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 중환자실 환아 달래기시 나타나는 간호사 행위 분석: 기관지폐이형성증 환아 중심으로
Analysis of Nurses' Soothing Behavior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ocused on Babies with Bronchopulmonary Dysplasia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4, 2017년, pp.494 - 504  

이유나 (초당대학교 간호대학) ,  신현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behaviors while soothing newborns with bronchopulmonary dysplasia. Methods: An observational study was used to assess nurses' soothing behavior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12 to March, 2013 using an aud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구체적으로 어떤 달래기 간호행위가 실제로 얼마나,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규명이 달래기 중재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에 앞서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와 환아 간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실제로 수행한 간호사와의 면담을 통해 환아 달래기 시에 실제 간호사들이 사용하는 달래기 행위 방법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위험 신생아의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달래기 행위방법에 대한 교육과 효과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와 환아 간의 일어나는 달래기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달래기 상황에 참여하는 간호사와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 선정기준은 자발적 참여를 원하는 간호사와 보호자가 참여동의를 한 기관지폐이형성증 진단을 받은 미숙아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달래기 행위를 파악하기 위해 비디오 관찰과 면담방법을 이용한서술적인질적연구이다. 촬영의 초기시작은 간호사가 달래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환아에게 다가가는 초기 만남시점을 시작으로 촬영하며 환아의 달래기가 종료된 시점에서 촬영을 마무리하였다.
  • 본 연구는 기관지폐이형성증 환아를 달랠 때, 나타나는 간호사의 달래기 행위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확인된 달래기 행위는 총 5가지의 감각영역으로 구성되는 행위들로 파악되었다.
  •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기관지폐이형성증 환아 달래기 시 그때 실제 일어나는 간호사의 달래기 행위와 간호사가 인지하는 달래기 행위 및 환아 특성에 따르는 달래기 행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관찰과인터뷰 분석을 통해 분석된 달래기 행위는 기관지폐이형성 환아의 안정과 안위도모를 위해 간호사가 제공하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감각자극 형태의 행위이며, 환아의 안정상태와 질환의 중증도 및 나이등의 특성 등을 고려한 일련의 상호작용 과정동안에 이루어지는 간호행위 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달래기 행위와 같이 정확하게 인지되지 못했던 간호행위들을 구체적으로 드러내었고 신생아 간호사들이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간호중재 전략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연구에서 확인된 달래기 간호행위는 실제 임상환경에서 고위험 신생아의 안정화를 위한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관지폐이형성증의 특징은? 고위험 신생아의 출생률이 높아짐에 따라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재원일수 및 인공호흡기 적용기간이 길어지게 되어, 미숙아들의 신경학적 손상이나 기관지폐이형성증과 같은 만성폐질환에 대한 위험이 높아지게 되었다[3]. 특히 기관지폐이형성증은 미숙아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신경학적 발달지연을 유발하는 등 미숙아의 예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3]. 기관지폐이형성증에 노출된 환아는 질환의 특성상 장기간 과도하게 호흡근을 사용함으로써 대부분의 에너지를 호흡노력에 사용하기 때문에 정상 발달 탐구를 위한 에너지가 부족하여 발달하는 것에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다.
기관지폐이형성증 환아를 대상으로 한 통합적인 간호 중재의 사례는? 기관지폐이형성증 환아들은 특히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성장과 발달의 문제가 더 높기 때문에 기관지폐 이형성증 환아들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하고 통합적인 간호 중재들의 제공이 필요하다[8]. 실제 기관지폐이형성증 환아들을 대상으로 음악요법, 노리개 젖꼭지 제공 등과 같은 발달지지와 안정화를 위한 중재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체성감각 발달자극을 통해서 스트레스를 낮추고 안정화를 도모하여 궁극적으로 환아들의 발달에 도움이 되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9].
고위험 신생아의 출생률 증가에 따라 발생한 것은? 이와 함께 결혼 연령의 증가로 첫출산 평균연령이 높아지고 보조 생식술의 확산으로 저체중 출생아나 미숙아와 같은 고위험 신생아 출생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2]. 고위험 신생아의 출생률이 높아짐에 따라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재원일수 및 인공호흡기 적용기간이 길어지게 되어, 미숙아들의 신경학적 손상이나 기관지폐이형성증과 같은 만성폐질환에 대한 위험이 높아지게 되었다[3]. 특히 기관지폐이형성증은 미숙아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신경학적 발달지연을 유발하는 등 미숙아의 예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Population trend survey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7 Jan 1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000 F&vw_cdMT_ZTITLE&list_idA2_6&seqNo&lang_mode 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2. Jeong MS, Yoon SH, Lee YK, Ko SY, Shin SM. A 12-Year retrospective study of survival rates and outcome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in a single center. Neonatal Medicine. 2016;23(1):1-7. https://doi.org/10.5385/nm.2016.23.1.1 

  3. Arnolds M, Myers PJ, Andrews B. Care of the high-risk newbor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Clinical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2016;17(2): 106-112. https://doi.org/10.1016/j.cpem.2016.04.004 

  4. Foster JP, Psaila K, Patterson T. Non-nutritive sucking for increasing physiologic stability and nutrition in preterm infants: A Cochrane review update. Journal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2017;53(52):33. https://doi.org/10.1111/jpc.13494_91 

  5. Hockenberry MJ, Wilson D. WONG's nursing care of infants and children. 9th ed. St. Louis: Elsevier Mosby; 2009. p. 276. 

  6. Ballweg D, Derleth D. Changing the inpatient care experience to support high-risk newborn development.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2009;19(S1): S74-S77. https://doi.org/10.1016/j.paed.2009.05.022 

  7. Altimier L, Kenner C, Damus K. The wee care neuroprotective NICU program (wee care): The effect of a comprehensive developmental care training program on seven neuroprotective core measures for family-centered developmental care of premature neonates.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15;15(1):6-16. https://doi.org/10.1053/j.nainr.2015.01.006 

  8. Mitchell SH. Infants with bronchopulmonary dysplasia: A developmental perspective. Jounal of Pediatric Nursing. 1996;11(3):145-151. https://doi.org/10.1016/S0882-5963(96)80047-9 

  9. Barlow SM, Lee J, Wang J, Oder A, Oh H, Hall S, et al. Effects of oral stimulus frequency spectra on the development of non-nutritive suck in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or chronic lung disease, and preterm infants of diabetic mothers. Journal of Neonatal Nursing. 2014;20(4):178-188. https://doi.org/10.1016/j.jnn.2013.10.005 

  10. Moody C, Callahan TJ, Aldrich H, Gance-Cleveland B, Sables-Baus S. Early initiation of newborn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and assessment program (NIDCAP) reduces length of stay: A quality improvement project.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7;32:59-63. https://doi.org/10.1016/j.pedn.2016.11.001 

  11. Byrne E, Garber J.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2013;33(1):75-110. https://doi.org/10.3109/01942638.2012.750870 

  12. Westrup B. Family-centered developmentally supportive care: The Swedish example. Archives de Pediatrie. 2015; 22(10):1086-1091. https://doi.org/10.1016/j.arcped.2015.07.005 

  13. Golianu B, Krane E, Seybold J, Almgren C, Anand K. Non-pharmacological techniques for pain management in neonates. Seminars in Perinatology. 2007;31(5): 318-322. https://doi.org/10.1053/j.semperi.2007.07.007 

  14. Atkinson NH, Gennis H, Racine NM, Pillai Riddell R. Caregiver emotional availability, caregiver soothing behaviors, and infant pain during immunization. J Pediatr Psychol. 2015;40(10):1105-1114. https://doi.org/10.1093/jpepsy/jsv067 

  15. Braarud HC, Stormark KM. Maternal soothing and infant stress responses: soothing, crying and adrenocortical activity during inoculation.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006;29(1):70-79. https://doi.org/10.1016/j.ineh.2005.08.008 

  16. Vinall J, Pillai Riddell R, Greenberg S. The influence of culture on maternal soothing behaviours and infant pain expression in the immunization context. Pain Research and Management. 2011;16(4):234-238. https://doi.org/10.1155/2011/707615 

  17. Graneheim UH, Lundman B.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Concepts, procedures and measures to achieve trustworthiness. Nurse Education Today. 2004;24(2):105-112. https://doi.org/10.1016/j.nedt.2003.10.001 

  18. Pineda R, Guth R, Herring A, Reynolds L, Oberle S, Smith J. Enhancing sensory experiences for very preterm infants in the NICU: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Perinatology. 2016;37(4):323-332. https://doi.org/10.1038/jp.2016.179 

  19. Elliott MR, Reilly SM, Drummond J, Letourneau N. The effect of different soothing interventions on infant crying and on parent-infant interaction.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002;23(3): 310-328. https://doi.org/10.1002/imhj.10018 

  20. Altimier L, Phillips R. The neonatal integrative developmental care model: Advanced clinical applications of the seven core measures for neuroprotective family-centered developmental care.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16;16(4):230-244. https://doi.org/10.1053/j.nainr.2016.09.030 

  21. Yoon HS, Kim J. Activity-based costing analysis of nursing activities in general hospital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4):449-461.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4.449 

  22. Shin H, White-Traut R. Nurse-child interaction on an inpatient pediatric uni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2(1):56-62. 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j.1365-2648.2005.03564.x/full 

  23. Diesel HJ, Ercole PM. Soothability and growth in preterm infants. Journal of Holistic Nursing. 2011;30(1): 38-47. https://doi.org/10.1177/08980101114178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