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천리안 위성영상(MI)과 Landsat-8 위성영상(OLI, TIRS)을 이용한 화산재 정보 산출: 사쿠라지마 화산의 사례연구
Retrieving Volcanic Ash Information Using COMS Satellite (MI) and Landsat-8 (OLI, TIRS) Satellite Imagery: A Case Study of Sakurajima Volcano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3 no.5 pt.1, 2017년, pp.587 - 598  

최윤호 (기상청 지진화산센터 지진화산연구과) ,  이원진 (기상청 지진화산센터 지진화산연구과) ,  박순천 (기상청 지진화산센터 지진화산연구과) ,  선종선 (기상청 지진화산센터 지진화산연구과) ,  이덕기 (기상청 지진화산센터 지진화산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산재화산쇄설물 중 2 m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작은 미세 암편으로 화산 분화 이후 낙하에 의해 여러 가지 피해를 가져온다. 화산재 피해는 운송업과 생산업 그리고 동 식물 및 인간의 호흡기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화산재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화산재 확산 정보가 중요하며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화산재 관측은 위성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사쿠라지마 화산의 두 번의 분화 사례를 연구하였으며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 위성(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의 기상 탑재체(Meteorological Imager: MI) 영상과 극궤도 위성인 Landsat-8의 Operational Land Imager (OLI), Thermal InfraRed Sensor (TIRS) 영상을 활용하여 화산재 확산 정보를 산출하였다. COMSMI 영상으로부터 화산재 화소를 추출하여 화산재의 확산 방향과 속도를 분석하였으며, Landsat-8 영상에 대하여 그림자 측정법을 적용하여 화산재 높이를 산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산출된 결과를 도쿄 화산재 주의보센터(Volcanic Ash Advisories center: VAAC)와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화산재 확산의 방향은 두 연구에서 모두 유사한 방향으로 산출되었으나 화산재 속도는 화산재주의보센터에서 제공되는 속도에 비해 약 4배 느리게 산출되었다. 또한, 화산재 높이는 화산재 주의보센터 정보에서는 단일 값으로 제공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 확산위치에 따라 다르게 관측됨을 확인하였다. VAAC의 경우 화산 분화의 빠른 대응을 위해 분화구 주변 지역에 대해 대략적 값을 산정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 확산이 중요하기 때문에 실제 화산재 확산이 관측된 다양한 영상으로부터 화산재가 확산된 전체 지역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였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규모 분화가 발생할 경우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화산재 확산 관측이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는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화산재가 확산된 전체 영역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산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lcanic ash is a fine particle smaller than 2 mm in diameters. It falls after the volcanic eruption and causes various damages to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and respiration of living things. Therefore diffusion information of volcanic ash is highly significant for preventing the damage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정지궤도 위성과 극궤도 위성 각각의 특성을 지니는 자료를 활용하여 화산재 정보 생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화산재 확산의 실제적인 정보를 산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 확산 모니터링에 필요한 확산 방향, 확산 속도, 화산재 높이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정지궤도 위성 자료와 극궤도 위성 자료를 사용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이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정지궤도 위성인 COMS-MI의 준 실시간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화산재 속도와 방향을 산출하였으며, 극궤도 위성인 Landsat-8 위성영상의 높은 공간 해상도를 이용하여 화산재 높이 값을 산출하였다.
  • 화산재 높이값은 화산재 확산 예측 모델에 사용되며, 높을수록 화산재가 더 먼 거리까지 확산되는 경향이 있다. 산출된 화산재 높이는 화산재 확산 모델에 이용되어 피해 예측 정보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최고점에 해당하는 값을 화산재 높이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화산재 확산 모델 예측의 정확도 향상 측면에서 화산재 높이변화 정보는 중요한 산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산재가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한 대표적인 예는? 특히, 화산재는 화산인근에만 영향을 주는 화산쇄설류와 다르게 분화 크기와 대기 상태에 따라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아이슬란드 에이야프얄라요쿨 화산의 2010년 4월 분화에서는 화산재가 상공 16 km까지 상승하여 유럽전역을 뒤덮으며 산업 및 교통, 농작물에 막대한 재산피해를 입힌 사례가 있다(Gudmundsson et al., 2010; Stohl et al.
정지궤도 위성의 특징은? 위성의 종류는 궤도에 따라 크게 극궤도와 정지궤도 위성으로 나눌 수 있다. 정지궤도 위성은 고도 36,000 km에서 지구 자전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지구의 1/4 크기에 해당하는 면을 매일 관측할 수 있다. 극궤도 위성은 남극과 북극을 지나가는 위성으로 위성이 한 바퀴 공전하는 동안 지구가 자전하여 전 지구를 관측할 수 있다.
폭발적인 분화를 보이는 화산들이 주로 위치하는 곳은? 맨틀에서 생성된 마그마보다 암석권에서 생성된 마그마가 수분의 함량이 높으며 지하수에 의해 수분이 다량 포함되기도 한다. 따라서 폭발적인 분화를 보이는 화산들은 섭입대 주변과 많은 유량을 가진 대수층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 주변으로는 울릉도, 제주도, 백두산, 일본지역의 화산들이 대표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ckerman, S.A., 1989. Using the radiative temperature difference at 3.7 and 11 ${\mu}m$ to track dust outbreak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27: 129-133. 

  2. Chavez, P.S., 1996. Image-based atmospheric corrections - revisited and improved,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2(9): 1025-1036. 

  3. Dubuisson, P., H. Herbin, F. Minvielle, M. Compiegne, F. Thieuleux, F. Parol, and J. Pelon, 2014. Remote sensing of volcanic ash plumes from thermal infrared: a case study analysis from SEVIRI, MODIS and IASI instruments, Atmospheric Measurement Techniques, 7: 359-371. 

  4. Emili, E., C. Popp, M. Petitta, M. Riffler, S. Wunderle, and M. Zebisch, 2010. PM10 remote sensing from geostationary SEVIRI and polar-orbiting MODIS sensors over the complex terrain of the European Alpine reg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4: 2485-2499. 

  5. Fukushima, H. and M. Toratani, 1997. Asian dust aerosol: Optical effect on satellite ocean color signal,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2: 119-17, 130. 

  6. Gislason, S.R., T. Hassenkam, S. Nedel, N. Bovet, E.S. Eiriksdottir, H.A. Alfredsson, C.P. Hem, Z.I. Balogh, K. Dideriksen, N. Oskarsson, B. Sigfusson, G. Larsen, and S.L.S. Stipp, 2011. Characterization of Eyjafjallajokull volcanic ash particles and a protocol for rapid risk assessment, National Acad Sciences, 108(18): 7307-7312. 

  7. Gudmundsson, M.T., R. Pedersen, K. Vogfjord, B. Thorbjarnardottir, S. Jakobsdottir, and M.J. Roberts, 2010. Eruption of Eyjafjallajokull volcano, Iceland, Earth and Space Science News, 95: 190-191. 

  8. Guffanti, M., T.J. Casadevall and K. Budding, 2010. Encounters of Aircraft with volcanic ash clouds: A compilation of known incidents, 1953-2009,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Data Series 545: 1-12. 

  9. Horwell, C.J. and P.J. Baxter, 2006. The respiratory health hazards of volcanic ash: a review for volcanic risk mitigation, Bulletin of Volcanology, 69: 1-24. 

  10. Iguchi, M., 2013. Magma movement from the deep to shallow Sakurajima volcano as revealed by geophysical observations, Bulletin of the Volcanological Society of Japan, 58: 1-18. 

  11. Ji, L., X. Geng, K. Sun, K. Zhao, and P. Gong, 2015. Target detection method for water mapping using landsat 8 OLI/TIRS imagery, Water, 7(2) 794-817. 

  12. Jin, S., C. Homer, L. Yang, G. Xian, J. Fry, J. Danielson, and P.A. Townsend, 2013. Automated cloud and shadow detection and filling using two-date Landsat imagery in the US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4(5): 1540-1560. 

  13. Kim, K., E.H. Hwang, Y.K. Lee, and C.W. Lee, 2014, Sakurajima volcano eruption detected by GOCI and geomagnetic variation analysi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2): 259-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K.H. and E.S. Jang, 2014. Monitoring of the volcanic ash using satellite observation and trajectory analysis model,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1): 13-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S.K., G.H. Ryu, E.H. Hwang, J.K. Choi, and C.W. Lee, 2014. Predicting the extent of the volcanic ash dispersion using GOCI image and HYSPLIT model,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 303-3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Machida, H., 2002. Volcanoes and tephras in the Japan area, Global Environmental Research, 6: 19-28. 

  17. Omori, F., 1914. The Sakura-jima eruptions and earthquakes I, Bulletin of the Imperial Earthquake Investigation Committe, 8: 5-34. 

  18. Prata, A.J., 1989a. Observations of volcanic ash clouds in the 10-12 ${\mu}m$ window using AVHRR/2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0: 751-761. 

  19. Prata, A.J., 1989b. Infrared radiative transfer calculations for volcanic ash cloud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16: 1293-1296. 

  20. Richards, M.S., S.A. Ackerman, M.J. Pavolonis, W.F. Feltz, and A. Tupper, 2006. Volcanic ash cloud heights using the MODIS CO2-slicing algorithm, 12th Conference on Aviation Range and Aerospace Meteorology, Atlanta, Ga., Jan. 29-Feb. 2, 97. 

  21. Simpson, J.J., T. McIntire, Z. Jin, and J.R. Stitt, 2000. Improved cloud top height retrieval under arbitrary viewing and illumination conditions using AVHRR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2: 95-110. 

  22. Stohl, A., A.J. S. Prata, L. Eckhardt, A. Henne Clarisse, Durant, S., N.I. Kristiansen, A. Minikin, U. Schumann, P. Seibert, K., Stebel, H.E. Thomas, T. Torseth, K., Thorsteinsson, and B. Weinzierl, 2010. Determination of time- and height-resolved volcanic ash emissions and their use for quantitative ash dispersion modeling: the 2010 Eyjafjallajokull eruption,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1: 4333-4351. 

  23. Vanhellemont, Q., G. Neukemans, and K. Ruddick, 2014. Synergy between polar-orbiting and geostationary sensors: Remote sensing of the ocean at high spatial and high temporal resolu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46: 49-62. 

  24. Watson, I.M., V.J. Realmuto, W.I. Rose, A.J. Prata, G.J.S. Bluth, Y. Gu, C.E. Bader, and T. Yu, 2004. Thermal infrared remote sensing of volcanic emissions using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35: 75-89. 

  25. Zaksek, K., M. Hort, J. Zaletelj, and B. Langmann, 2013. Monitoring volcanic ash cloud top height through simultaneous retrieval of optical data from polar orbiting and geostationary statellite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3: 2589-26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