTS) based on Context Awareness Intermodal Connectivity," The 17th ITS World Congress, Oct.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