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삼(玄蔘) 추출물이 RBL-2H3 비만세포에서 β-hexosaminidase 및 cytokine 분비에 미치는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crophulariae Radix on β-hexosaminidase release and cytokine production in RBL-2H3 cells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32 no.6, 2017년, pp.9 - 15  

김세기 (대구가톨릭대학교 제약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raditional medicines isolated from natural products often have positive effects in the prevention and healing of various immune disorders, such as allergy and atopic inflammation. Scrophulariae Radix (SR)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used for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inflamma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삼에서 항염 효과에 대한 연구는 LPS로 유발된 대식세포의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31)이 보고되어 있으나, RBL-2H3 비만세포에 대한 탈과립 및 다양한 염증매개인자들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연구에서는 비만세포(RBL-2H3 basophilic mast cell)에서현삼의 알레르기 반응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였다. 현삼에탄올추출물(SRE)이 RBL-2H3 세포에서 500 ㎍/㎖ 농도까지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 및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어 SRE 500 ㎍/㎖ 이하의 농도에서 각 실험을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삼 에탄올추출물의 비만세포(RBL-2H3basophilic mast cell)에서 β-hexosaminidase 분비억제 및 Type2 cytokine IL-4, TNF-α생성억제를 조사하여 현삼에탄올추출물이 알레르기 반응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삼의 특징은 무엇인가? 현삼(玄蔘)은 우리나라 원산으로 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중대(重臺)·현대(玄臺)·귀장(鬼藏)·축마(逐馬)라고도 한다.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80∼150 ㎝로 줄기는 사각형이며 잎은 난형이다. 꽃은 8∼9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열매는 삭과로난형이다. 뿌리는 약재로 사용하는데, 감자 모양으로 백색이나 자르면 곧 바로 검게 변한다. Scrophularin과 iridoid glycoside를 함유하고,.
만성 염증성 알레르기 반응이 유발되는 과정은 어떠한가? 현삼의 약리작용으로는 항불안 작용10), 항균작용11), 혈압강하 작용12), 항알레르기 작용13), 아토피 발진 억제 작용14), 갑상선기능항진증 억제 효과15), 항산화효과16), 항치매작용17), 항당뇨효과와 항염증효과18), 간세포 보호 효과19), 상처치유효과20)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본초로 解熱, 消痰, 連珠瘡, 咽喉炎, 婦人腰痛, 寶血에 사용하며 자음청열 (滋陰淸熱), 해독활장(解毒滑腸), 치열병상음 (治熱病傷陰), 자음강화 (滋陰降火)등의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알레르기 질환은 비정상적인 면역학적 기전에 의해 발생되는 과민반응의 일종으로 알레르기 초기 반응은 주로 알레르겐 자극에 의해 비만세포나 호염구로부터 히스타민이나 proteoglycan 같은 화학매개물질들이 저장된 분비성 과립으로부터 방출됨으로써 아라키돈산 대사산물이나 cytokine(IL-4, TNF-α, GM-CSF)의 합성과 분비촉진으로 만성 염증성 알레르기 반응이 유발되게 된다23-25). 따라서 활성화된 비만세포로부터 분비되는 화학매개물질들과 염증 사이토카인을 조절하는 것은 알레르기 질환의 발병과 진행을 막을 수 있는 치료 전략이 될 수 있다.
현삼의 약리작용은 무엇이 있는가? Iridoid glycoside가 유효성분으로 20∼30%는 8-(O-methyl-p-coumaroyl)-harpagide, 70 ∼80%는 harpagoside이며 이 외에도 barbiturate, flavonoid, p-methoxycinnamic acid와 정유 등이 포함되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항불안 작용10), 항균작용11), 혈압 강하 작용12), 항알레르기 작용13), 아토피 발진 억제 작용14), 갑상선기능항진증 억제 효과15), 항산화효과16), 항치매작용17), 항당뇨효과와 항염증효과18), 간세포 보호 효과19), 상처치유효과20) 등이 보고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9월에 뿌리를 채취하여 쪄서 건조하여 解熱, 消痰, 連珠瘡, 咽喉炎, 婦人腰痛, 補血에 사용하며 자음청열 (滋陰淸熱), 해독활장 (解毒滑腸), 치열병상음 (治熱病傷陰), 자음강화 (滋陰降火) 등의 본초학적 효능을 지니며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지만, 알레르기성 질병과 관계된 비만세포에서의 히스타민 방출 억제관련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roody FM, Naclerio RM. Antiallergic effects of H1- receptor antagonists. Allergy . 2000 ; 55(64):17-27. 

  2. Moon PD, Na HJ and Kim HM. Action of enzyme food, Green Life Enzyme of systemic and local ana-phylaxis. J OPEM. 2003 ; 3(1) : 46-50. 

  3. Sin TY. allergy and Oriental medicine, Sin-il, seoul 2010 ; p. 13. 

  4. Schwartz LB, Lewis RA, Seldin D, Austen KF. Acid hydrolases and tryptase from secretory granules of dispersed human lung mast cells. J Immunol . 1981 ;126(4) : 1290-4. 

  5. Marquardt DL, Wasserman SI. Modulation of rat serosal mast cell biochemistry by in vivo dexamethasone administration. J Immunol . 1983 ; 131(2) : 934-9. 

  6. Mastuda H, Morikawa T, Ueda K, Managi H, Yoshikawa M. Structural requirements of flavonoids for inhibition of antigen-Induced degranulation, TNF- ${\alpha}$ and IL-4 production from RBL-2H3 cells. Bioorg Med Chem. 2002 ; 10(10) : 3123-8. 

  7. Lee MY, Seo CS, Lee JA, Lee NH, Kim JH, Ha HK, Zheng MS, Son JK, Shin HK. Anti-asthmatic effects of Angelica dahurica against ovalbumin-induced airway inflammation via upregulation of heme oxygenase-1. Food Chem Toxicol. 2011 ; 49(4) ; 829-837. 

  8. Vo TS, Kong CS, Kim SK. Inhibitory effects of chitooligosaccharides on degranulation and cyt kine generation in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cells. Carbohyd Polym 2011 ; 84(1) : 649-655. 

  9. Lee SH, Bae EA, Park EK, Shin YW, Baek NI, Han EJ, Chung HG, Kim DH. Inhibitory effect of eupatilin and jaceosidin isolated from Artemisia princepsin IgE-induced hypersensitivity. Int Immunopharmacol. 2007 ; 7(13) : 1678-1684. 

  10. Choi YH, Jung JW. Anxiolytic-like Effects of Scrophularia buergeriana Miquel Using the Elevated Plus-Maze in Mice - Involvement of GABAergic Nervous System.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 2010 ; 24(3) : 476-483. 

  11. Yook KD. Antimicrobial activity and cytotoxicity test of Scrophularia ningpoensis hemsl extracts against Klebsiella pneumonia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2016 ; 21(5) : 135-139. 

  12. Park KH, Ham IH, Choi HY. Hypotensive Effect of Scrophularia buergeriana and Gene Analysis of Scrophularia Species. J of Herbology . 2008 ; 23(2) : 213-23. 

  13. Song JS, Lee JC, Choi JH, Kim JH, Park SY. Effects of Scrophulariae Radix (SR)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CD) induced by DNCB in mice.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 2011 ; 24(3) : 1-16. 

  14. Yeo EJ, HAN JK, Kim YH. Inhibitory Studies of Scrophulariae Radix on Development of Dermatitis in NC/Nga Mice.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2007 ; 21(2) : 13-34. 

  15. Park CU, Cho CS, Kim CJ. The Effects of Radix Scrophulariae on the Hyperthyroidism of Rats. J Korean Oriental Med . 2006 ; 27(3) : 178-186. 

  16. Park YK, Kang BS. Effects of Scrophulariae radix on Antioxidation in Rat's live. J of Herbology. 1998 ; 13(1) : 201-20. 

  17. Kim SR, Kang SY, Lee KY, Kim SH, Markelonis GJ, Oh TH, Kim YC. Anti-amnestic activity of E-Pmethoxycinnamic acid from Scrophularia buergeriana. Cognitive Brain Research. 2003 ; 17(2) : 454-61. 

  18. Ahmed B, Al-Rehaily AJ, A1-Howiriny TA, El- Sayed KA, Ahmad MS. Scropolioside-D2 and harpagoside-B : two new iridoid glycoside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Biol. Pharm. Bull . 2003 ; 26(4) : 462-7. 

  19. Lee EJ, Kim SR, Kim J, Kim YC. Hepatoprotective Phenylpropanoids from Scrophularia buergeriana roots against CCl4-Induced toxicity: Action mechanism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Planta Med . 2002 ; 68(5) : 407-11. 

  20. Tohda C, Kakihara Y, Komatsu K, Kuraishi, Y. l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of herbal medicines on substance P-induced itch-scratch response. Biol. Pharm. Bull. 2000 ; 23(5) : 599-601. 

  21. Iikura M, Yamaguchi M, Hirai K, Miyamasu M, Yamada H, Nakajima T, et al. Regulationof surface FcepsilonRI expression on human eosinophils by IL-4 and IgE. International Achives of Allergy & Immunology. 2001 ; 124(4) : 470-7. 

  22. Govan A, Macfarlane P, Callander R, Lee JD. Pathology illustrated. 2nd ed. Seoul : Koryeohwahak. 1991 : 29. 

  23.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 1987 ; 47(4) : 936-942. 

  24. Park YJ. Allergy drug developments. KISTI. Seoul: KISTI. 2006: 1-5. 

  25. Brown JM, Wilson TM, Metcalfe DD. The mast cell and allergic diseases: role in pathogenesis and implications for therapy. Clin. Exp. Allergy 2008;38:4-18. 

  26. Hu ZQ, Zhao WH, Shimamura T. Regulation of mast cell development by inflammatory factors. Curr Med Chem. 2007;14(28):3044-50. 

  27. Gordon JR. Burd PR. Galli SJ. Mast cells as a source multifunctional cytokines. Immunol. Today. 1990;11:458-64. 

  28. Song Z, Casolaro V, Chen R. Georas S.N, Monos D, Ono, S.J, Polymorphic nucleotides within the human IL-4 promoter that mediate overexpression of the gene. J Immunol 1996 ;156(2) : 424-429. 

  29. Egle P, Neil F. The RBL-2H3 cell line: its provenance and suitability as a model for the mast cell. Inflamm Res. 2009 ; 58(11) : 737-45. 

  30. Kim D, Kim SH, Park EJ, Kang CY, Cho SH, Kim S. Anti-allergic effects of PG102, a water-soluble extract prepared from Actinidia arguta, in a murine ovalbumin-induced asthma model Clin Exp Allergy. 2009;39(2):280-9. 

  31. Ahn K. Role of mast cells in allergic inflammation and innate immunity. Kor J Pediatrics . 2004;47(11):1137-11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