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현지 소비자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세분화에 따른 식행동 연구
A Study on Dietary Behavior of Chinese Consumers Segmented by Dietary Lifestyl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2 no.5, 2017년, pp.383 - 393  

오지은 (이화여자대학교 신산업융합대학) ,  윤혜려 (국립공주대학교 외식상품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의 식생활라이프 스타일 요인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을 구분함으로써 중국소비자들의 식행동의 차별성을 소비자 집단에 따라 세분화 하여 분석하고, 향후 타겟 소비자의 식품과 음식에 대한 속성과 특성 요구를 수용하는 상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음식의 맛과 질을 중요시여기는 미식요인(Gourmet factor), 건강요인(Healthy factor), 편의요인(Convenience factor), 경제요인(Economic factor) 등 4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요인점수에 따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4개 그룹은 차별화된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유형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그룹 1 미식경제군은 20대의 젊은이들의 구성비율이 높고 자취의 비율이 높으며, 외식횟수가 높으며 하루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들은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미식요인과 경제적 요인에 민감한 반면 건강요인과 편의요인에의 민감도가 낮았으며, 식행동에서도 규칙적이며 균형잡힌 식생활에 대한 실천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음식과 식품에 대하여 품질에 있어서 맛을 추구하지만 몸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식생활의 실천은 낮은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룹 2 두루관심군은 30대 구성 비율이 높았고 고학력층과 고소득층이 다른 그룹에 비해 높았다. 식생활라이프 스타일 요인 전반에 대한 추구성향이 타 그룹들에 비해 높아, 다양하고 새로운 음식, 외식과 삶에 대한 즐거움을 즐기는 미식을 추구하고, 건강과 관련되는 웰빙 식재료와 식품에 대한 추구도 높았다. 그러나 경제적인 요인인 쿠폰 활용, 가성비 등을 따지고 상대적으로 편의 식품을 적게 소비하며, 식행동 및 식습관에서도 다른 그룹보다 규칙적이며, 특히 유제품과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가 높고, 균형 잡힌 건강식을 섭취하는 식생활 고관심의 스마트 컨슈머의 성향을 보인다. 그룹 3 건강경제군은 40대 이상의 남성비율과 주부의 구성 비율이 높으며 소득수준이 다른 그룹에 비해 낮은, 가족형의 소비자군을 구성한다. 즉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서도 건강식품, 자연식재료 등에 건강성을 추구하고 식품구매에 있어서 경제적인 가성비를 추구하는 성향을 보이나 식행동 및 식습관 분석 결과 가공식품의 섭취가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그룹 4는 30대 이상,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대학 이상의 교육수준도 다른 그룹에 비해 높았다. 이들은 가격과 편의성보다는 건강과 맛을 추구하는 그룹으로 중국의 중년여성들의 로하스 지향성이 가장 많이 나타나며, 영양지식을 실생활에 직접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인의 식생활은 최근 10년 사이 전통적인 농수산물의 소비에서 간편식이나, 서구식 식사 등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도시거주민 등을 중심으로 웰빙과 건강, 식생활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지고 있다. 미식과 웰빙, 가성비와 간편식 등을 추구하는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유럽 등에서도 보편적인 식행동 등으로 나타나며 따라서 중국인들은 높아진 소득과 더불어 건강과 미식 등을 지향하는 다양한 식생활 행동패턴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유형별 집단으로 구별되며 차별적 특성을 나타내었고, 이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식행동 및 식습관은 유의적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etary lifestyle of local Chinese consumers and to classify dieta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dietary lifestyle factors and dietary behaviors.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or 1 month from 1 January 2017 targeting 300 adult males and females li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3), 중국인 대학생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로하스 성향과 건강식생활 태도(Lee & Ahn 2015) 등으로 국내 거주 중국인들만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들이 대부분으로 중국 현지 소비자들의 식행동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현지소비자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여,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요인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을 구분하고, 중국소비자들의 식습관과 식행동을 면밀히 파악하여, 세분화된중국 소비자들의 특성에 따른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식행동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자료 등은 세분화된 시장에서 타켓 소비자들의 식품과 음식에 대한 속성과 특성 요구를 반영한 상품을 개발하고 수용성을 높이는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의 식생활라이프 스타일 요인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을 구분함으로써 중국소비자들의 식행동의 차별성을 소비자 집단에 따라 세분화 하여 분석하고, 향후 타겟 소비자의 식품과 음식에 대한 속성과 특성 요구를 수용하는 상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중국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식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는 2017년 1월 1일부터 31일까지 1개월간 온라인 전문 설문업체(surveymonkey)를 통해 무작위 추출법으로 20~40대 인터넷 활용이 가능한 중국내 거주하는 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현지소비자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여,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요인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을 구분하고, 중국소비자들의 식습관과 식행동을 면밀히 파악하여, 세분화된중국 소비자들의 특성에 따른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식행동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자료 등은 세분화된 시장에서 타켓 소비자들의 식품과 음식에 대한 속성과 특성 요구를 반영한 상품을 개발하고 수용성을 높이는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서 추출된 음식의 맛과 질을 중요시 여기는 4가지 요인은?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의 식생활라이프 스타일 요인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을 구분함으로써 중국소비자들의 식행동의 차별성을 소비자 집단에 따라 세분화 하여 분석하고, 향후 타겟 소비자의 식품과 음식에 대한 속성과 특성 요구를 수용하는 상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음식의 맛과 질을 중요시여기는 미식요인(Gourmet factor), 건강요인(Healthy factor), 편의요인(Convenience factor), 경제요인(Economic factor) 등 4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요인점수에 따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4개 그룹은 차별화된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유형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그룹 1 미식경제군은 20대의 젊은이들의 구성비율이 높고 자취의 비율이 높으며, 외식횟수가 높으며 하루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중국인의 식생활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이들은 가격과 편의성보다는 건강과 맛을 추구하는 그룹으로 중국의 중년여성들의 로하스 지향성이 가장 많이 나타나며, 영양지식을 실생활에 직접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인의 식생활은 최근 10년 사이 전통적인 농수산물의 소비에서 간편식이나, 서구식 식사 등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도시거주민 등을 중심으로 웰빙과 건강, 식생활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지고 있다. 미식과 웰빙, 가성비와 간편식 등을 추구하는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유럽 등에서도 보편적인 식행동 등으로 나타나며 따라서 중국인들은 높아진 소득과 더불어 건강과 미식 등을 지향하는 다양한 식생활 행동패턴이 조사되었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였을 때 건강경제군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특징은? 그룹 3 건강경제군은 40대 이상의 남성비율과 주부의 구성 비율이 높으며 소득수준이 다른 그룹에 비해 낮은, 가족형의 소비자군을 구성한다. 즉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서도 건강식품, 자연식재료 등에 건강성을 추구하고 식품구매에 있어서 경제적인 가성비를 추구하는 성향을 보이나 식행동 및 식습관 분석 결과 가공식품의 섭취가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그룹 4는 30대 이상,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대학 이상의 교육수준도 다른 그룹에 비해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hn JH, Hur WM. 2008. Study on female's food-related lifestyles among the mature, baby boomers, and the generation X. J Mark Stud., 16(4):81-104 

  2. aT Export Information Dept. 2017. Available form: http://www.kati.net [accessed 2017. 08.17] 

  3. Bowman, S. A. 2004. Food shoppers' nutrition attitudes and relationship to dietary and lifestyle practices. Nutr. Res., 25(3):281-293 

  4. Brunso K, Grunert KG. 1995.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crossculturally valid instrument: Food-related lifestyle. Adv. Consumer Res., 22:475-480 

  5. Buckley, M., Cowan, C., McCarthy, M. 2007. The convenience food market in Great Britain: Convenience food lifestyle (CFL) Segments. Appetite, 49(3):600-617 

  6. Choi SW, Ra YS. 2013. Influence of Purchase Motivation and Selection Attributes of HMR on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Lifestyles. Korean J. of Culinary Res., 19(5):296-311 

  7. Choe JS, Ji SM, Paik HY, Hong SM. 2003. A study on theeating habits and dietary consciousness of adults in Urb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7):1132-1146 

  8. Clifford, M. 1992. A taste of Asia. Foreign firms break into regional biscuit market. Far East. Econ. Rev, 155(47):50-1 

  9. Grunert KG, Perrea T, Zhou Y, Huang G, Sorenseon BT, A Krystallis. 2011. Is food-related lifestyle (FRL) able to reveal food consumption patterns in non-Western cultural environments? Its adaptation and application in urban China. Appetite, 56:357-367 

  10. Ha HS. 2016. Influence of Food-related Lifestyle of Chinese Customers on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Ramen-Moderatoring Effects of Food Neophobia and Korean Attitude to Food Safety-, Culinary Science&Hospitality Res., 22(3):92-107 

  11. Hong YH, Lee EH, Lim HS, Chyun JH. 2015. Dietary Habits and the Perception and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 Male Office Workers by Ag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5(2):340-351 

  12. Jang JS. 2017.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Purchase of Convenience Foods according to the Food-related Lifestyle in Chinese Students, Korean J. Food Nutr., 30(1):105-111 

  13. Kang HY, Jo MN. 2015. Key buying factor and improvement point according to HMR use characteristic by college students. J Tour Leisure Res, 27(8):335-356 

  14. Kim JY, Ahn BI. 2015. Effect of Consumers' Dietary Lifestyle on the Consumption Pattern of Processed Foods. Korean J. Food Mark Economics, 32(1):31-53 

  15. Kim JH, Jeon MS, Park DS, Kim SM, Paik JK, Hong WS. 2013. Korean restauran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oodrelated lifestyle -Focused on Japanese and Chinese. Korean J. Food Cook. Sci., 29(5):617-624 

  16. Kim B, Joo N. 2016. Relations of Convenience Food Consumption and Quality of Life by Dietary Style of Chinese Singles, Korean J. Food Nutr., 29(5):746-752 

  17. Kim JH, Jeon MS, Park DS, KIm SM, Paik JK, Hong WS. 2013. Korean Restauran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oodrelated Lifestyle-Focused on Japanese and Chinese, Korean J. Food Cook. Sci., 29(5):617-624 

  18. Kim KH, Kim KM. 2010. A study on chinese consumers' Korean food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food-related lifestlye. Korean J. Food Mark Economics, 27(1):41-62 

  19. Korea Rural Econimic Institute. 2007.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trend of Korean people. Report of research R560, pp 15 

  20. Lee JH, Lim HS. 2010. S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JypHyunJae. Seoul. pp 371 

  21. Lee YJ. 2011. A study of the effects of a mother's LOHAS lifestyle attitude on children's dietary habits, food behavior,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Korean J. Food Cook Sci., 27(4):75-87 

  22. Lee IO. 2012. A study on consumer nutrition attitude and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married women food-related Lifestyle.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eoul, Korea, pp 65-103 

  23. Lee S, Park M. 2012. An analysis on regional differences in the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Chinese urban households. J Korean National Economy, 30(1):87-111 

  24. Lee IO, Na JK. 2014. Effects of Food-related Lifestyle on Consumer Nutrition Attitude and Food Preference-Focused on a Married Woman with Young Children. J. Foodserv. Manag. Soc. of Korea, 17(2):201-227 

  25. Lee YJ, Ahn GJ. 2015.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LOHAS Propensity and Healthy Dietary Life Attitude perceived b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 of Culin. Res., 21(4):101-120 

  26. Noh WH, Ahn SH, Yang LL, Song YW. 2012.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 toward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perceived by Chinese consumers in the context of healthy functional foods. Korean-Chinese Association of Soc. Sci. Stud., 23:179-206 

  27. Park KI. 2011. Expansion of Korean Food Exports to China -Based on the survey of Korean food in Korea. Food Industry March-April, pp 66-79 

  28. Paull J. 2008. Green food in China. J. Bio-Dynamics Tasmania, 91:48-53 

  29. Schulp JA, Cavagnaro E, Lin H. 2017. Key values of Chinese consumers buying sustainable goods: the case of Green Food in Fuzhou. Res. Hospitality Manag., 1(2):65-73 

  30. Shim BS. 2006. Select the Properties of HMR Impact of Spending on the Purchase Frequency and Passengers. Master's degree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pp 65-103 

  31. Sim Y, Kim ND 2012. A study on the LOHAS propensity of Chinese consumer. -Within main cities of the Shanghai (上海), Beijing (北京), Chengdu (成都), Qingdao (靑島)-. Korean J Soc. of Consumer stud., 2012(11):155-159 

  32. Svensson O, Hallberg LR. 2011. Hunting for health,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t J Qualitative Stud Health Wellbeing, 6(2):7137-7141 

  33. Plummer JT. 1974. The concept and application of life style segmentation. J Marketing. 38(Jan.):33-37 

  34. Veeck, A, Yu H, Burns, AC. 2005. Maintaining family identity through meals in post-Mao urban China. Advances in Consumer Res., 32:481-82 

  35. Yi Na, Choi BR, Chang HJ. 2016. Opinion of Commercialization of Ready-to-Eat Korean Foods by Food-Related Lifestyle Segments in Koreans and Non-Koreans. Korean Soc. Food Sci Nutr., 45(4):602-612 

  36. Yoo YK, Park SC, Ahn BR. 2008. An Analysis of the Purchasing Characteristics on the Friendly Food of the Consumers in Shanghai, China. Korean J Cooperative Stud., 26(1):235-253 

  37. Zang M, Jin Y, Qiao H, Zheng F. 2017. Product quality asymmetry and food safety: Investigating the "one farm household, two production systems" of fruit and vegetable farmers in China. China Economic Rev., 45:232-2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