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 현황 분석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the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8 no.3, 2017년, pp.347 - 356  

조유향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  도은영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강경숙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  김영미 (전남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김윤경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류화라 (송원대학교 간호학과) ,  이정미 (조선간호대학교) ,  최인희 (광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최희정 (목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evidence to improve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actual operation, program outcomes and evaluation methods, and the level of achieving learning goa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간호교육 기관의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교과목의 교육 및 지도현황을 분석하여 실습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전국의 42개에서 지역사회간호학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것이다.
  • 본 연구는 전국의 간호대학(과)의 지역사회간호학 교수자를 대상으로 실습교과목의 운영 및 지도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지금까지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에 관한 연구를 보면 지역사회 실습교육 개선을 위한 기초조사연구[1]와 실습경험[5,11-14], 실습만족도 관련 연구[3] 등이 있으며, 최근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 개선방안[8]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실습교육 운영현황, 학습성과 및 평가방법, 학습목표 달성가능성 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교육 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교과목의 실습운영 현황, 학습성과 및 평가방법, 학습목표 달성가능성 등에 대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간호학실습교과목의 교육 개선을 위한 접근방안의 일환으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한편, 최근 10년 동안 간호교육기관이 2005년 115개에서2016년 202개로 급속히 증가하였으며[7], 이로 인해 임상실습기관 확보 요구의 증대와 임상실습교육의 질적 유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4,8]. 임상실습교육은 실무현장의 특성과 여건을 반영해야 한다. 지역사회간호학의 경우 다양한 지역사회 내 보건기관에서 활동할 지역사회 간호사로서의 역량 함양에 목표를 두고 있어 병원중심의 임상간호학에서 요구하는 역량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3,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이란? 간호교육은 간호학생이 이론과 실무가 상호 연결된 교육을 받고 졸업 후 전문직 간호사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이다[1,2]. 따라서 간호교육의 목적은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을 통하여 수준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직 간호사를 양성하는 데 있으며, 이러한 간호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실습교육과정의 운영은 필수적인 것이다[1,3,4].
간호교육의 목적은? 간호교육은 간호학생이 이론과 실무가 상호 연결된 교육을 받고 졸업 후 전문직 간호사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이다[1,2]. 따라서 간호교육의 목적은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을 통하여 수준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직 간호사를 양성하는 데 있으며, 이러한 간호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실습교육과정의 운영은 필수적인 것이다[1,3,4].
간호학생들에게 간호실무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임상실습이 어떤 도움이 되는가? 간호실무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임상실습을 통해 간호학생들은 이론적 지식을 실제로 대상자에게 적용시켜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중재를 수행하며, 중재결과를 평가하는 체계적인 문제해결과정을 습득한다[3,5]. 이를 통해 전문지식을 실무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간호직 수행에 요구되는 핵심술기 및 전문직업인으로서의 태도와 가치관을 형성하게 되며[1], 간호사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의미 있는 경험을 하게 된다[2]. 이처럼 간호교육과정에서 실습교육은 전문직 간호사 양성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간호교육 인증평가 기관인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임상실습교과목 22~24학점 1,000시간 이상 이수를 필수교육과정으로 요구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Lee CY, Lee HY, Kim GS, Kang KA. Current status of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um in bachelor program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6;17(1):26-37. 

  2. Kang SY. The social adjustment process of nursing student in the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2016;1:9-19. 

  3. Sung KW. Satisfaction of community practice in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3;9(1):41-50. 

  4. Song JH, Kim MW. Study on clinical education for nursing in hospital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2):251-264. 

  5. Kim LS. A Q-methodological study on the community nursing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97;8(1):133-143. 

  6.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Evaluation manual of nursing education certification for the second half of 2015;1-50 [Interne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15 [cited 2016 May 20]. Available from: http://kabone.or.kr/kabon02/index04.php 

  7.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6 June 25]. Available from: http://kess.kedi.re.kr/index 

  8. June KJ, Chin YR, Kim HG, Kim CM, Song YY, Kim SY, et al. Direction of the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focusing on the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6;27(2):183-192. 

  9. Carter KF, Kaiser KL, O'Hare PA, Callister LC. Use of PHN competencies and ACHNE essential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generalist C/PHN curricula. Public Health Nursing. 2006;23(2):146-160.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fourth health plan 2020 (2016-2020)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cited 2016 June 20]. Available from: http://www.khealth.or.kr/hp2020/bbs.do?pgNoHB001 

  11. Park JM, Lee SJ. Evaluation of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and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 at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2;13(1):161-170. 

  12. Oh JJ.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in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3;14(2):299-311. 

  13. Park HJ, Jang IS. Nursing students' experience in community health center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0;21(2):188-199. 

  14. Min SY, Park SK, Park JM, Lee SJ. Experience on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5;16(4):437-445. 

  15. Chung YK, Kim YH, Yang KH, Han KJ, Han SI. A preliminary study on setting philosophy and curriculum development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88;18(2):162-188. 

  16. Park IH, Ko JE, Choi HJ, Ahn OH, Kim HG, Yang SJ, et al. Community health nursing I. Seoul: Hyunmoonsa; 2016. 440 p. 

  17.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Core basic nursing skill items 2nd ed. [Interne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2 [cited 2016 June 5]. Available from: http://kabone.or.kr/HyAdmin/upload/goodFile/120130201102332.pdf 

  18. Song HS, Lim SH. A study on multiple sources evaluation for practical education in the core basic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6;22(1):5-13. 

  19. Black P, Wiliam D. Developing the theory of formative assessment. Educational Assessment, Evaluation and Accountability. 2009;21:5-31 

  20. Stone R, Cooper S, Cant R. The value of peer learning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ISRN Nursing. 2013;2013:1-11. 

  21. Yoo MR, Kang MS, Kim HW, Han HL, Choi JY. The effects of self-directed practice using peer-tutoring on confidence,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practicing core nursing skill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7;23(1):27-36. 

  22. Eom M, Seo Y.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effect of webbased nursing education contents o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u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7:8(5):97-105. https://doi.org/10.15207/JKCS.2017.8.5.097 

  23. June KJ, Chin YR, Kim, HG, Kim CM, Song YY, Kim SY, et al. Direction of the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focusing on the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6; 27(2):183-192.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2.183 

  24. Kim JS. Concept analysis of health promotion competence in public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1;22(3):281-289. 

  25. Evans-Agnew R, Reyes D, Primomo J, Meyer K, MatlockHightower Co. Community health needs assessments: Expanding the boundaries of nursing education in population health. Public Health Nursing. 2016;34(1):69-77. https://doi.org/10.1111/phn.12298 

  26. Oppewal S, Lamanna BF, Lee GL. Comparison of the dissemination and implementation of standardized public health nursing competencies in academic and practice settings. Public Health Nursing. 2006;23(2):99-107. 

  27.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The learning objectives of community health nursing [internet]. Seoul: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 [cited 2017 July 16]. Available from: http://kchn.or.kr/new/community/community02_3.php?article_num1&modeview&number543&page1&b_nametdata 

  28. Donna MD. ICN framework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09 [cited 2017 July 16]. Available from: http://wpro.who.int/hrh/documents/icn_framework/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