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인권교육 개선에 관한 통합연구
A Mixed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Workers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7, 2022년, pp.345 - 360  

이준우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이진영 (한국CISM연구소) ,  김현숙 (한국CISM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Creswell의 통합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 및 인권교육에 대한 의식을 다각적으로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장애인복지시설의 법정의무 인권교육이 시행된 지 1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장애인복지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내용들을 담아내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인권교육의 방향과 내용도 천차만별이어서 아쉽다는 현장의 의견이 있다. 이러한 현실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인권교육은 어떠한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질적 분석에서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의 인권, 인권교육 및 인권 강사에 대한 인식, 효과적인 인권교육 발전 방향, 인권 친화적인 지역사회 만들기가 주요 쟁점으로 제시되었다. 양적 분석에서는 인권교육의 전반적인 현황과 교육환경을 비롯한 인권교육의 구체적인 실태를 파악하고자 성남시 장애인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질적 연구의 결과에 내재시켜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법정의무 인권교육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education of workers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from various aspects by using Creswell's mixed methodology. Although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tatutory compulsory human rights education in welfare facilities fo...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Creswell이 설명한 세 가지의 통합연구설계 유형 중 탐색적 순차 설계의 절차에 따라 진행하 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 및 인권교육에 대한 의식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는 내실 있으면서도 유용한 인권교육으로 전환되게끔 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주목하였다. 이에 실효성 있는 설문문항 개발이 중요하였고 그 결과 질적연구를 통한 양적조사 도구개발이 필요하였다.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의인권 및 인권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의 진술을 바탕으로 주제분석을하였으며 분석 결과 23개의 상위주제, 59개의 하위주 제, 112개의 개념을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시설에서 법정 의무교육으로이루어지고 있는 인권교육의 현황과 교육환경,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 의식과 효과적인 인권교육에대한 욕구 등을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통합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다각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를 위한 현장 중심 인권교육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장애인 인권교육의 현황이나 실효성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며, 더욱이 기초자치단체 차원의 장애인복지시설 인권교육과 관련한실태조사가 전무한 상황에서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을 시설장 그룹과 실무자 그룹으로 나누어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종사자들의 인권교육에 대한 욕구와 인식을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197명이 응답한 교육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찾을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등의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을 시설장 그룹과 실무자 그룹으로 나누어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종사자들의 인권교육에 대한욕구와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양적조사도구인 설문문항도구를 개발하여 경기도 성남시 지역을 중심으로 장애인복지시설에서 법정의무교육으로이루어지고 있는 인권교육의 현황과 교육환경,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 의식과 효과적인 인권교육에대한 욕구 등을 세밀하게 고찰함으로써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를 위한 현장 중심 인권교육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서울, 경기 등의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을 시설장 그룹과 실무자 그룹으로 나누어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종사자들의 인권교육에 대한욕구와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양적조사도구인 설문문항도구를 개발하여 경기도 성남시 지역을 중심으로 장애인복지시설에서 법정의무교육으로이루어지고 있는 인권교육의 현황과 교육환경,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 의식과 효과적인 인권교육에대한 욕구 등을 세밀하게 고찰함으로써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를 위한 현장 중심 인권교육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오승환, 김민정, 김은희, 오선영, 주연선, 손영은,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국가인권위원회, 2020. 

  2. 이준우, 통합과 융합의 사회복지실천, 인간과복지, 2021. 

  3. 홍선미, 김제선, 이승훈, 김도희, 사회복지 분야 인권교육 개선방안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17. 

  4. https://www.law.go.kr 

  5. 유동철, 김명연, 박숙경, 김정하, 임소연, 박영희, 이윤경, 장애인 인권 길라잡이 : 장애인복지시설 인권교육교재, 국가인권위원회, 2013. 

  6. 정원오, 김성기, 장기성, 국내.외 공공분야 인권교육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06. 

  7. 정해숙, 박성정, 구정화, 최윤정, 초.중.고등학교 인권교육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1. 

  8. 정진성, 유성상, 박병진, 김영중,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인권교육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4. 

  9. 한준, 이희길, 정병은, 김대훈, 김월화, 2019 국가인권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9. 

  10. 이관식,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자의 인권의식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1. 신은경, 곽지영, "중증장애인의 인권보장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사회적 성원권과 건강을 중심으로," 법과인권교육연구, 제9권, 제2호, pp.147-173, 2016. 

  12. 정용충, "장애인복지관의 인권책임과 역할," 임상사회사업연구, 제12권, 제2호, pp.25-44, 2015. 

  13. 조은아,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과 자기효능감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목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4. 김동기, 조은아,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인권감수성과 자기효능감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기관장 리더십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제45권, pp.115-136, 2019. 

  15. 안은자, 조원일, "장애인 인권센터 종사자의 장애인에 대한 인권의식의 실체와 구현," 발달장애연구, 제21권, pp.97-128, 2017. 

  16. 배진기, 신원식, "장애인인권 관련기관 종사자들의 인권에 대한 주관적 인식," 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pp.51-78, 2020. 

  17. 남세현, 변경희, 김동기, 이미정, 김용혁, 윤덕찬,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5. 

  18. 임주리, 김유정, "장애인 공동생활가정의 인권현황과 개선방안," 법과정책, 제22권, 제3호, pp.299-334, 2016. 

  19. 하유정, 채은희, 양어진, "정신보건시설 종사자의 인권의식에 관한 탐색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7권, 제1호, pp.83-94, 2013. 

  20. 정명선, 이경준, "국내 장애인 인권관련 연구동향 분석과 제언," 한국위기관리논집, 제8권, 제5호, pp.143-254, 2012. 

  21. John W. Creswell 저, 김동렬 역, 알기 쉬운 혼합연구방법, 학지사, 2017. 

  22. John W. Creswell 저,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21. 

  23. 김미옥, "장애아동청소년의 거주서비스 쟁점에 관한 혼합방법론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3권, 제3호, pp.55-82, 2011. 

  24. 김인숙,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방법과 분석, 집문당, 2016. 

  25. 이미혜, 이현아, "농인 부모를 둔 청인 자녀의 정체성 형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13권, 제2호, pp.113-142, 2019. 

  26. Jim Ife 저, 여지영 역, 아래로부터의 인권, 인간과복지, 2018. 

  27. 이준우, "김덕준(金德俊)의 사회복지 사상과 사회복지 교육 실천원리를 통해 본 현재의 한국 사회복지 교육,"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496-512, 2019. 

  28. 이준우, 황준호, "수어통역사 자격제도 운영에 대한 수어통역사, 청각장애인통역사, 농인의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9호, pp.543-556, 20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