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시설종사자의 인권수행과정의 어려움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Exploration on Difficulty of Human Rights Process Conducted in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Focused on the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in Busa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3, 2016년, pp.771 - 781  

김선주 (동명대학교 평생교육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가 인권수행과정에서 겪게 되는 추상적인 어려움을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하여 명확화하고 개념화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술문 리스트를 수집하고, 인덱스카드(index card)를 분류토록 하였다. 분석결과 6개의 군집명이 도출되었고, 종사자들은 시설 내에서는 거주인과의 의사소통 갈등, 서비스 제공자의 의도가 고려되지 않고 종사자의 겉으로 드러나는 단순 행위나 거주인의 주관적인 인권상황인식에 근거한 거주인과 종사자와의 갈등이 종사자의 인권 수행의 어려움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시설 외부적으로는 인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장애인거주시설에 요구하는 인권관리 실무와 현장실무 간의 괴리로 인한 어려움, 외부 인권조사나 점검에 대한 경직성이나 종사자를 배려하지 않는 측면에서의 인권조사와 점검진행이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수행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몇 가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conceptualize difficulty of abstract experiencing human rights process conducted in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by utilizing multidimensional scaling. Focused on the caretaker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에 종사하는 다양한 직능의 종사자들이 근무현장에서 업무과정상에 겪게 되는 인권의식과 인권수행과정에서의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하여 다소 추상적이던 인권의식과 수행과정상의 어려움을 명확화하고 개념화 해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장애인거주시설이라는 특수성을 바탕으로 인권업무수행에 대한 실천적 어려움을 반영하여 종사자의 인권수행상황을 원활히 하는 방법을 모색한다는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관련 업무를 수행하면서 겪는 어려움에 대한 인식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고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인권수행의 어려움을 분석하는 것이다. 인권수행의 어려움은 종사자 개별에 따라 달리 인식되고, 매우 추상적이고 복잡하기 때문에 이들의 인식을 어떤 기준을 근거로 개념화하고 해석해야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 먼저, 2015년 5월부터 7월 중순까지 연구자가 직접 장애인생활시설을 방문하여 거주시설 방문인권 교육을 실시하는 동안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권교육을 실시하기 전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참여자들에게 현장에서 일하면서 장애인을 대상으로 인권수행을 할 때 겪게 되는 어려움에 대해서 하나의 문장 형태로 자연스럽게 이야기하도록 하였다. 일종의 브래인 스토밍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참여자들이 이야기한 서술문을 그 자리에서 직접 입력하여 빔 프로젝터를 통해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장애인들은 자신을 장애인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독특한 신념과 욕구·생활양식과 의사소통방식을 지닌 구별된 문화집단으로 존중받기를 원한다. 자신의 의지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아가고, 스스로의 자유로운 선택과 결정을 통해 삶의 목적을 이루어나가는 삶을 영위하고 싶어 한다[21].
장애인이 영위하고 싶어하는 삶은 무엇인가? 장애인들은 자신을 장애인으로 바라보기 보다는 독특한 신념과 욕구·생활양식과 의사소통방식을 지닌 구별된 문화집단으로 존중받기를 원한다. 자신의 의지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아가고, 스스로의 자유로운 선택과 결정을 통해 삶의 목적을 이루어나가는 삶을 영위하고 싶어 한다[21].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관련하여 장애인차별금지법 제7조에서는 장애인이 ‘자신의 생활전반에 관하여 자신의 의사에 따라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권리’를 가질 뿐만 아니라 ‘장애인 아닌 사람과 동등한 선택권을 보장받기 위하여 필요한 서비스와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명시하고 있다.
장애인이 자신의 의사에 따라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한다는 것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장애인이 자신의 의사에 따라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한다는 것은 장애인이 시설입소를 할 것인지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갈 것인지를 스스로 선택해야하고 일상적인 자신의 삶에 대한 통제권을 지닌 채 주체적 삶을 살아가야하는 것을 의미한다[12]. 장애인의 자기결정을 하는데 방해하는 요소들로 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신현석, "장애인생활시설의 인권유형에 따른 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401-402, 2012. 

  2. 임성택, "장애인생활시설에서의 인권침해, 그 현황과 대책," 저스티스, 제128권, pp.7-59, 2012. 

  3. 박경수, 장혜경, "장애인 거주시설 실천가의 인권딜레마 사례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제22권, pp.249-272, 2013. 

  4. 백종만, "사회복지시설 수용시설 수용자의 인권실태," 국회인권포럼, pp.7-21, 1998. 

  5.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 생활시설 생활인 인권상황실태조사: 양성화된 조건부신고복지시설을 중심으로, 2005년도 인권상황 실태조사 연구용역 보고서, 2005. 

  6.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 인권증진 중장기 계획 (2013-2017), 도서출판 한학문화, 2012. 

  7. 이원출, 한국의 노인학대 실태 및 해결방안에 관한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8. 정선영, "정신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권민감성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3권, pp.59-87, 2006. 

  9. 고명식,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의 인권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0. 정선영, 손덕순, 백형의, "부랑인시설 종사자들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8권, pp.67-95, 2008. 

  11. 유동철, "장애인 생활시설의 주거권 확보에 대한 장애인차별금지법의 함의," 상황과 복지, 제31권, pp.53-65, 2011. 

  12. 임성택, 장애인생활시설에서의 인권침해, 그 현황과 대책, 저스티스, 제128권, pp.7-59, 2012. 

  13. 김진우, "지적장애인 투표권 부여 및 행사 관련 쟁점 연구,"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1호, pp.345-367, 2015. 

  14. 이철호, "장애인차별금지법과 장애인의 인권," 한국콘텐츠학회, 제8권, 제8호, pp.158-175, 2008. 

  15. 김지경, "차별경험, 정의로운 세상에 대한 믿음과 개인자부심, 집단자부심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4권, pp.1-12, 2002. 

  16. 박승탁, "시설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장애인생활 시설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신학과 목회, 제29권, pp.383-409, 2008. 

  17. 김현진, "사회복지사의 인권에 대한 의식차이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4권, pp.110-130, 2010. 

  18. 김경희, 김미옥, "지적장애인 인권침해사건 해결 과정에서의 딜레마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19권, pp.235-252, 2012. 

  19. 이관식,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자의 인권의식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0. 양옥경, "사회복지학 연구의 책임성과 윤리," 한국 사회복지질적연구, 제1권, 제1호, pp.7-33, 2007. 

  21. 신효진, 손신, "장애인, 진정한 자립을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 -강점바라보기와 역량강화," 장신논단, 제41권, pp.417-438, 2011. 

  22. 이선우, 장애인복지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09. 

  23. 이규태, "현대사회와 장애자복지 : 장애자 복지에 대한 한국인의 의식구조," 국회보, 제181권, pp.176-182, 1981. 

  24. 변경희, 장애인거주시설종사자의 인권보호 및 서비스 질 향상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25. 황소진, 정신지체인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6. M. Kane and W. M. K. Trochim, Concept mapping for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Thousand Oks, CA: Sage publication, 2007. 

  27. 허명희, SPSS Statistics 척도화 분석, spss솔류션, 2009. 

  28. 김민영, 김진우,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부모와 시설종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5권, 제2호, pp.5-34, 2011. 

  29. https://real.child.pen.go.kr/sub.php?MenuID29 

  30. 보건복지부, 2015년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제3권,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