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사진 공유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과 충족 이론을 중심으로
Predicting Photo-sharing Behavior on Instagram: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1, 2017년, pp.252 - 263  

김효정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을 기반으로 인스타그램 사진 공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을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 3개월 이내에 인스타그램에 사진을 공유한 경험이 있는 356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19.0과 AMOS 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 분석, 구조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통이 인스타그램 사진 공유 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락 추구가 인스타그램 사진 공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 표현이 인스타그램 사진 공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 이용자 신뢰가 인스타그램 사진 공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empirically explored factors influencing photo sharing behavior on Instagram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356 respondents those who have used Instagram and have shared photos within the last three month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연구하거나, 인스타그램의 사진 공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본 연구들이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사진 공유 행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인스타그램의 사진 공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비쥬얼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증진 시킬 수 있고,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의 사진 공유 행태를 이해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사진 공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을 파악 하기 실시되었다. 본 조사는 2016년 12월 1-14일까지 인터넷리서치 전문업체인 마크로밀엠브레인(www.
  •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 이용자들의 사진 공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도출된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비쥬얼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는 인스타그램에서 이용자들의 사진 공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신뢰와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신뢰가 사진 공유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가 사진 공유 행동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하지만, 상호의존성은 신뢰가 기반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스타그램에서도 인간 관계가 구축되고 정보가 공유되기 위해서는 신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8][9]. 이에 본 연구는 비쥬얼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는 인스타그램에서 이용자들의 사진 공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신뢰와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신뢰가 사진 공유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가 사진 공유 행동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력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의 사진 공유 행동을 증가시키는 요인들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사진 공유 행동을 감소시키는 요인들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가설 설정

  • 가설 1: 기록은 사진 공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소통은 사진 공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오락 추구는 사진 공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자기 표현은 사진 공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서비스 제공자 신뢰는 사진 공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서비스 이용자 신뢰는 사진 공유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스타그램이 기존의 SNS와 어떠한 차별점을 두고 있는가?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 중에서도 인스타그램은 사진 및 동영상을 공유하는 공간으로 7억명 이상의 이용자들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2017년 기준), 하루 평균 2억개 이상의 사진들이 공유되고 있다[2]. 인스타그램은 기존의 SNS(social network services)와 차별화 하기 위해 사진을 편집할 수 있는 필터 기능과 동영상을 꾸밀 수 있는 스티커와 문구 삽입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기반으로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은 사진의 색감이나 화질을 개인의 욕구에 맞게 조절하고, 해시태그(#)를 기반으로 사진과 관련된 단어나 이모티콘을 공유할 수 있어 비쥬얼 커뮤니케이션을 하기위한 최적의 공간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3][5].
온라인 공간에서 사진을 활용한 비쥬얼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모바일 카메라 기술이 향상되고,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시각적으로 변화하면서 사진과 동영상을 활용한 비쥬얼 커뮤니케이션(visual communication)이 증가하고 있다[1]. 온라인 공간에서 사진을 활용한 비쥬얼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는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간결하고 단순한 메시지로 소통하기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가 증가하고, 사진을 통해 손 쉬운 자기 표현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또한, 사진은 감각적인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개인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커뮤니케이션 도구 중 하나로 주목을 받고 있다[2-4].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이 어떠한 기능을 기반으로 사진의 색감이나 화질을 개인의 욕구에 맞게 조절하는가?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 중에서도 인스타그램은 사진 및 동영상을 공유하는 공간으로 7억명 이상의 이용자들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2017년 기준), 하루 평균 2억개 이상의 사진들이 공유되고 있다[2]. 인스타그램은 기존의 SNS(social network services)와 차별화 하기 위해 사진을 편집할 수 있는 필터 기능과 동영상을 꾸밀 수 있는 스티커와 문구 삽입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기반으로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은 사진의 색감이나 화질을 개인의 욕구에 맞게 조절하고, 해시태그(#)를 기반으로 사진과 관련된 단어나 이모티콘을 공유할 수 있어 비쥬얼 커뮤니케이션을 하기위한 최적의 공간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T. Zhou and H. Li, "Understanding Mobile SNS Continuance Usage in China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Influence and Privacy Concer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7, pp.283-289, 2014. 

  2.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1020210&g_menu020310 

  3. E. Lee, J. A. Lee, J. H. Moon, and Y. Sung, Cyberpsychology, "Pictures Speak Louder than Words: Motivations for Using Instagram,"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18, No.9, pp.552-556, 2015. 

  4. A. L. Mendelson and Z. Papacharissi, "Look at Us: Collective Narcissism in College Student Facebook Photo Galleries, The Networked Self: Identity," Community and Culture on Social Network Sites, Vol.1974, pp.1-37, 2010. 

  5. O. Tsur and A. Rappoport, What's in a Hashtag?: Content based Prediction of the Spread of Ideas in Microblogging Communities. Proceedings of the fifth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search and data mining ACM. February 643-652; Seattle, USA, 2012. 

  6. C. L. Kujath,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Facebook and MySpace: Complement or Substitute for Face-to-Face Interaction?, Vol.14, No.1, pp.75-78, 2011. 

  7. D. H. Shin, "User Experience in Social Commerce: In Friends We Trust,"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Vol.32, No.1, pp.52-67, 2013. 

  8. N. K. Austin, K. I. Ibeh, and J. C. C. Yee, "Consumer Trust in the Online Travel Marketplace," Journal of Internet Commerce, Vol.5, No.2, pp.21-39, 2006. 

  9. S. Srinivasan, "Role of Trust in e-business Success," Information Management & Computer Security, Vol.12, No.1, pp.66-72, 2004. 

  10. P. W. Fu, C. C. Wu, and Y. J. Cho, "What Makes Users Share Content on Facebook? Compatibility Among Psychological Incentive, Social Capital Focus, and Content Typ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67, pp.23-32, 2017. 

  11. H. Y. Huang, "Examining the Beneficial Effects of Individual's Self-disclosure on the Social Network Sit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57, pp.122-132, 2016. 

  12. M. Koohikamali, D. A. Peak, and V. R. Prybutok, "Beyond Self-disclosure: Disclosure of Information about Others in Social Network Sit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69, pp.29-42, 2017. 

  13. C. Gan and W. Wang, "Uses and Gratifications of Social Media: A Comparison of Microblog and WeChat," Journal of Systems and Information Technology, Vol.17, No.4, pp.351-363, 2015. 

  14. S. Alhabash, Y. H. Chiang, and K. Huang, "MAM & U&G in Taiwan: Differences in the Uses and Gratifications of Facebook as a Function of Motivational Reactivit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5, pp.423-430, 2014. 

  15. A. Malik, A. Dhir, and M. Nieminen, "Uses and Gratifications of Digital Photo Sharing on Facebook,"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33, No.1, pp.129-138, 2016. 

  16. A. Oeldorf-Hirsch and S. S. Sundar, "Posting, Commenting, and Tagging: Effects of Sharing News Stories on Faceboo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44, pp.240-249, 2015. 

  17. D. Goh, R. Ang, A. Chua, and C. Lee, Active Media Technology. Why We Share: A Study of Motivations for Mobile Media Sharing. Proceedings of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AMT October 195-206; Beijing, China, 2009. 

  18. F. Y. Hong and S. L. Chiu, "Factors Influencing Facebook Usage and Facebook Addictive Tendency in University Students: The Role of Online Psychological Privacy and Facebook Usage Motivation," Stress and Health, Vol.32, No.2, pp.117-127, 2016. 

  19. G. Seidman, "Self-presentation and Belonging on Facebook: How Personality Influences Social Media Use and Motivation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4, No.3, pp.402-407, 2013. 

  20. J. Larsen, "Families Seen Sightseeing: Performativity of Tourist Photography," Space and Culture, Vol.8, No.4, pp.416-434, 2005. 

  21. L. Edwards and I. Brown, Data Control and Social Networking:Irreconcilable Ideas?,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9. 

  22. D. J. Kim, D. L. Ferrin, and H. R. Rao, "A Trust-based Consumer Decision-making Model in Electronic Commerce: The Role of Trust, Perceived Risk, and Their Cntecedents," Decision Support Systems, Vol.44, No.2, pp.544-564, 2008. 

  23. W. G. Graziano and R. M. Tobin, "Agreeableness: Dimension of Personality or Social Desirability Artifact?," Journal of Personality, Vol.70, No.5, pp.695-728, 2002. 

  24. N. Van House, M. Davis, Y. Takhteyev, N. Good, A. Wilhelm, and M. Finn, From "What?" to "Why?": the Social Uses of Personal Photos, In Proceedings. of CSCW November 6-10; Chicago, USA, 2004. 

  25. A. N. Joinson, Looking at, Looking up or Keeping up with People?: Motives and Use of Facebook.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pril 1027-1036; Florence, Italy, 2008. 

  26. A. D. Smock, N. B. Ellison, C. Lampe, and D. Y. Wohn, "Facebook as a Toolkit: A Uses and Gratification Approach to Unbundling Feature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7, No.6, pp.2322-2329, 2011. 

  27. E. E. Hollenbaugh and A. L. Ferris, "Facebook Self-disclosure: Examining the Role of Traits, Social Cohesion, and Motiv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0, pp.50-58, 2014. 

  28. 노미진, 이경탁, "사회적 외로움이 SNS 사용자의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전자상거래 연구, 제15권, 제6호, pp.191-211, 2015. 

  29. E. Goffman,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Garden City, New York, 1959. 

  30. 이정권, 최영,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1호, pp.115-148, 2015. 

  31. P. A. Pavlou and M. Fygenson,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Electronic Commerce Adoption: An Exte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MIS Quarterly, Vol.30, No.1, pp.115-143, 2006. 

  32. S. Chari, G. Christodoulides, C. Presi, J. Wenhold, and J. P. Casaletto, "Consumer Trust in User Generated Brand Recommendations on Facebook," Psychology & Marketing, Vol.33, No.12, pp.1071-1081, 2016. 

  33. K. L. Hsiao, "Why Internet Users Are Willing to Pay for Social Networking Services," Online Information Review, Vol.35, No.5, pp.770-788, 2011. 

  34. S. C. Chu and Y. Kim, "Determinants of Consumer Engagement in Electronic Word-of-mouth(eWOM) in Social Networking Site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Vol.30, No.1, pp.47-75, 2011. 

  35. Y. Al-Saggaf and S. Nielsen, "Self-disclosure on Facebook among Female Users and Its Relationship to Feelings of Lonelines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6, pp.460-468, 2014. 

  36.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2012. 

  37. 이동만, 박현선, "소셜 미디어에서 개인의 심리 및 사회적 동기요인이 정보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1권, 제2호, pp.1-21, 2011 

  38. C. Fornell and D. F. La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ravel Behavior Research," University of Michigan, Vol.37, pp.1-25, 1981. 

  39. L. R. Tucker and C. Lewis,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Vol.38, No.1, pp.1-10, 1973. 

  40. 박경인, 조창환, "SNS 상의 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용자의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5권, 제5호, pp.153-180, 2014. 

  41. R. D. Putnam,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nal of Democracy, Vol.6, No.1, pp.223-234, 2000. 

  42. J. L. Skues, B. Williams, and L. Wise,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Self-esteem, Loneliness, and Narcissism on Facebook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8, No.6, pp.2414-2419, 2012. 

  43. R. Harrison and M. Thomas, "Identity in Online Communities: Social networking Sites and Language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ing Technologies and Society, Vol.7, No.2, p.109, 2009. 

  44. D. E. Wittkower, "Facebook and Dramauthentic Identity: A Post-Goffmanian Theory of Identity Prformance on SNS," First Monday, Vol.19, No.4, pp.1-55, 2014. 

  45. J. Lee, M. Agrawal, and H. R. Rao, "Message Diffusion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The Case of Rumor and Non-rumor Related Tweets During Boston Bombing 2013," Information Systems Frontiers, Vol.17, No.5, pp.997-1005, 2015. 

  46. A. M. Kaplan and M. Haenlein, "Users of the World, Unite!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Social Media," Business Horizons, Vol.53, No.1, pp.59-68, 2010. 

  47. C. Dwyer, S. Hiltz, and K. Passerini, Trust and Privacy Concern within Social Networking Sites: A Comparison of Facebook and MySpace. Proceedings of th AMCIS 2007, January 9-12, Keystone, Colorado,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