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전소 폐열을 이용한 농업시설용 히트펌프시스템의 난방 성능 분석
Heating Performance Analysis of the Heat Pump System for Agricultural Facilities using the Waste Heat of the Thermal Power Plant as Heat Source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6 no.4, 2017년, pp.317 - 323  

강연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  강석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백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김영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장재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유영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쓰레기 소각장이나 산업체의 폐열을 농업에 활용한 사례는 몇몇 있었다. 그러나 온배수를 농업에 활용한 사례는 전무하였으며, 치어, 종패 등을 양식하는 수산업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력발전소의 온배수(폐열)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120 RT 규모의 냉난방시스템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소재의 $5,280m^2$ 아열대 작물(망고) 재배온실에 설치, 10월에서 다음해 2월까지 약 5개월 동안 난방을 실시하여 난방에너지 비용 절감 효과 등 분석하였다. 난방에너지 비용 절감효과는 면세경유에 대하여 87%이였으며, 또한 발전소의 온배수를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함으로서 62%의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얻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2015년에 해수가 수열에너지 분야로 재생에너지에 포함되었다. 해수의 표층의 열을 히트펌프를 사용하여 변환시켜 얻은 에너지라는 수열에너지 분야의 기준과 범위를 볼 때, 이는 온배수가 재생에너지에 포함되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으로 사료된다. 그 이유는 온배수도 해수임에도 불구하고 온도가 일반 해수보다 $7{\sim}8^{\circ}C$ 높아, 일반 해수를 히트펌프의 열원으로 이용하는 것보다 온배수를 열원으로 이용했을 때 히트펌프의 성능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해 농식품부의 폐열 재이용 시설 지원 사업이 발표되어, 발전소 온배수뿐만 아니라 산업체와 소각장의 폐열을 농업에 활용하면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사업에 의하여 2015년 당진시, 하동군, 제주시, 곡성군이 선정되었으며, 2016년 태안군, 서귀포시 등이 선정되어, 2016년 말 곡성군과 제주시가 공사를 완료, 농업에 폐열을 활용하고 있으며(제주시는 발전소, 곡성군은 산업체 폐열을 이용하고 있음), 기타 지역은 추진 중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heating performance and the energy saving effect of the heat pump system using hot waste water(waste heat) of the thermal power plant discharged from a thermal power plant to the sea were analyzed. The greenhouse area was $5,280m^2$ and scale of the heat pump system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Fig.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림 내 T.C.(Thermocouples)로 표현된 온도센서(T type, Daehyeon Tech, Korea)를 증발기(Evaporator)와 응축기(Condenser)의 입출구에 설치하여 물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온도값은 데이터로거(MV200, Yokogawa, Japan)로 수집하였다. 또한 증발기 입구와 응축기 출구에 유량계(PT 860, Panametrics, USA & EF-501, Seoyong Engineering Co.
  • 또한 2010년 10월에서 다음 해 2월까지 약 5개월간 난방을 실시하여 화력발전소 폐열 이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에너지 비용절감효과를 분석하였다.
  • 또한 증발기 입구와 응축기 출구에 유량계(PT 860, Panametrics, USA & EF-501, Seoyong Engineering Co., Korea)를 설치하였으며, 전력량계(CW240, Yokogawa, Japan)를 이용하여 히트펌프의 소비전력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체 0.35%만 활용되고 바다로 배출되는 화력발전소의 온배수(폐열)를 열원으로 이용하여 온실을 난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 성능과 유류 난방 대비 난방에너지 비용 절감 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화력발전소의 온배수(폐열)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120 RT 규모의 냉난방시스템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소재의 5,280m2 아열대 작물(망고) 재배 온실에 설치, 10월에서 다음해 2월까지 약 5개월 동안 난방을 실시하여 난방에너지 비용 절감 효과 등 분석하였다. 난방에너지 비용 절감효과는 면세경유에 대하여 87%이였으며, 또한 발전소의 온배수를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함으로서 62%의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얻었다.
  • 화력발전소 폐열 이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에너지 비용절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약 5개월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소재의 온실에서 현장실증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면세경유가격은 평균 1,000원/L이였고, 히트펌프 시스템은 농업용 전기(병)를 사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를 계기로 2015년에 해수가 수열에너지 분야로 재생에너지에 포함되었다. 해수의 표층의 열을 히트펌프를 사용하여 변환시켜 얻은 에너지라는 수열에너지 분야의 기준과 범위를 볼 때, 이는 온배수가 재생에너지에 포함되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으로 사료된다.
  • 화력발전소 폐열 이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에너지 비용절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약 5개월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소재의 온실에서 현장실증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면세경유가격은 평균 1,000원/L이였고, 히트펌프 시스템은 농업용 전기(병)를 사용하였다.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5개월의 난방기간 동안 히트펌프 시스템이 사용한 전력량은 총 226,641kWh이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에 납부한 전력요금 총액은 9,975천 원이었다.
  • 화력 발전소 폐열 이용 농업시설용 히트펌프시스템의 설계는 Ryou 등(2012)의 보고와 같으며,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서귀포 소재의 남제주 화력 발전소 인근에 조성한 아열대작물(망고) 재배온실을 활용하였다. 실험 온실의 면적은 5,280m2이었으며, 120 RT(Refrigeration ton, 냉동톤)를 30, 40, 50 RT의 3대로 제작하였다. Fig.
  • 폐열 회수용 열교환기는 히트펌프 용량을 30 RT로 하여 Roll 타입으로 제작하였고, 열교환기의 소재는 저렴한 비용과 함께 온배수가 바닷물이기 때문에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기 PE 소재로 하였다. 파이프 내경은 20mm, 두께는 2mm, Roll 당 직경과 길이는 각각 1m, 100m로 하였다. 총 30개의 Roll을 온배수가 흐르는 지하 피트(Fig.
  • 7)로 구성하였다. 폐열 회수용 열교환기는 히트펌프 용량을 30 RT로 하여 Roll 타입으로 제작하였고, 열교환기의 소재는 저렴한 비용과 함께 온배수가 바닷물이기 때문에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기 PE 소재로 하였다. 파이프 내경은 20mm, 두께는 2mm, Roll 당 직경과 길이는 각각 1m, 100m로 하였다.
  • 화력 발전소 폐열 이용 농업시설용 히트펌프시스템의 설계는 Ryou 등(2012)의 보고와 같으며,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서귀포 소재의 남제주 화력 발전소 인근에 조성한 아열대작물(망고) 재배온실을 활용하였다. 실험 온실의 면적은 5,280m2이었으며, 120 RT(Refrigeration ton, 냉동톤)를 30, 40, 50 RT의 3대로 제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시설원예 면적 증가추이는? 우리나라의 시설원예 면적은 2000년 이후부터 경영여건의 어려움으로 정체 상태에 있으나, 1980년에는 7,141ha, 1990년에는 23,698ha, 2000년에는 52,189ha이던 것이 2015년에는 54,804ha로 1990년대 후반까지 국가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급신장 하였다. 또한 2015년 현재 가온방법을 보면, 시설원예 난방 재배면적의 약 80%가 유류난방을 채택하고 있다(MAFRA, 2016).
우리나라 시설원예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제시된 점은? 즉, 우리나라 시설원예의 가장 큰 문제점은 겨울철 난방연료의 대부분을 석유에너지에 의존한다는 것이며, 국제원유가격의 상승으로 인하여 겨울철 난방비용이 증가하여 재배작물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Ryou 등, 2012). 이와 같이 난방비 절감은 시설원예 경영에서 매우 절실하다.
온배수가 재생에너지에 포함되었다고 하는 이유는? 해수의 표층의 열을 히트펌프를 사용하여 변환시켜 얻은 에너지라는 수열에너지 분야의 기준과 범위를 볼 때, 이는 온배수가 재생에너지에 포함되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으로 사료된다. 그 이유는 온배수도 해수임에도 불구하고 온도가 일반 해수보다 7~8oC 높아, 일반 해수를 히트펌프의 열원으로 이용하는 것보다 온배수를 열원으로 이용했을 때 히트펌프의 성능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해 농식품부의 폐열 재이용 시설 지원 사업이 발표되어, 발전소 온배수뿐만 아니라 산업체와 소각장의 폐열을 농업에 활용하면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J.S., S.W. Kim, M.H. Park, J.D. Hwang, and J.W. Lim. 2014. Seasonal variation of thermal effluents dispersion from Kori nuclear power plant derived form 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4):52-68 (in Korean). 

  2.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46987 (in Korean). 

  3. http://co2.kemco.or.kr/directory/toe.asp. 2011. Oil conversion tons calculated. Korea energy agency (in Korean). 

  4. Hwang, I.T., and D.H. Kim. 2011. Near field hydrodynamic analysis of the submerged thermal discharge using CFD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3(6):466-473 (in Korean). 

  5. Jeon, J.G., D.G. Lee, Y. Peak, and H.K. Kim. 2015. Study on heating performance of hybrid heat pump system using geothermal source and solar heat for protected horticulture. J.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35(5):49-56 (in Korean). 

  6. Jeong, J.C, 2015, The comparison of thermal infrared satellite observation for plume assessment of thermal discharg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4(4):367-374 (in Korean). 

  7. Jeong, J.H., 2012, A feasibility analysis on the thermal energy utilization of power plants cooling water for greenhouse heating. MD Diss., Korea Univ. (in Korean). 

  8. Kang, Y.K., Y.S. Ryou, G.C. Kang, Y. Paek, and Y.J. Kim. 2007. Heating performance of horizontal geothermal heat pump system for protected horticulture. J. of Biosystems Eng. 32(1):30-36 (in Korean). 

  9. Kang, Y.K., Y.S. Ryou, J.G. Kim, Y.H. Kim, and J.K. Jang. 2013. Analysis on Cooling Effects of the Vertical Type Geothermal Heat Pump System Installed in a Greenhouse for Raising Seedling.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2(1):19-25 (in Korean). 

  10. Kwon, J.K., G.H. Kang, J.P. Moon, Y.K. Kang, C.K. Kim, and S.J. Lee. 2013. Performance Improvement of an Air Source Heat Pump by Storage of Surplus Solar Energy in Greenhouse.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2(4):328-334 (in Korean). 

  11. Kwon, J.K., J.G. Jeon, S.H. Kim, and H.G. Kim. 2016. Application Effect of Heating Energy Saving Package on Venlo Type Glasshouse of Paprika Cultivation.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5(4):225-231 (in Korean). 

  12. Lee, G. G., I. G. Jung, and H. D. Chun. 2011. An Analysis on the Construction of Energy Exchange Network to Recover Waste Heat Energy in Pohang Steel Industrial Complex. Clean technology 17(4):406-411 (in Korean). 

  13. Lee, J. H. 2016. Energetic and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utilizing waste heat from power plant and incineration facility for large-scale horticulture facilities. MD Diss., Hanbat Univ. (in Korean). 

  14. Maeng, J.H., K.Y. Kim, Y.R. Kim, M.B. Shon, J.H. Kim and M.H. Son. 2015. Difference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t thermal effluent discharge areas of two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18(3):157-165 (in Korean). 

  1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6. Major statistic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 Korean). 

  16.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5. 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141801 (in Korean). 

  1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13. Agricultural products income book (in Korean). 

  18. Ryou, Y.S., Y.K. Kang, G.C. Kang, Y.J. Kim, and Y. Paek. 2008. Cooling performance of horizontal type geothermal heat pump system for protected hoticulture.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7(2):90-95 (in Korean). 

  19. Ryou, Y.S., Y.K. Kang, J.K. Jang, Y.H. Kim, J.G. Kim, and G.C. Kang. 2012. Heat Exchanger Design of a Heat Pump System Using the Heated Effluent of Thermal Power Generation Plant as a Heat Source for Greenhouse Heating.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1(4):372-37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