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중소 공급업체의 SCM역량요인이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수요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SCM Capacity Factor of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 on Operational Performance: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Demand Uncertainty원문보기
일자리 창출과 국가산업경쟁력 측면에서 중소기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글로벌 환경의 불확실성과 공급사슬 간 경쟁으로의 패러다임의 변환은 공급사슬 내 중소 공급업체의 역량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공급사슬상의 구매자-공급자 관계에서 중소공급업체의 SCM(공급사슬관리) 역량이 중소공급업체의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환경적 요소로서 수요불확실성이 이러한 관계에 어떤 조절효과를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기 전자, 금속 기계, 자동차 등의 산업에 속한 중소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관련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중소 공급업체의 공급사슬역량인 관계자본은 운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조정역량은 운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수요 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관계자본 역량과 운영성과 간에는 수요불확실성의 정(+)적인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조정역량과 운영성과 간에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관계자본 역량은 운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요불확실성의 상황에서도 운영성과를 제고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조정역량의 경우, 구매기업과의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통합할 수 있는 정보공유, 커뮤니케이션 등의 외부적 조정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세스의 강화와 더불어 공급사슬관련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중소공급업체 내부 관련부서들 간의 조정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일자리 창출과 국가산업경쟁력 측면에서 중소기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글로벌 환경의 불확실성과 공급사슬 간 경쟁으로의 패러다임의 변환은 공급사슬 내 중소 공급업체의 역량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공급사슬상의 구매자-공급자 관계에서 중소공급업체의 SCM(공급사슬관리) 역량이 중소공급업체의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환경적 요소로서 수요불확실성이 이러한 관계에 어떤 조절효과를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기 전자, 금속 기계, 자동차 등의 산업에 속한 중소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관련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중소 공급업체의 공급사슬역량인 관계자본은 운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조정역량은 운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수요 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관계자본 역량과 운영성과 간에는 수요불확실성의 정(+)적인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조정역량과 운영성과 간에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관계자본 역량은 운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요불확실성의 상황에서도 운영성과를 제고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조정역량의 경우, 구매기업과의 핵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통합할 수 있는 정보공유, 커뮤니케이션 등의 외부적 조정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세스의 강화와 더불어 공급사슬관련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중소공급업체 내부 관련부서들 간의 조정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both the effect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s' SCM capacity on the performance and how the moderating effect of demand uncertainty as an environmental factor affects this relation. The study 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s ope...
This study analyzed both the effect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s' SCM capacity on the performance and how the moderating effect of demand uncertainty as an environmental factor affects this relation. The study 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s operating in electronics, metal, machinery, automobile, and textile. It analyzed the results of survey targeting suppliers of these areas by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 the relation capital of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 affects the performance, but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coordination capability and the performance. In case of the moderating effect of demand uncertainty, while there i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demand uncertainty between relation capital and performance, there is no any moderating effect between coordination capability and performance. It turns out that the relation capital keep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even if there is a demand uncertainty.
This study analyzed both the effect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s' SCM capacity on the performance and how the moderating effect of demand uncertainty as an environmental factor affects this relation. The study 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s operating in electronics, metal, machinery, automobile, and textile. It analyzed the results of survey targeting suppliers of these areas by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 the relation capital of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 affects the performance, but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coordination capability and the performance. In case of the moderating effect of demand uncertainty, while there i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demand uncertainty between relation capital and performance, there is no any moderating effect between coordination capability and performance. It turns out that the relation capital keep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even if there is a demand uncertaint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특히, 개별기업들의 경쟁 패러다임이 공급사슬 대 공급사슬의 경쟁으로 급격히 변환됨에 따라, 기업들은 조직의 감축, 핵심 역량에의 집중, 공급업체와 고객과의 협력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공급사슬관리의 중심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급사슬 상의 중소 공급업체의 SCM역량이 중소 공급업체의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환경적 요소로서 수요불확실성이 이러한 관계에 어떤 조절효과를 미칠 수 있는 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동차, 전기·전자, 금속·기계, 자동차, 섬유 등 산업에 속한 중소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는 구매기업과의 거래관계에서 중소공급업체의 SCM 역량이 중소공급업체의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수요의 불확실성은 중소공급업체의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Dwyer, et al.
본 연구는 구매기업과의 거래관계에서 중소공급업체의 SCM 역량이 중소공급업체의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수요의 불확실성은 중소공급업체의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Dwyer, et al., 1987; Kim, 2002)이므로 수요불확실성을 조절변수로 사용하고자 한다.
기술 불확실성은 일반적으로 제품사양이 빈번히 변하거나 기능 개선의 여지가 높은 정도를 의미하고, 수요 불확실성은 수요의 변동성 정도와 수요예측의 확신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불확실성을 조절변수로 고려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공급사슬상에서 중소공급업체와 구매기업 간의 거래관계에서, 중소공급업체의 SCM역량으로서의 관계자본과 조정, 조절변수로서의 수요불확실성이 중소공급업체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 분석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공급사슬 상의 중소 공급업체의 SCM역량이 중소 공급업체의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환경적 요소로서 수요불확실성이 이러한 관계에 어떤 조절효과를 미칠 수 있는 지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가설1. 중소공급업체의 관계자본역량은 운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중소공급업체의 조정역량은 운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수요불확실성이 높을수록 조정역량은 운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안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동차, 전기·전자, 금속·기계, 자동차, 섬유 등 산업에 속한 중소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관련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 1999). 본 연구에서는 품질, 원가, 유연성, 납기 등을 중소공급 업체의 성과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은 1=‘전혀 아니다’부터 7=‘매우 그렇다’까지의 범위를 리커트 7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Walker & weber(1984)연구를 참고하여 수요량의 변화, 구매기업의 요구조건의 변화에 대한 예측어려움 정도를 2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중소 공급업체의 운영성과는 제조기업의 본원적 경쟁능력인 원가(Cost) 3문항, 유연성(Flexibility) 4 문항, 품질(Quality) 3문항, 납기(Delivery) 3문항으로 측정하였 다. 각 문항은 1=‘전혀 아니다’부터 7=‘매우 그렇다’까지의 범위를 리커트 7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복수 항목으로 구성된 변수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관계자본, 조정, 수요불확실성, 성과에 대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타당도가 검증된 항목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동차, 전기·전자, 금속·기계, 자동차, 섬유 등 산업에 속한 중소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 잠재변인 사이의 판별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분산추출지수(AVE)의 제곱근 값과 잠재변인간의 상관계수 값을 비교하였다. <표 5>는 판별타당성 분석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실증연구를 위한 분석 방법은 먼저 SCM역량과 기업성과 전반에 대한 구조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업성과 전반에 대한 구조모델은 4개의 하위요인으로하는 2차 요인(Second-Order factor) 구조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분석 방법은 먼저 SCM역량과 기업성과 전반에 대한 구조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업성과 전반에 대한 구조모델은 4개의 하위요인으로하는 2차 요인(Second-Order factor) 구조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성과에 대한 구조 모델의 적합도는 χ2=41.
수요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AMOS를 이용 하여 Mean Centering을 통해 상호작용 조절효과를 포함한 구조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관계자본과 유연성(β =.
대상 데이터
설문조사는 대구·경북 중소기업청과 구미중소기업협의회, 성서공단, 이현 공단, 달성공단 등 각 산업단지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단위는 중소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업체당 1부의 설문을 받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대구·경북 중소기업청과 구미중소기업협의회, 성서공단, 이현 공단, 달성공단 등 각 산업단지의 도움을 받아 실시하였다.
설문의 응답자는 기업의 전반적인 상황과 공급사슬을 이해 하고 있는 중간관리자 이상의 직급을 대상으로 하였다. 응답자의 분포는 대표이사 및 임원, 그 외 생산, 사업 및 기획관리 부서의 장이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분포는 대표이사 및 임원, 그 외 생산, 사업 및 기획관리 부서의 장이 응답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3월부터 5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설문 조사에는 총198 부의 업체가 응답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3월부터 5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설문 조사에는 총198 부의 업체가 응답하였다. 이중 불성실한 응답자료 43부를 제외한 155부의 응답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 조사에는 총198 부의 업체가 응답하였다. 이중 불성실한 응답자료 43부를 제외한 155부의 응답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표본 기업의 특성은 <표 1>에 정리된 바와 같다.
데이터처리
신뢰도는 Cronbach’α값, 분산추출지수(AVE), 개념신뢰도(C.R) 계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복수 항목으로 구성된 변수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관계자본, 조정, 수요불확실성, 성과에 대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타당도가 검증된 항목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AMOS v.
이론/모형
측정도구는 Walker & weber(1984)연구를 참고하여 수요량의 변화, 구매기업의 요구조건의 변화에 대한 예측어려움 정도를 2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측정은 기존의 연구(Lawson, 2009; Lee & Kim, 2010)를 참고하여 6문항, 조정역량은 거래기업 간에서 발생하는 활동과 프로세스에 관한 조정을 의미하며, 두 기업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정보교환에 대한 수준을 측정하는 것으로 Leek et al.(2003)연구를 참고하여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요불확실성은 예측의 어려움 정도로 정의하였으며(Harrington, 2004), 중소공급업체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수요에 대한 예측가능 수준을 인지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성능/효과
7%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응답자의 분포를 살펴보면, 대표이사가 17.4%, 임원을 포함한 과장급 이상이 65.8%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22를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표 3>에 정리된 바와 같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관계자본의 1개 항목과 원가의 1개 항목은 요인 부하량이 낮아서 제거되었다.
전체 성과에 대한 구조 모델의 적합도는 χ2=41.708(p=.001, χ2/df =2.453, GFI=.945, RMR=.055, NFI=.932, CFI=.957, TLI=.910 등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구조모델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관계자본과 유연성(β =.190)과 관계자본과 납기(β=.244)에 유의한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계자 본(β=.589) 과 수요불확실성(β=-.276)은 수요가 불확실할수록 성과는 전반적으로 저조하고 수요가 안정적이면 성과가 제고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관계자본이 높을수록 성과가 높으며, 관계자본과 성과 사이에 수요불확실성이 높아지면 성과가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수요 불확실성은 성과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지만, 관계자본은 이러한 수요 불확실성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켜 성과를 높여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의 결과, 중소 공급업체의 관계자본 역량은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조정역량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수요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관계자본 역량과 성과 간에 수요불확실성의 정(+)적인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조정역량과 성과 간에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연구의 결과, 중소 공급업체의 관계자본 역량은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조정역량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수요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관계자본 역량과 성과 간에 수요불확실성의 정(+)적인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조정역량과 성과 간에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성과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별로 분석한 결과, 관계자본은 유연성, 원가, 품질, 납기 등 성과요인 모두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조정역량은 원가에만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수요불확실성의 조절효과의 경우 관계자본과 유연성, 관계자본과 납기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신뢰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모두 Cronbach’α값이 .6 이상, AVE값은 .5 이상, C.R값은 .7 이상으로 나타나 3가지의 신뢰도 계수 모두가 기준치를 상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후속연구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결과는 제한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우선,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표본수집의 범위와 크기 등의 문제로 인해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본 연구의 표본은 전자·전기, 금속·기계, 자동차 등의 산업으로 구성되어있으나 단순히 공급사슬상의 중소 공급업체의 관점으로만 접근함으로써 구매기업의 관점과 각 산업의 특성으로 인한 차이를 설명하지 못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표본은 전자·전기, 금속·기계, 자동차 등의 산업으로 구성되어있으나 단순히 공급사슬상의 중소 공급업체의 관점으로만 접근함으로써 구매기업의 관점과 각 산업의 특성으로 인한 차이를 설명하지 못했다. 환경요소로서 수요불확실성 외 공급불확실성 등을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는 성공적인 SCM을 위한 새로운 요인들의 발굴과 이들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산업별 충분한 표본을 바탕으로 각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요소로서 수요불확실성 외 공급불확실성 등을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는 성공적인 SCM을 위한 새로운 요인들의 발굴과 이들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산업별 충분한 표본을 바탕으로 각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급사슬관리란 무엇인가?
이러한 접근방식은 공급사슬관리의 중심이 되고 있다. 공급사슬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는 최초의 공급자로부터 제조업자, 유통업자, 최종 소비자에 이르는 모든 프로세스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함으로써 탁월한 고객가치창출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것이다.
자원기반이론에서 말하는 기업의 원천은 무엇인가?
자원기반이론(Resource Based Theory)은 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이 경쟁우위와 지속가능성의 원천이라고 한다(Barney, 1991). 따라서, SCM은 대규모 기업일수록 규모의 경제 실현으로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다(Patterson et al.
중소 공급업체의 SCM역량이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는?
연구의 결과, 중소 공급업체의 관계자본 역량은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조정역량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수요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관계자본 역량과 성과 간에 수요불확실성의 정(+)적인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조정역량과 성과 간에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참고문헌 (52)
Europ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Amiri, A. N. 14 1 98
Journal of Marketing Anderson, J. C. 54 1 42 10.2307/1252172
한국생산관리학회지 안나현 27 1 103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Ballou, R. H. 29 1 15
Journal of Management Barney, J. 17 1 99 10.1177/01492063910170010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