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통형 종이포트 제조장치 개발
Development of Cylindrical Paperpot Manufacturing Equipment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6 no.4, 2017년, pp.242 - 248  

박민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이시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강동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김종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손진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윤성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안세웅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작업 편이성을 높일 수 있는 원통형 종이포트를 일정한 크기로 생산하여 연속적 공급이 가능한 원통형 종이포트 제조장치를 개발하고, 장치의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원통형 종이포트 제조장치는 상토공급부, 종이 공급부, 종이 접착부, 종이포트 절단부로 구성되어 종이포트제조를 위한 상토공급부터 종이포트 절단까지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토 함수율에 따른 적정 상토공급압력시험에서는 상토를 공급하는 진공압이 높을수록 종이포트의 경도와 가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 함수율이 높아질수록 경도와 가밀도는 증가하다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포트제조부로 상토를 공급하기 위한 적정 함수율 및 공기압은 50%~60%와 0.5 Mpa인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장치의 성능과 고형접착제에 의한 종이 접착시간을 고려하였을 때, 종이의 원통성형이 이루어지고 가이드부와의 유착없이 연속적인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적정 온도는 $150^{\circ}C^{\sim}160^{\circ}C$인 것으로 판단된다. 원통형 종이포트 절단칼날의 최적 절단각도를 구명하기 위한 시험에서는 절단 속도와 작업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최소 기울기인 $30^{\circ}$에서 깨끗한 단면을 나타내는 일자칼날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원통형 종이포트 제조장치의 성능시험에서 종이포트의 길이는 설정한 길이로 균일하게 제조되었으며, 종이접착 및 상토공급 등 준비 시간을 제외한 종이포트(직경: 40mm, 길이: 40mm) 제조 작업성능은 3300개/hr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cylindrical paperpot manufacturing equipment which is capable of continuously producing paperpots with a constant size. The equipment consists of the soil supply part, the paper supply part, the pot manufacturing part, the paperpot cutting part and its proces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소규모 과채류 육묘농가 및 화훼류 재배농가를 대상으로 하여 농가의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소형의 원통형 종이포트 제조 장치를 개발하고, 최적 작동 조건 및 성능시험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분해성 육묘포트의 개발 배경은? 또한 육묘장은 트레이를 이용하여 균일묘의 생산이 가능하고 공간의 이용효율을 높여 육묘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Ito, 1992; Jeong, 1998; Kim 등, 1999; Park 등, 2012). 시설원예용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육묘트레이는 무게가 가볍고 수분침투에 따른 기계적 강도의 저하가 없으며 비용이 저렴한 장점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식작업 시 트레이의 부서짐으로 인한 재이용률이 낮고 난분해성 재질로 인한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Kim 등, 2010; Song 등, 2010). 또한 플라스틱 육묘 트레이에서 육묘된 모종은 트레이와 묘 뿌리부의 상토가 유착되어 정식하는 과정에서 상토부가 파괴되어 뿌리부 손상으로 인한 뿌리활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Yeoung 등, 2002; Kang 등, 201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플라스틱 트레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생분해성 육묘포트를 이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Lee 등, 2014; Song 등, 2010).
작물 재배를 위한 육묘장의 장점은? 우리나라의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최근 채소 및 화훼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작물들을 재배하기 위한 전초 단계로 모종을 생산하는 육묘농가의 시설면적은 1997년 20ha에서 2014년 195ha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KREI, 2014). 또한 육묘장은 트레이를 이용하여 균일묘의 생산이 가능하고 공간의 이용효율을 높여 육묘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Ito, 1992; Jeong, 1998; Kim 등, 1999; Park 등, 2012). 시설원예용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육묘트레이는 무게가 가볍고 수분침투에 따른 기계적 강도의 저하가 없으며 비용이 저렴한 장점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식작업 시 트레이의 부서짐으로 인한 재이용률이 낮고 난분해성 재질로 인한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Kim 등, 2010; Song 등, 2010).
종이 포트를 이용한 육묘방법의 장점은? 또한 유럽 등 외국에서는 생분해성 종이를 이용하여 원통형 종이포트를 이용한 육묘 기술이 화훼분야를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다(Prasanna Kumar 등, 2011). 이러한 종이 포트를 이용한 육묘방법은 최근 모종 뽑기의 용이성과 작업 편이성이 좋고 어린 묘를 옮겨 심어도 근권부의부서짐이 거의 없어 정식작업의 기계화를 위한 연구가 국내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An 등, 2016; Seo 등, 2017). 현재 수입되는 외산 기계는 고사양, 고가이고, 포트 직경 변경이 어려운 전용기 개념으로 수입되어 품목이 전문화된 대규모 육묘 농가를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 S.W., T.C. Seo, H. Chun, Y.C. kim, C.W. Nam, and S. M. Kim. 2016. Characteristics of seedling growth of pepper grown in cylindrical paper pot. J. Korean Sco. Hortic. Sci. 34(1):57-58. 

  2. An. S.W., D.H. Kang, S.K. Kim, Y. Kwack, J.S. Lee, H.J. Lee, T.C. Seo, H. Chun, and C.W. Nam. 2017. Current status of grafted fruit vegetable transplants production practices in 2017.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5(1):117-118. 

  3. Choi, J.M., J.W. Ahn, and J.H. Ku. 2006. Effect of root medium formulations on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hot pepper plug seedling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5(4):369-376. 

  4. Ito, T.. 1992. Present state of transplant production in japanese horticultural industry. p.65-82. 

  5. Jeong, B.R.. 1998. Technology and environment management for the production of plug transplants of flower crops. J. Korean Sco. Hortic. Sci. 16(2):282-286. 

  6. Kang, D.H., D.E. Kim, G.I. Lee, Y.H. Kim, H.J. Lee, and Y.B. Min. 2012. Development of a vegetable transplanting robot.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37(3):201-208. 

  7. Kim, Y.B., Y.H. Hwang, and W.K. Shin. 1999. Effects of root container size and seedling age on growth and yield of tomato. J. Korean Sco. Hortic. Sci. 40(2):163-165. 

  8. Kim, S.H., C.H. Kim, J.Y. Lee, J.J. Paek, J.M. Seo, H.J. Park, and H.C. Kim. 2010. Funda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seedling pots. Journal of Korea TAPPI. 347-351. 

  9.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2014. A study on management system and legislation for protection and nurturance of raising seedlings industry. Korea. 

  10. KS M ISO1924-2. Testing method for stretch of paper and paperboard. 

  11. Lee, J.Y., C.H. Kim, G.S. Lee, H.S. Jo, H.G. Nam, H.H. Park, and S.O. Moon. 201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ble seedling pots made of paper mill sludges. Journal of Korea TAPPI. 46(5):9-18. 

  12. Nam, H.H., J.H. Woo, and K.B. Choi. 2002. Effects of seedling raising period and tray size on annual flowers seedling production. J. Korean Sco. Hortic. Sci. 20(2):104-104. 

  13. Nam, H.H., J.H. Woo, and K.B. Choi. 2003. Growth response of seedlings of annual bedding plants influenced by raising period and cell size of plug tray. J. Korean Sco. Hortic. Sci. 44(2):223-227. 

  14. Park, J.E., C.G. An, B.R. Jeong, and S.J. Hwang. 2012. Use of phenolic foam as a medium for production of plug seedlings of paprika. J. Korean Sco. Hortic. Sci. 30(1):34-41. 

  15. Prasanna Kumar, G.V., and H, Raheman. 2011. Development of a walk-behind type hand tractor powered vegetable transplanter for paper pot seedlings. Biosystems Engineering. 110(2):189-197. 

  1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 2013. Analytical manual for comprehensive examination. 

  17. Seo, T.C., S.W. An, S.M. Kim, C.W. Nam, H. Chun, and Y.C. Kim. 2017. Comparison of plug tray and cylindrical paper pot tray on seedling growth, plant growth and yield after transplanting in kimchi cabbage. Hortic. Sci. & Technol. 35(1):69-70. 

  18. Song, D.B.,, E.J. Bae, C.H. Kim, and M.R. Huh. 2010. Analysis of plant growth effects using seedling pots made from paper mill sludges. Journal of Korea TAPPI. 42(2):12-19. 

  19. Yeoung, Y.R., J.Y. Jeon, and S.Y. Shim. 2002. Characteristics of root development and seedling quality during pepper seedling growth in copper-coated plug trays. J. Korean Sco. Hortic. Sci. 43(2):151-1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