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16개 시·도의 제조업부문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 및 결정요인 분석
Regional Total Factor Energy Efficiency and its Determinants of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3 no.1, 2017년, pp.3 - 16  

박창수 (숭실대학교 경제학과) ,  서윤석 (숭실대학교 경제학과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에너지 효율성 지표로써 투입물로 에너지뿐만 아니라 노동과 자본 등을 동시에 고려한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을 DEA에 기초하여 2005-2013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 16개 시 도의 제조업 부문에 대하여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 의하면, 단일요소 에너지 효율성과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 간에 차이가 존재하여 두 지표를서로 보완적으로 사용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 지표는 대부분의 시 도들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서울, 광주, 울산, 경북 등은 프런티어에 위치하지만, 강원, 부산, 대구, 인천 등은 상대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널 토빗 모형을 통해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의 결정 요인을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대기업의 생산액 비중이 클수록, 에너지 다소비업종의 생산액 비중이 작을수록, 그리고 전력 사용 비중이 클수록,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zed 16 regional total factor energy efficiency (TFEE) of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 for the period of 2005-2013.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it is necessary to use TFEE as well as partial energy efficiency defined by the ratio of 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16개 시·도로 나누어 사용 가능한 자료들을 이용하여 제조업부문의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을 추정하였다.

가설 설정

  • DEA 방법은 기본적으로 다수 산출물(multiple outputs)-다수 투입물(multiple inputs)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N개로 구성된 각 의사결정단위(decision making unit, DMU)는 K개의 투입물을 이용하여 M개의 산출물을 생산한다고 가정하자. 각 DMU i는 투입물과 산출물의 열벡터 xi와 yi를 갖는다.
  • 본 논문은 규모에 대한 수확 불변을 가정하여 Farrell(1957)에 의해 고안된 투입물 중심(input-oriented)의 거리함수를 이용하여 효율성을 추정하였다. 자본 및 노동과 에너지사용량을 동시에 투입요소로 고려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에너지효율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투입물 중심의 거리함수는 주어진 산출량을 최소의 투입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투입요소의 투입량을 어느 정도 줄여야 하는지를 의미한다.
  • 주 1) 각 시도가 차지하는 GDP 생산 비중이 가중치로 사용됨.
  • 주: 모든 화폐가치는 2010년 불변가격 기준임.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발적 기여공약에서 우리나라는 무엇을 제시하였는가? 또한, 우리나라 정부는 2015년 6월 말 UN 기후변화협약에 최종 제출한 ‘자발적 기여공약(INDCs)’1)에서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치(Business As Usual, BAU) 대비 37%를 감축하는 안을 제시하였으며 2015년 12월에 열린 파리 기후변화협정 당사국총회(COP21)에서 채택되었다.2)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하여 석탄과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의 의존도를 줄여야 하는 에너지원 구성(energy mix)의 변화와 더불어 에너지 절약과 관련한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도 매우 중요하게 다룰 수밖에 없다.
파리 기후변화협정 당사국총회에서 우리나라의 공약이 채택됨에 따라 무엇이 중요하게 되었는가? 또한, 우리나라 정부는 2015년 6월 말 UN 기후변화협약에 최종 제출한 ‘자발적 기여공약(INDCs)’1)에서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치(Business As Usual, BAU) 대비 37%를 감축하는 안을 제시하였으며 2015년 12월에 열린 파리 기후변화협정 당사국총회(COP21)에서 채택되었다.2)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하여 석탄과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의 의존도를 줄여야 하는 에너지원 구성(energy mix)의 변화와 더불어 에너지 절약과 관련한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도 매우 중요하게 다룰 수밖에 없다.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 지표에 의하면 각 지역별 특징은 어떠한가? 추정결과에 의하면, 단일요소 에너지 효율성과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 간에 차이가 존재하여 두 지표를서로 보완적으로 사용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 지표는 대부분의 시 도들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서울, 광주, 울산, 경북 등은 프런티어에 위치하지만, 강원, 부산, 대구, 인천 등은 상대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널 토빗 모형을 통해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의 결정 요인을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대기업의 생산액 비중이 클수록, 에너지 다소비업종의 생산액 비중이 작을수록, 그리고 전력 사용 비중이 클수록, 총요소 에너지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상목, 2015, 효율성 생산성 성과분석, 경기: 법문사. 

  2. 고경완.김대철, 2016, 지역 간 특성에 따른 소매점의 효율성 차이 및 결정요인 분석, 생산성논집, 30(1), pp.75-101. 

  3. 김광욱.황석준, 2015, 제조업 에너지 생산성 분해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24(2), pp.411-433. 

  4. 김의준.최은진.이유진.장재원, 2011,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이용한 지역별 산업구조와 생산성의 연계성 분석, 지역연구, 27(4), pp.65-86. 

  5. 문하나.민대기, 2015, DEA를 활용한 국내 기업의 에너지 효율성 분석, 한국경영과학회지, 32(3), pp.37-54. 

  6. 박재곤.변창욱.정윤선, 2011, 지역별 제조업 투자의 효율성과 효과성 분석, 연구보고서 2011-591, 산업연구원. 

  7. 박창수.유동헌, 2007, 한국 제조업에 대한 에너지절약 투자의 에너지 원단위 개선효과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16(3), pp.485-510. 

  8. 에너지경제연구원, 각년도, 에너지통계연보, 울산: 범신사. 

  9. 에너지경제연구원, 각년도, 지역에너지통계연보, 울산: 범신사. 

  10. 이정동.오동현, 2012, 효율성 분석이론: DEA 자료포락 분석법, 서울 : 지필미디어. 

  11. 이창근.최명섭.김의준, 2009, "우리나라 지역의 총요소 생산성과 결정요인 분석: DEA와 2SLS를 이용하여," 지역연구, 25(3), pp.25-43. 

  12. 조윤기.배규한, 2012, "지역별 제조업 총요소 생산성 변화와 요인분석," GRI 연구논총, 14(1), pp.87-102 

  13. 중소기업 중앙회 중소기업 통계(http://www.kbiz.or.kr). 

  14. 최영준.박현용, 2015, "기후환경변수와 한국의 지역별 총요소생산성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생산성논집, 29(2), pp.121-141. 

  15. 최원철.이종근.이만형, 2013, "자료포락분석(DEA) 기법에 근거한 시.군의 도시공공서비스 공급 효율성과 영향요인 분석," 지역연구, 29(1), pp.49-65. 

  16. 한광호, 2005, "한국 제조업의 총요소 생산성, 효율성 변화와 기술진보: SFA와 DEA에 의한 추정," 한국경제연구, 53(4), pp.119-146. 

  17. 한국은행 경제통계(http://ecos.bok.or.kr). 

  18. Coelli, T.(1996), A Guide to DEAP Version 2.1 : A Data Envelopment Analysis (Computer) Program, Centre for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nalysis, Department of Econometrics, University of New England. Working paper 96/08. 

  19. Farrell, M. J., 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120(3), pp.253-290. 

  20. Honma, S., and Hu, J. L., 2008, Total-factor energy efficiency of regions in Japan, Energy Policy, 36(2), pp.821-833. 

  21. Hu, J. L, and Lio, M.-C., 2012, Total-factor energy efficiency for regions in Taiwan, Energy Sources Part B, 7(3), pp.292-300. 

  22. Hu, J. L. and Wang, S. C., 2006, Total-factor energy efficiency of regions in China, Energy Policy, 34(17), pp.3206-3217. 

  23. Li, M., 2010, Decomposing the change of $CO_2$ emissions in China: a distance function approach, Ecological Economics, 70(1), pp.77-85. 

  24. Mukherjee, K., 2008, Energy use efficiency in the Indian manufacturing sector : An interstate analysis, Energy Policy, 36(2), pp.662-672. 

  25. Patterson, M. G., 1996, What is energy efficiency concepts, indicators, and methodological issues, Energy Policy, 24(5), pp.377-390. 

  26. Roy, J., Sathaye, J., Sanstad, A., Mongia, P., and Schumacher, K., 1999, Productivity trends in India's energy intensive industries, Energy Journal, 20(3), pp.33-61. 

  27. Wang, C., 2007, Decomposing energy efficiency change: a distance function approach, Energy, 32(8), pp.1326-1333. 

  28. Wang, C., 2011, Source of energy productivity growth and its distribution dynamics in China,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33(1), pp.279-292. 

  29. Wang, Z.-H., Zeng, H.-L., Wei, Y.-M. and Zhang, Y.-X., 2012, Regional total factor energy efficiency: An empirical analysis of industrial sector in China, Applied Energy, 97, pp.115-123. 

  30. Xiaoli, Z., Rui, Y. and Qian, M., 2014, China's total factor energy efficiency of provincial industrial sectors, Energy, 65, pp.52-61.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