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산물을 활용한 6차 산업 창업 비즈니스 모델 개발
6th Industry Start-up Business Model Development using Agricultural Product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5 no.4, 2017년, pp.711 - 724  

김희동 (군산간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o beyond the policy support of the traditional sixth industry and to build a business model of the farmers' business by establishing the business model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ixth industry utilizing agricultural products of individual farmers. First, we de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농산업은 농산물을 생산하여 경제적 산출을 유도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였다. 6차 산업화는 기존에 경제적으로 지불되지 않았던 활동들에 대한 가치 창출과 사회적 기능을 통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2013)에서 농산업 6차 산업을 농촌에서 발생하는 모든 유·무형의 자원을 바탕으로 농업과 식품·특산품제조·가공(2차 산업) 및 유통·판매, 문화·체험·관광서비스(3차 산업) 등을 연계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 6차 산업 창업비지니스 모델을 최종 소비자 중심의 유통라인을 설정하기 위하여 BMC(Business Model Canvas)를 분석틀로 활용하였다. Osterwalder와 Peigner (2011)의 BMC는 총 9개 관점에서 유기적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관찰하여 창업 성공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CS (Cuctomer Segment)는 어떤 고객을 타겟으로 하여 비즈니스 가치를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고객을 정의하는 것, VP (Value Propasal)은 중점 타겟 고객에게 제시하는 상품의 결합을 말하며 고객의 필요를 충분히 반영해야 하는 것, CH (Channel)은 최종 타겟 고객에게 접근하는 의사소통, 물류, 판매 등의 고객접근방식, CR (Customer Relations)은 목표고객의 유형, 스타일, 선호도에 따라 고객유지, 판매 활성화 전략을 구사하는 것, R (Revenuesource)은 공급자가 수요자에게 가치제안을 지속하거나 판매 후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따라 발생하는 수익, KR (Key Resource)은 제조에서 유통,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할 때 발생하는 재무적, 인적, 지적, 물리적 자원을 말하는 것, KA (Key Action)은 가치제안을 위한 시장에 접근하여 타겟 고객과의 꾸준한 관계를 유지하는 활동, KP (Key Partnership)은 리스크를 줄이고 원활하게 비즈니스가 수행되기 위한 공급자와 파트너와의 관계를 말하는 것, CS(Cost Structure)는 비즈니스 수행 시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모든 비용을 말한다.
  • 따라서, 6차 산업의 창업비지니스 모델을 일본의 6차 산업의 모델 중 성장기에 구축하였던 최종소비자와의 유통 중심 비즈니스 모델을 고려해 보는 것을 본 연구에서 적용해 보고자 한다.
  • 9블럭 비즈니스 모델은 2011년 이후 시각화하고 명료화했다는 점에서 현재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농산업 6차 산업 모델화를 BMC 9블럭에 담아 기존의 연구와 다른 고객과 가치 중심, 유통 등에 중심을 비즈니스 모델의 차별화를 꾀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를 첫째, 6차 산업에 적합한 비즈니스모델을 정의하고 둘째, 6차 산업에 적합한 창업비즈니스 모델링을 한 후, 적용점을 도출하여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6차 산업화의 비즈니스 모델을 점검하고, 개별 농산업 경영체의 6차산업화의 질적 개선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산업 6차 산업화에 맞추어 기존의 문제점인 유통 중심의 창업비지니스 모델을 설정하고자 BMC모형을 활용하여 실질적 방안을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6차 농산업 창업비지니스 모델을 설정하는 것으로써 패널들이 모여 6차 농산업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정의를 내렸으며, BMC에 의한 비즈니스 모델 아이디어 회의를 거쳐 1차로 세팅된 2개의 모델을 2차 아이디어 회의 시에는 적용가능성, 비용가능성, 차별화로 분석하여 최종 1개의 모델을 세팅하였으며 정교화 작업을 위한 내용 타당도 검증을 진행하였다.

가설 설정

  • 결론적으로 접근가능성이 용이한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둘째, 접근가능성과 더불어 차별화점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투자비용에서 접근이 용이하다는 것은 모델의 진입장벽이 낮다는 해석이 가능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6차 농산업 창업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얻을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6차 농산업 창업 비즈니스 모델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창업비지니스모델에 대하여 가장 전제되는 조건은 차별화 보다는 비용가능성, 즉 투자비용에 대한 적정성이 중요하다. 모델1에 비하여 모델2는 개인이 창업을 할 때 투자비용이 접근가능한 스몰비즈니스였다는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접근가능성이 용이한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둘째, 접근가능성과 더불어 차별화점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투자비용에서 접근이 용이하다는 것은 모델의 진입장벽이 낮다는 해석이 가능해진다. 그렇다면 제조물과 유통에 있어 브랜딩 및 상품의 가치를 홍보할 수 있도록 하여 차별화를 추구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겠다. 셋째, 1차 산업 종사자들에게 6차 산업의 비즈니스모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적극 도입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농림부, 농촌진흥청, 시도 농업기술센터 등에서 6차 산업의 비즈니스에 대한 개념과 더불어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각자의 비즈니스모델 개발 홍보와 학습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비즈니스의 정의는 무엇인가? 비즈니스 모델은 비즈니스와 모델의 합성어로 각각의 의미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비즈니스의 일반적 정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투입의 교환으로써 적절한 가격에 판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모델은 사업체가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있어 핵심적이고 간결하게 구조화하고 개념화 하는 것을 말한다.
창업비즈니스 모델링이란 무엇인가? 창업비즈니스 모델링은 산업의 비즈니스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과 그들의 역할을 포함하는 제품, 서비스, 정보의 흐름의 구조 및 이해관계자들이 얻는 잠재적 혜택과 수익의 원천(Tmmers, 1988)으로써 비즈니스 대상이 되는 고객에게 어떤 제품과 서비스를 어떤 방법으로 마케팅하여 해당 기관이나 조직이 매출과 경제효과를 창출하는 분석틀이라고 할 수 있다. 농산업은 이러한 6차 산업 수 증가에 따른 체계를 요구하는 도전에서 새로운 창업비즈니스모델링을 통하여 차별화된 가치제안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3. http://www.mafra.go.kr/ National Task, Six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2. George, G. and A. Bock. 2010. The Bussiness Model in Practice and Its Implication for Entreneurial Research ET & P. Jan. 

  3. Hwang, Y. M. 2011. Understanding and Cases of Sixth Industrialization i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Focusing on Japan's Discussion and Jeonbuk's Case. 6th Industrialization Forum Materials. 

  4. Kim, H. D. 2016.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Interes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 Social Support, Interest and Word of Mouth Intention. The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 24(4): 645-663. 

  5. Kobayashi. S. 2012. Japan's Sixth Industrialization Development Direction and Challenges. World Agricultural Journal. 143: 211-232. 

  6. KREI. 2016. Direction and Tasks of Sixth Industrialization in Regional Unit. 123. 

  7.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8. Lee Y. M. and M. H. Lim. 2013. A Study on the Smart Work Center Model Based on the Sharing Economy Using the BMC (Business Model Canva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0(4): 165-189. 

  9. Osterwalder, A. and Y. Peigner. 2005. Clarifying Business Models: Origins, Present and Future of the Concept,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16(1): 1-25. 

  10. Osterwalder, A. and Y. Peigner. 2011. Business Model Generation. Wiley Press. 

  11. Park, S. H. 2013. Business Model of 6th Industry of Agriculture for Rural Tourism. Journal of Rural Tourism. 22(1): 1-17. 

  12. Teece, J. 2010. Business Models, Business Strategy and Innovation. Long Range Planning. 43(2-3): 172-194. 

  13. Timmers, P. 1998. Business Models for Electronic Markets. Journal on Electronic Markets. 8(2): 3-8. 

  14. Zotti, C. and R. Amit. 2011. Business Model Design and the Performance of Entrepreneurial Firms. Organization. 18(2): 181-1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