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광주·전남에 거주하는 일부 남성의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식행동 특성 및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의 효과분석 연구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dietary behavior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for sodium reduction according to the stages of behavioral change in sodium reduction of male adult subjects in Gwangju·Jeonnam region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5, 2017년, pp.472 - 482  

허영란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및 생활과학연구소) ,  오현영 (동신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  노희경 (동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 남성 200명을 대상으로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식행동 특성 및 영양교육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행동 유지단계 대상자의 연령은 고려전단계와 고려 준비단계 대상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운동과 외식의 빈도 및 짠 음식의 선호도에서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고나트륨 함유 식품의 섭취빈도는 우동, 라면 등 국물음식과 순대의 섭취에서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 변화단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식행동 점수는 행동 유지 대상자가 고려전, 고려 준비 대상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에 의해 고려전단계와 고려 준비단계의 식행동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섭취빈도 관련 식행동 점수에서 행동 유지 대상자는 고려전, 고려 준비 대상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영양교육에 의한 개선 효과는 없었다. 전체 대상자의 나트륨 관련 영양 지식은 나트륨 저감화 영양 교육 후 정답률이 모든 행동단계 대상자에서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대상자들의 행동단계가 고려전단계는 큰 폭으로 감소하고, 행동 유지단계는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나트륨 저감화를 실천하는 대상자들에 비해 고려전, 고려 준비단계 대상자들은 식행동 및 영양지식이 바람직하지 않은 성향이었으나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에 의해 식행동과 영양지식이 개선되었다. 본 연구는 단 1회의 나트륨 저감화 단기 교육에 의한 평가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영양교육의 효과를 다양하게 분석하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dietary behavior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ages of behavioral changes in sodium reduction of healthy male adults (20~69 years) in Gwangju Chonnam Regions.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00 male adults. Results: A significantly 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대에서 60대의 남성을 대상으로 나트륨 저감화 행동단계를 조사하여 나트륨 관련 식행동을 분석하고, 나트륨 저감화 교육의 효과를 비교하여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트륨이란? 나트륨은 체내 항상성 유지, 신경자극 전달 등의 역할을 하는 필수물질이며, 성인의 나트륨 최소 필요량은 1일 500 mg이다.1,2 나트륨은 소금 뿐 아니라 거의 모든 식품에 함유되어 있어 부족증은 매우 드물며, 생리적 필요량보다 더 많은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다.
나트륨의 과다 섭취가 불러오는 문제점은? 1,2 나트륨은 소금 뿐 아니라 거의 모든 식품에 함유되어 있어 부족증은 매우 드물며, 생리적 필요량보다 더 많은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다.3-5 나트륨의 과다 섭취는 심혈관 질환, 골다공증, 위암, 신장질환의 원인이 되는데,6,7 한국인들이 일상적으로 섭치하는 김치, 젓갈류, 장류 등이고 나트륨 식품이며, 인스턴트식품의 소비와 외식의 증가에 의해 나트륨 섭취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8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1일 소금 섭취량을 나트륨 2,000 mg에 해당하는 5 g으로 권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12세에서 49세까지의 나트륨 1일 충분섭취량을 1,500 mg으로 설정하고 있으나,9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한국인 남성의 1일 섭취량은 4,557.
나트륨에 대한 바람직한 식습관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 추진하는 사업은? 2010년 이후 우리나라는 식품의약품안전처를 중심으로 나트륨 섭취 저감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교육콘텐츠를 개발하고, 대국민 캠페인 등을 추진하고 있다. 나트륨 섭취 저감화를 위한 영양교육의 선행연구는 고혈압환자,15,16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보고가 있으며,17 나트륨 섭취실태 조사18와 영양교육 사례연구19,20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Jeong YS, Lim HJ, Kim SB, Kim HJ, Son SM. Blood pressure and dietary relate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igh sodium intake assessed with 24-hour urine analysis for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6): 537-549. 

  2. Choi HM. Nutrition. Seoul: Kyomunsa; 2000. 

  3. Lee O, Chung Y, Moon J. Analysis of Na and Cl contents in children's favorite foods. Korean J Nutr 2010; 43(5): 524-532. 

  4. Song DY, Park JE, Shim JE, Lee JE. Trends in the major dish groups and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0. Korean J Nutr 2013; 46(1): 72-85. 

  5. Son SM, Huh GY, Lee H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and short DFQ using Na index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5): 677-692. 

  6. Lee K. Use of salimeters and sodium reduction education in school foodservice in the Gyeonggi area. J Korean Diet Assoc 2013; 19(2): 173-181. 

  7. Ahn S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o reduce sodium intake for consumers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tage of behavior change model [dissertation]. Bucheon: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3. 

  8. Hong SM, Lee JH, Kim HK, Yu RN, Seo JH, Huh EJ, Cho SS, Yang J. Study on sodium reduction: 'healthy restaurant for sodium reduction'. J Korean Diet Assoc 2014; 20(3): 174-182.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2014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port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cited 2015 Dec 1].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11. Son SM, Park YS, Lim HJ, Kim SB, Jeong YS.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5): 545-558. 

  12. Shin EK, Lee HJ, Lee JJ, Ann MY, Son SM, Lee YK. Estimation of sodium intake of adult female by 24-hour urine analysis, dietary record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55). Korean J Nutr 2010; 43(1): 79-85. 

  13. Kim HH, Lee YK. Analysis of presumed sodium intake of office workers using 24-hour urine analysis and correlation matrix between variables. Korean J Nutr 2013; 46(1): 26-33. 

  14. Contento I, Balch GI, Bronner YL, Lytle LA, Maloney SK, Olson CM, Swadener SS.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and implications for nutrition education policy, programs, and research: a review of research. J Nutr Educ 1995; 27(6): 277-418. 

  15. Jung EJ, Kwon JS, Ahn SH, Son SM. Blood pressure, sodium intake and dietary behavior changes by session attendance on salt reduc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hypertensive adults in a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6): 626-643. 

  16. Jung EJ, Son SM, Kwon JS. The effect of sodium reduction education program of a public health center on the blood pressure, blood biochemical profile and sodium intake of hypertensive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6): 752-771. 

  17. Jung YY, Shin EK, Lee HJ, Lee NH, Chun BY, Ann MY, Lee YK.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sodium redu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6): 746-755. 

  18. Lee HJ, Lee CH, Lee KS, Jung YJ, Ha SH, Jung YY, Kim DS. Survey on sodium contents in meals of school foodservice and sodium intakes of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buk-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1): 85-91. 

  19. Kim HH, Shin EK, Lee HJ, Lee NH, Chun BY, Ahn MY, Lee YK.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salt reduction program for employees. Korean J Nutr 2009; 42(4): 350-357. 

  20. Lee SL.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improving dietary attitudes, food habits and food frequency: female in twenties shift work in Gyeonggi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1):55-64. 

  21. Ahn SH, Kwon JS, Kim K, Yoon JS, Kang BW, Kim JW, Heo S, Cho HY, Kim HK.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practicability of guidelines for reducing sodium intake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in housewiv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6):724-736. 

  22. Ahn Y, Kim KW, Kim K, Pyun J, Yeo I, Nam K. Nutrition knowledge, eating attitudes, nutrition behavior, self-efficacy of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employees by stages of behavioral change in reducing sodium intake. J Nutr Health 2015; 48(5): 429-440. 

  23. Park SY, Lee KA. Study on the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model for salt-related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buk-do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014; 30(6): 687-694. 

  24. Jang JY, Kim MJ, Han JS. A study on food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derly who intake high sodi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38(10): 1362-1372. 

  25. Son HJ. A Study on sodium intake and related dietary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dissertation]. Incheon: Inha University; 2014. 

  26. Rhie SG, Park HA, Jung EH.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dietary behavior, nutrition knowledge and weight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07; 18(3):469-480. 

  27. Hwang HH, Shin EK, Lee HJ, Hwang TY, Kim YA, Lee YK. Comparison of salty taste assessment, high-salt dietary attitude and high-salt dietary behavior by stage of behavior change among students in Daegu. J Nutr Health 2016; 49(1): 36-42. 

  28. Chang SO. The amount of sodium in the processed foods, the use of sodium information on the nutrition label and the acceptance of sodium reduced ramen i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2006; 39(6): 585-591. 

  29. Lee Y, Park HN. The effectiveness of Na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six month follow-up study.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5): 603-613. 

  30. Yim KS.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female elderly at the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5): 640-652. 

  31. Yon M, Lee Y, Kim D, Lee J, Koh E, Nam E, Shin H, Kang BW, Kim JW, Heo S, Cho HY, Kim CI. Major sources of sodium intake of the Korean population at prepared dish level: based on the KNHANES 2008 &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4):473-487. 

  32. Yu KW, Hwang JH.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low-sodium kimchi prepared with salt replacement. Korean J Food Nutr 2011; 24(4): 753-760. 

  33. Yang IS, Kim HY, Lee HY, Kang YH. Effectiveness of web-base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Nutr 2004; 37(7): 576-584. 

  34. Suh YS, Chung YJ.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to vegetable and fruit intak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re-action stages. Korean J Nutr 2010; 43(6): 597-6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