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밀폐된 구획실의 체적변화가 최대 열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Volume Change in a Closed Compartment on Maximum Heat Release Rate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1 no.5, 2017년, pp.19 - 27  

윤홍석 (대전대학교 대학원 방재학과) ,  남동군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소방기술연구소) ,  황철홍 (대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밀폐된 구획실 화재에서 화원의 면적 및 위치, 화재성장률, 구획 체적의 변화가 열발생률을 포함한 주요 화재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검토되었다. 이를 위해 닫힌 개구부가 적용된 ISO 9705 화재실을 대상으로 Fire Dynamics Simulator (FDS)를 활용한 화재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주요 결론으로서, 화원의 면적 및 위치의 변화는 최대 열발생률, 총 열량, 상층부의 최대 온도 및 화학종 농도를 포함한 구획 내의 열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화재성장률과 구획 체적의 증가는 최대 열발생률 및 총 열량의 증가를 가져오며, 한계산소농도의 감소 및 최대 CO 농도의 증가를 발생시킨다. 마지막으로 화재성장률과 구획 체적의 함수로 표현된 최대 열발생률의 상관식을 도출하여, 밀폐된 구획실 화재에 대한 화재성장곡선의 적용을 위한 방법론이 제안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changes in area and location of fire source, fire growth rate, and volume of compartment on the major fire characteristics, including heat release rate, in closed compartment fires were examined. To this end, a fire simulation using Fire Dynamics Simulator (FDS) was performed for ISO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밀폐된 구획실에서 화원의 면적 및 위치, 화재성장률, 구획 체적의 변화가 화재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 조건에 따른 최대 열발생률, 총 열량, 상층부의 최대온도, 그리고 O2 및 CO 농도 변화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소방안전에 대한 성능위주설계(Performance-Based Design, PBD)는 어떤것을 고려하여 평가하는가? 국내에서 2011년 이후 시행되고 있는 소방안전에 대한 성능위주설계(Performance-Based Design, PBD)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 구조, 수용인원, 가연물의 종류 및 양 등을 고려하여 공학기반의 화재안전 성능평가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되는 허용피난시간(Available Safe Egress Time, ASET)이 피난시뮬레이션에 의해 예측되는 요구피난시간(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보다 클 때, 건축물이 화재로부터 안전하다는 Timeline 분석이 적용되고 있다.
화재성장률과 구획 체적비의 함수로 표현된 최대 열발생률 상관식을 도출하여 얻는 기대효과는? (4) 밀폐된 구획화재에서 화재성장률과 구획 체적비의 함수로 표현된 최대 열발생률의 상관식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PBD에서 닫힌 개구부가 적용된 밀폐된 구획화재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화재성장곡선 적용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천장 높이가 고정된 다양한 구획 형상 및 체적변화가 최대 열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이 검토될 예정이다.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해 화재로부터 안전하다는 것의 기준은 무엇인가? 국내에서 2011년 이후 시행되고 있는 소방안전에 대한 성능위주설계(Performance-Based Design, PBD)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 구조, 수용인원, 가연물의 종류 및 양 등을 고려하여 공학기반의 화재안전 성능평가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되는 허용피난시간(Available Safe Egress Time, ASET)이 피난시뮬레이션에 의해 예측되는 요구피난시간(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보다 클 때, 건축물이 화재로부터 안전하다는 Timeline 분석이 적용되고 있다.(1) 국내 PBD에서는 화재시뮬레이션을 위하여 대표적인 화재모델인 Fire Dynamics Simulator (FDS)(2)가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때 ASET은 호흡한계선에서의 온도, CO 및 가시도가 인명안전 기준에 도달하는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 Y. Jang and C. H. Hwang, "Revision of the Input Parameters for the Prediction Models of Smoke Detectors Based on the FD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2, pp. 44-54, (2017). 

  2. K. McGrattan, S. Hostikka, R. McDermott, J. Floyd, C. Weinschenk and K. Overholt, "Fire Dynamic Simulator; User's Guide," NIST SP 1019, Sixth Edition, NIST, Gaithersburg, MD (2017). 

  3. J. H. Cho, C. H. Hwang, J. Kim and S. Lee, “Sensitivity Analysis of FDS Results for the Input Uncertainty of Fire Heat Release Ra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1, No. 1, pp. 25-32, (2016). 

  4. S. H. An, S. Y. Mun, I. H. Ryu, J. H. Choi and C. H. Hwang,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Domestic PBD (Performance Based Design) - Focusing on the Fire Scenario and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submitted (2017). 

  5. W. Mell, A. Maranghides, R. McDermott and S. L. Manzello, "Numerical Simulation and Experiments of Burning Douglas Fir Trees," Combustion and Flame, Vol. 156, No. 10, pp. 2023-2041, (2009). 

  6. Y. H. Yoo, O. S. Kweon and H. Y. Kim, "The Real Scale Fire Test for Fire Safety in Apartment Hous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3, No. 5, pp. 57-65, (2009). 

  7. S. C. Kim, "A Study on Fire Characteristics of Solid Combustibles Materials Based on Real Scale Fire Tes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5, No. 5, pp. 62-68, (2011). 

  8. H. J. Kim, I. K. Kwon, O. S. Kweon, H. Y. Kim and S. U. Chae, "The Real Fire Test in Bedroom for the Performance Based Fire Desig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7, No. 6, pp. 32-37, (2013). 

  9. D. G. Nam and C. H. Hwang, "Measurements of the Heat Release Rate and Fire Growth Rate of Combustibles for the Performance-Based Design-Focusing on the Combustibles in Residential and Office Space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2, pp. 29-36, (2017). 

  10. B. Baek, C. B. Oh, E. J. Lee and D. G. Nam, "Application Study of Design Fire Curves for Liquid Pool Fires in a Compartmen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4, pp. 43-51, (2017). 

  11. C. H. Hwang, A. Lock, M. Bundy, E. Johnsson and G. H. Ko, "Effects of Fuel Location and Distribution on Full-scale Underventilated Compartment Fires," Journal of Fire Science, Vol. 29, pp. 21-52, (2011). 

  12. S. Y. Mun, C. H. Park, C. H. Hwang and S. H. Park, "Effects of the Geometry and Location of an Vertical Opening on the Fire Characteristics in the Under-Ventilated Compartment Fire,"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7, No. 3, pp. 20-29, (2013). 

  13. C. H. Hwang, C. H. Park, G. H. Ko and A. Lock, "An Experiment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Global Equivalence Ratio and Fire Characteristics in Full-Scale Compartment Fi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bustion, Vol. 15, No. 3, pp. 32-39, (2010). 

  14. W. G. Weng, W. C. Fan, L. Z. Yang, H. Song, Z. H. Deng, J. Qin and G. X. Liao, "Experimental Study of Back-Draft in a Compartment with Openings of Different Geometries," Combustion and Flame, Vol. 132, pp. 709-714 (2003). 

  15. J. G. Quintiere, W, J. Rinkinen and W. W. Jones, "The Effect of Room Openings on Fire Plume Entrainment," Combus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 26, No. 5-6, pp. 193-201, (1981). 

  16. I. R. Thomas and I. D. Bennetts, "Fires in Enclosures with Single Ventilation Openings-Comparison of Long and Wide Enclosures," Fire Safety Science-Proceedings of the Sixth International Symposium, pp. 941-952 (2000). 

  17. NFSC 501A, "National Fire Safety Code for Design Guidelines for Smoke Control System of Special Evacuation Stairwell and Lobby" (2015). 

  18. U.S. NRC and EPRI, "Nuclear Power Plant Fire Modeling Analysis Guidelines," NUREG-1934 and EPRI 1023259, Finial Report (2012). 

  19. K. McGrattan, J. Floyd, G. Forney, H. Baum and S. Hostikka, "Improved Radiation and Combustion Routines for a Large Eddy Simulation Fire Model," In: Fire Safety Science-Proceedings of the Seventh International Symposium, Worcester, MA, pp. 827-838 (2003). 

  20. C. H. Hwang, C. H. Park, G. H. Ko and A. Lock, “Effects of Ventilation Condition on the Fire Characteristics in Compartment Fires (Part I: Performance Estimation of FD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4, No. 3, pp. 131-138, (2010). 

  21. S. Y. Mun, C. H. Hwang, J. S. Park and K. Do, “Validation of FDS for Predicting the Fire Characteristics in the Multi-Compartments of Nuclear Power Plant (Part II: Underventilated Fire Condi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7, No. 2, pp. 80-88, (2013). 

  22. C. H. Hwang, "Large Eddy Simulation of Turbulent Premixed Flames in a Practical Combustor," Ph. D. Thesis, Inha University, South Korea (2006). 

  23. K. McGrattan, S. Hostikka, R. McDermott, J. Floyd, C. Weinschenk and K. Overholt, "Fire Dynamic Simulator; Technical Reference Guide, Volume 1: Mathematical Model," NIST SP 1018-1, Sixth Edition, NIST, Gaithersburg, MD (2017). 

  24. NFPA,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Use of Auxiliary Protective Signaling Systems for Fire Alarm Service," Standard: NFPA-72B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