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형상의 밀폐된 구획에서 최대 열발생률 예측을 위한 상관식 검토
A Correlation Study for the Prediction of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in Closed-Compartments of Various Configuration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2 no.1, 2018년, pp.16 - 23  

윤홍석 (대전대학교 대학원 방재학과) ,  황철홍 (대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밀폐 구획을 대상으로 내부 체적 및 화재성장률의 변화에 따라 최대 열발생률의 예측이 가능한 상관식이 수치적으로 검토되었다. 구획의 체적은 ISO 9705 화재실의 바닥면 형상을 기준으로 길이 비의 변화를 통해 조절되었으며, 이때 천장 높이는 2.4 m로 고정되었다. 주요 결론으로서, 천장 높이의 변화가 고려된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천장 높이의 변화가 최대 열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이 검토되었다. 또한 밀폐된 구획에서 천장 높이 변화와 관계없이 최대 열발생률을 예측할 수 있는 보다 일반화된 상관식이 제안되었다. 이 상관식은 수치결과와 비교할 때 다양한 화재성장률에 대하여 평균적으로 7%, 그리고 최대 19%의 오차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국내 성능위주설계에 적용된 5개의 대표적인 구획을 대상으로, 제안된 상관식의 적용 가능성이 검토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화재시뮬레이션에서 요구되는 입력정보 뿐만 아니라, 밀폐된 공간에서 플래시오버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최대 열발생률의 예측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 closed-compartment with various configurations, the correlation that can predict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HRR) with the changes in internal volume and fire growth rate was investigated numerically. The volume of the compartment was controlled by varying the length ratio based on the botto...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2)

  1. V. Babrauskas and R. D. Peacock, "Heat Release Rate: The Single Most Important Variable in Fire Hazard", Fire Safety Journal, Vol. 18, pp. 255-272 (1992). 

  2. A. P. Mouritz, Z. Mathys and A. G. Gibson, "Heat Release of Polymer Composites in Fire", Composites: Part A, Vol. 37, pp. 1040-1054 (2006). 

  3. J. H. Cho, C. H. Hwang, J. Kim and S. Lee, "Sensitivity Analysis of FDS Results for the Input Uncertainty of Fire Heat Release Ra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1, No. 1, pp. 25-32 (2016). 

  4. S. H. An, S. Y. Mun, I. H. Ryu, J. H. Choi and C. H. Hwang,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Domestic PBD (Performance Based Design) - Focusing on the Fire Scenario and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2, No. 5, pp. 32-40 (2017). 

  5. Y. H. Yoo, O. S. Kweon and H. Y. Kim, "The Real Scale Fire Test for Fire Safety in Apartment Hous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3, No. 5, pp. 57-65 (2009). 

  6. S. C. Kim, "A Study on Fire Characteristics of Solid Combustibles Materials Based on Real Scale Fire Tes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5, No. 5, pp. 62-68 (2011). 

  7. H. J. Kim, I. K. Kwon, O. S. Kweon, H. Y. Kim and S. U. Chae, "The Real Fire Test in Bedroom for the Performance Based Fire Desig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7, No. 6, pp. 32-37 (2013). 

  8. D. G. Nam and C. H. Hwang, "Measurements of the Heat Release Rate and Fire Growth Rate of Combustibles for the Performance-Based Design - Focusing on the Combustibles in Residential and Office Space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2, pp. 29-36 (2017). 

  9. I. R. Thomas, K. A. Moinuddin and I. D. Bennetts, "The Effect of Quantity and Location on Small Enclosure Fires", Journal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Vol. 17, pp. 85-102 (2007). 

  10. C. H. Hwang, A. Lock, M. Bundy, E. Johnsson and G. H. Ko, "Effects of Fuel Location and Distribution on Full-Scale Underventilated Compartment Fires", Journal of Fire Science, Vol. 29, pp. 21-52 (2011). 

  11. I. R. Thomas and I. D. Bennetts, "Fires in Enclosures with Single Ventilation Openings - Comparison of Long and Wide Enclosures", Fire Safety Science - Proceedings of the Sixth International Symposium, pp. 941-952 (2000). 

  12. I. R. Thomas, K. Moinuddin and I. Bennetts, "Fires Development in a Deep Enclosure," Fire Safety Science -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Symposium,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Fire Safety Science, pp. 1277-1299 (2005). 

  13. C. H. Hwang, C. H. Park, G. H. Ko and A. Lock, "An Experiment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Global Equivalence Ratio and Fire Characteristics in Full-Scale Compartment Fi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bustion, Vol. 15, No. 3, pp. 32-39 (2010). 

  14. S. Y. Mun, C. H. Park, C. H. Hwang and S. H. Park, "Effects of the Geometry and Location of an Vertical Opening on the Fire Characteristics in the Under-ventilated Compartment Fir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7, No. 3, pp. 20-29 (2013). 

  15. H. S. Yun, D. G. Nam and C. H. Hwang, "A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Volume Change in a Closed Compartment on Maximum Heat Release Ra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1, No. 5, pp. 19-27 (2017). 

  16. J. Wahlqvist and P. V. Hees, "Influence of the Built Environment on Design Fires", Case Studies in Fire Safety, Vol. 5, pp. 20-33 (2016). 

  17. J. Liu, J. Wang and R. Yuen, "Experimental Study of the Influence of Varying Ceiling Height on the Heat Release Rate of a Pool Fire", Institute of Physics Conference Series :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Vol. 67, Paper No. 012010 (2017). 

  18. K. McGrattan, S. Hostikka, R. McDermott, J. Floyd, C. Weinschenk and K. Overholt, "Fire Dynamic Simulator; User's Guide", NIST SP 1019, Sixth Edition, NIST, Gaithersburg, MD, p. 24 (2017). 

  19. NFSC 501A, "National Fire Safety Code for Design Guidelines for Smoke Control System of Special Evacuation Stairwell and Lobby", National Fire Agency, p. 61 (2015). 

  20. NFPA-92B, "Smoke Management Systems in Malls, Atria, and Large Spaces", p. 42 (1991). 

  21. U.S. NRC and EPRI,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Selected Fire Models for Nuclear Power Plant Applications, Volume 7: Fire Dynamics Simulator", NUREG-1824 and EPRI 1011999, Final Report, p. 6-4 (2007). 

  22. K. McGrattan, J. Floyd, G. Forney, H. Baum and S. Hostikka, "Improved Radiation and Combustion Routines for a Large Eddy Simulation Fire Model", Fire Safety Science - Proceedings of the Seventh International Symposium, Worcester, MA, pp. 827-838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