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계교육 연구의 역사와 한국의 통계교육
History of the Research on Statistics Education, and Statistics Education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한국수학사학회지, v.30 no.5, 2017년, pp.305 - 323  

탁병주 (Dept. of Math. Edu., Gyeongin National Univ. of Edu.) ,  이경화 (Dept. of Math. Edu., Seoul National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atistics was not recognized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as an independent science, and statistical education research came to an international milestone in the late 194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focusing on the 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85].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의의를 뒷받침하기 위해 국내 통계 교육 연구의 실태와 동향 또한 간략히 확인하면서 비교 분석을 시도한다. 이는 통계교육 연구와 유관한 국내 수학교육 연구자, 통계 연구자들에게 통계교육 연구의 방향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통계교육 연구의 역사적 발자취를 따라서 각 시기별 국제 통계교육계의 주요 관심사와 핵심 이슈를 중심으로 조망하여 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가늠해본다. 이때 통계교육 연구의 역사적 발달 과정을 확인하기 위한 기준으로 국제통계협회(Inter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이하 ISI)와 국제통계교육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Statistical Education, 이하 IASE)의 활동에 주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oore는 통계학을 어떻게 규정하였나? 함께 하지만 결코 같을 수 없음을 드러내는 이 절묘한 비유는 통계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수학과 분리하여 논의할 수는 없으나 동시에 수학에 의해 완전히 종속되지는 않음을 설명한다. 통계학의 학문적 독립성을 역설했던 Moore [22]는 “통계학은 수학이 아니라 경험과학에서 비롯된 수리과학”으로 규정하였다. 동시에 다음과 같은 근거를 제시한 바 있다.
통계교육 연구의 역사적 발달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저자는 어떤 기관의 활동에 주목하였나? 본 연구에서는 통계교육 연구의 역사적 발자취를 따라서 각 시기별 국제 통계교육계의 주요 관심사와 핵심 이슈를 중심으로 조망하여 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가늠해본다. 이때 통계교육 연구의 역사적 발달 과정을 확인하기 위한 기준으로 국제통계협회(Inter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이하 ISI)와 국제통계교육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Statistical Education, 이하 IASE)의 활동에 주목한다. 통계교육 연구가 하나의 학문 분야로서 정립되고 틀이 갖추어져 나가는 데 이 두 기관의 역할이 역사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통계적 소양이 모든 시민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기대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상에 통계를 이용하는 것은 개인의 생활, 소비자, 시민, 전문가로서의 삶에서 매우 중요하다 [7, p. 3]. 제4차 산업혁명이라 불리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산업 구조의 다변화는, 인간의 추론 범위를 넓히는 빅데이터의 중요성의 대두와 함께 통계학의 실용적 위상을 더욱 높이고 있다. 따라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통계적 소양이 모든 시민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9], 통계교육과 통계교육 연구의 짧은 역사와 넓지 못한 저변으로 인해 통계교육의 실제적 개선을 위한 연구적 뒷받침은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 BATANERO, G. BURRILL, C. READING (Eds.), Teaching Statistics in School Mathematics-Challenges fo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Dordrecht: Springer, 2011. 

  2. D. BEN-ZVI, J. GARFIELD,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Goals, definitions, and challenges in D. BEN-ZVI and J. GARFIELD (Eds.),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Dordrecht: Springer, 2004. (이경화 외 역, 통계적 사고의 의미와 교육, 서울 : 경문사, 2010, 3-17.) 

  3. M. BOROVCNIK, R. KAPADIA, A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probability in E. J. CHERNOFF and B. SRIRAMAN (Eds.), Probabilistic Thinking, Dordrecht: Springer, 2014, 7-34. 

  4. G. BRITZ et al, How to teach others to apply statistical thinking, Quality Progress 30(6) (1997), 67-79. 

  5. CHUNG S. K. et al, Mathematics textbook for grade 7, Seoul: Kumsung, 2013. (정상권 외, 중학교 수학 1, 서울 : 금성출판사, 2013.) 

  6. CHUNG S. T., Secondary mathematics 1, Seoul: Eulyoo, 1950. (정순택, 중등수학 1, 서울 : 을유문화사, 1950.) 

  7. C. FRANKLIN et al,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GAISE) report, Alexandri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2007. 

  8. C. FRANKLIN et al, The statistical education of teachers, Alexandri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2015. 

  9. I. GAL, Adults'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 (2002), 1-25. 

  10. D. G. HAACK, Teaching statistical literacy, Teaching Statistics 1(3) (1979), 74-76. 

  11. P. HOLMES, Editorial, Teaching Statistics 1(1) (1979), 1. 

  12. G. R. IVERSEN, Mathematics and statistics: An uneasy marriage in F. GORDON, S. GORDON (ed.), Statistic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ation of America, 1992, 37-44. 

  13. F. JOLLIFFE, What is research in statistics education. In: Statistical Education-Expanding the Network. in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of Statistics, 1998, 801-806. 

  14. KANG H. Y. et al, Research on improve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for activation of statistics education,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ociety and Creativity, 2014. (강현영 외, 통계 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2014A039.) 

  15. LEE E. H., KIM W. K., A comparative analysis on research trends of statistics education between Korea and oversea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4(3) (2015), 241-259. (이은희, 김원경, 국내외 통계교육 연구동향 비교 분석, 수학교육 54(3) (2015), 241-259.) 

  16. LEE, K. H., A journey for statistics, statistics education, and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Proceeding of the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49 (2016), 41-56. (이경화, 통계, 통계교육, 그리고 통계교육연구로의 시간여행, 수학교육학논총 49 (2016), 41-56.) 

  17. LEE, Y. H., SIM, H. J., A trend analysis on the educational research of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cused on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42(2) (2003), 203-218. (이영하, 심효정, 확률.통계 연구에 대한 수학교육학적 고찰 : 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2(2) (2003), 203-218. 

  18. Lee, Y. H., Tae, S. Y.,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as an academic field: Focusing on research method,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9(4) (2009), 493-511. (이영하, 태성이, 수학과 수학교육학의 학문학적 비교연구 :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9(4) (2009), 493-511.) 

  19. G. M. LLOYD et al, Teachers' use of curriculum materials, An emerging field. in J. T. REMILLARD and B. A. HERBEL-EISENMANN (Eds.), Mathematics teachers at work: Connec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 New York: Routledge, 2009, 3-14. 

  20. K. MCCLAIN, et al.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 institutional contex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text, in J. T. REMILLARD and B. A. HERBEL-EISENMANN (Eds.), Mathematics teachers at work: Connec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 New York: Routledge, 2009, 56-69. 

  21. Ministry of Education, Mathematics Curriculum, Bulletin of MOE No. 2015-74 [Seperate Volume #8], 2015.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2015.) 

  22. D. S. MOORE, Teaching statistics as a respectable subject, in F. GORDON and S. GORDON (Eds.). Statistic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ation of America. 1992, 14-25. 

  23. PARK K., A survey research of mathematics educators' and mathematicians' preference on journal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3(4) (2013), 423-448. (박경미, 수학교육학과 수학 연구자들의 학술지 선호 경향에 대한 조사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4) (2013), 423-448.) 

  24. PARK S. Y., KIM W. K., A comparative analysis on research trends of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between Korea and oversea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3) (2011), 295-308. (박선영, 김원경,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분석, 수학교육 50(3) (2011), 295-308.) 

  25. B. PHILLIPS, The IASE-Background, activities and future in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of Statistics, Cape Town, South Africa. 2002. 

  26. S. A. RICE, Furtherance of statistical education,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17(1) (1949), 1-34. 

  27. R. L. SCHEAFFER, Statistics and mathematics: On making a happy marriage, in G. F. BURRILL and P. C. ELLIOTT (Eds.). Thinking and reasoning with data and chance,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6, 309-322. 

  28. TAK B. et al, A study on the concept of sample by a historical analysis, School Mathematics 16(4) (2014), 727-743. (탁병주 외, 표본 개념에 대한 고찰 : 역사적 분석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6(4) (2014), 727-743.) 

  29. TAK, B., LEE, K. H.,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statistics education in Korea from 2000 to 2016,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7(2) (2017), 269-289. (탁병주, 이경화, 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 2000년 이후 발행된 국내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7(1) (2017), 269-289.) 

  30. D. VERE-JONES, The coming of age of statistical education,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3(1) (1995), 3-23. 

  31. C. J. WILD, M. PFANNKUCH,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e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7(3) (1999) 223-248. 

  32. WOO J. H., An exploration of the reform direction of teaching statistics, School Mathematics 2(1) (2000), 1-27. (우정호, 통계교육의 개선방향 탐색, 학교수학 2(1) (2000), 1-27.) 

  33. S. S. ZARKOVICH, A reappraisal of the ISI statistical education programme,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44(2) (1976), 289-295. 

  34. A. ZIEFFLER, et al, Publishing in SERJ an analysis of papers from 2002-2009,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0(2) (2011), 5-2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