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활 동안 이성 친구와의 교제를 통해 어떠한 인식의 변화를 경험했는지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의미있는 주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개인이 경험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C 대학교 3, 4학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성 친구를 사귀어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 중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자 1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최종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이성 간의 교제를 통해 경험한 내용이 5개의 주제로 '남녀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 '의사소통의 영역 이해', '갈등 해결 능력의 강화', '감정조절 행동 변화', '인격의 성숙'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대학생 시기의 이성교제의 경험은 다양한 긍정적 의미와 강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험은 추후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회이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강화된 능력은 사회생활의 적응과정에서 강점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파악된다. 이에 본 연구의결과는 대학생 시기에 이성과의 친밀한 관계는 개인의 삶에 긍정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의 역량이 개발 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활 동안 이성 친구와의 교제를 통해 어떠한 인식의 변화를 경험했는지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의미있는 주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개인이 경험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C 대학교 3, 4학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성 친구를 사귀어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 중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자 1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최종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이성 간의 교제를 통해 경험한 내용이 5개의 주제로 '남녀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 '의사소통의 영역 이해', '갈등 해결 능력의 강화', '감정조절 행동 변화', '인격의 성숙'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대학생 시기의 이성교제의 경험은 다양한 긍정적 의미와 강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험은 추후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회이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강화된 능력은 사회생활의 적응과정에서 강점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파악된다. 이에 본 연구의결과는 대학생 시기에 이성과의 친밀한 관계는 개인의 삶에 긍정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의 역량이 개발 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hanges in self-awareness in response to dating members of the opposite sex among college students. The point of view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dating, it has put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change in the strength and self-awa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hanges in self-awareness in response to dating members of the opposite sex among college students. The point of view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dating, it has put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change in the strength and self-awareness. To accomplish this, interviews of 18 people who met the study criteria were conducted.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investigation. Respondents were placed in one of five categories: 'change in perception of role',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skills', 'strengthened coping ability', 'behavioral change in emotion regulation', or 'awareness of self-maturity'. Changes in perceptions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through dating were shown to improve the quality of college students' future life and applied in the strength to adapt to social life.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discovered a positive outcome in the individuals' life, trying to present the grounds that to strengthen the various reg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hanges in self-awareness in response to dating members of the opposite sex among college students. The point of view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dating, it has put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change in the strength and self-awareness. To accomplish this, interviews of 18 people who met the study criteria were conducted.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investigation. Respondents were placed in one of five categories: 'change in perception of role',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skills', 'strengthened coping ability', 'behavioral change in emotion regulation', or 'awareness of self-maturity'. Changes in perceptions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through dating were shown to improve the quality of college students' future life and applied in the strength to adapt to social life.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discovered a positive outcome in the individuals' life, trying to present the grounds that to strengthen the various region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시기에 이성교제를 통해 경험한 인식의 변화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며 이성교제를 통해 발견되는 문제점에 대해 예방하고 대처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환경과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적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이성교제를 통해 경험한 인식의 변화와 그러한 변화가 삶의 구조에서 어떠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녹음 후 필사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음으로서 상황에 대한 무언가를 느끼고자 하였다. 둘째, 원문을 검토하여 유의미한 진술로 파악되는 내용을 도출하였으며 다음으로 추출된 유의미한 진술의 의미를 생성하였다.
본 연구 분석결과 참여자들이 이성교제를 통해서 자신이 스스로에 대해 인격적으로 성숙하게 되는 것에 대해 인식하였다. 자신에 대해 성숙되었다고 보는 관점으로는 ‘상대방에 대한 이해’, ‘자신에 대한 성찰’, 긍정적 사고’, ‘행동에 대한 조절능력’, ‘대인관계 능력’ 등과 관련된 부분이 성장하고 강화되어 스스로에 대해 인격적으로 성숙된 부분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나 김예나와 김정택[10]의 보고에서는 애착의 관계가 갈등 해결 전략에 미치는 중요 요인으로 들고 있는 의미와는 성격을 달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대학생들은 사랑과 애착 같은 감정적 면보다는 문제를 객관화 시켜 좀 더 냉정한 상황에서 옳고 그름을 파악하도록 하거나, 침묵과 감정 진정시켜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면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결과로 이와 다른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성관계에서의 갈등 시 감정 표출에 대해 부정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선행 연구결과와는 다르게 오히려 감정 표출을 통해 감정의 해결을 할 수 있다는 점과 다른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한 교훈이 된다는 부분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과정을 통해 파악된 부분은 대학생들의 이성교제를 통해 남녀의 차이에 대한 인식변화, 자아개념 발달을 이룰 수 있다는 긍정적 이론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개념의 이론적 근거를 도출한 부분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이성에 대한 관심과 교제의 양상은 성장발달 단계별로 다른 의미가 있지만 특히 대학생 시기의 이성교제는 발달 과업적인 측면에서 초기 성인기에 속한 대학생들에게 중요한 발달 과업으로서 한 인간의 성숙한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이성교제과정에서 심층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경험하며, 그 과정 속에서 변화된 인식의 맥락을 파악하고자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특히 대학생시기에 이성교제 경험이 있거나 현재 교제를 하고 있는 대학생 18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대학생 시기의 이성교제를 통한 인식 변화에 따른 경험은 대부분 많은 영역에서 추후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생활 적응을 위해 강점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의의는 대학생의 이성교제의 경험은 개인의 삶에 긍정적 결과를 초래하고 다양한 영역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 시기의 이성교제는 생각과 감정, 그리고 인식을 변화시켜 개인적 삶과 사회적 관계를 위한 성숙과정에 필요한 영향요인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의의는 대학생의 이성교제의 경험은 개인의 삶에 긍정적 결과를 초래하고 다양한 영역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 시기의 이성교제는 생각과 감정, 그리고 인식을 변화시켜 개인적 삶과 사회적 관계를 위한 성숙과정에 필요한 영향요인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참여자에게 자연스러운 대화를 유도하기 위해 일상적인 대화로 면담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이성교제를 통해 어떠한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였는지에 대해 이야기 해주십시오.
면담시간은 개인 당 1시간 ∼ 1시간 30분 정도 소요 되었으며, 시간의 제약을 두지 않고 참여자가 경험과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이성교제를 통해 경험한 인식의 변화에 대해 더욱 더 심층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질적 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참여자에 대한 심층면담은 본 연구책임자 1명, 공동연구자 2명이 2016년 7월 1일부터 2016년 9월 2일까지 각각 10회기를 걸쳐 면담을 진행하였다. 사생활 보호 및 심도 있는 심층면담을 진행하기 위해 연구대상자와 같은 성별의 연구보조자가 일대일 심층면담을 하였다.
참여자에 대한 심층면담은 본 연구책임자 1명, 공동연구자 2명이 2016년 7월 1일부터 2016년 9월 2일까지 각각 10회기를 걸쳐 면담을 진행하였다. 사생활 보호 및 심도 있는 심층면담을 진행하기 위해 연구대상자와 같은 성별의 연구보조자가 일대일 심층면담을 하였다. 참여자의 편안함을 위해서 참여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선택하도록 하여 가능한 충분한 인터뷰가 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였다.
사생활 보호 및 심도 있는 심층면담을 진행하기 위해 연구대상자와 같은 성별의 연구보조자가 일대일 심층면담을 하였다. 참여자의 편안함을 위해서 참여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선택하도록 하여 가능한 충분한 인터뷰가 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였다. 참여자에게 자연스러운 대화를 유도하기 위해 일상적인 대화로 면담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이성교제를 통해 어떠한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였는지에 대해 이야기 해주십시오.
면담시간은 개인 당 1시간 ∼ 1시간 30분 정도 소요 되었으며, 시간의 제약을 두지 않고 참여자가 경험과 감정을 털어 놓을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였다. 참여자에게 구두로 사전 동의를 얻고 모든 면담내용은 조용한 환경을 조성하여 녹음하였으며, 녹음된 내용은 반복 청취 후 연구자가 필사 하였다. 필사 내용에서 의미가 불충분한 자료는 추가 면담 및 전화를 이용하여 자료를 보충하였다.
참여자에게 구두로 사전 동의를 얻고 모든 면담내용은 조용한 환경을 조성하여 녹음하였으며, 녹음된 내용은 반복 청취 후 연구자가 필사 하였다. 필사 내용에서 의미가 불충분한 자료는 추가 면담 및 전화를 이용하여 자료를 보충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자 및 공동 연구자는필사된 내용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필사 내용에서 의미가 불충분한 자료는 추가 면담 및 전화를 이용하여 자료를 보충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자 및 공동 연구자는필사된 내용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 시기의 이성교제를 통해 겪은 변화와 성장 경험에 대한 본질적인 주제의 규명을 통해 경험의 의미를 기술하고자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방법을 선택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14].
첫째, 녹음 후 필사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음으로서 상황에 대한 무언가를 느끼고자 하였다. 둘째, 원문을 검토하여 유의미한 진술로 파악되는 내용을 도출하였으며 다음으로 추출된 유의미한 진술의 의미를 생성하였다. 넷째, 생성한 의미를 주제모음으로 정리하고, 모음과 원문을 비교하여 타당성을 확인하며 모음들 사이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둘째, 원문을 검토하여 유의미한 진술로 파악되는 내용을 도출하였으며 다음으로 추출된 유의미한 진술의 의미를 생성하였다. 넷째, 생성한 의미를 주제모음으로 정리하고, 모음과 원문을 비교하여 타당성을 확인하며 모음들 사이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다섯째, 도출된 주제를 범주화하여 주제모음을 도출하였다.
넷째, 생성한 의미를 주제모음으로 정리하고, 모음과 원문을 비교하여 타당성을 확인하며 모음들 사이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다섯째, 도출된 주제를 범주화하여 주제모음을 도출하였다. 여섯째, 현상에 대한 본질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진술문을 만들어내었다.
다섯째, 도출된 주제를 범주화하여 주제모음을 도출하였다. 여섯째, 현상에 대한 본질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진술문을 만들어내었다. 마지막으로,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공동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함께 연구 수행에 대한 목적, 연구결과에 대해 풀고자 하는 연구문제에 대한 의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였다.
여섯째, 현상에 대한 본질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진술문을 만들어내었다. 마지막으로,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공동으로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함께 연구 수행에 대한 목적, 연구결과에 대해 풀고자 하는 연구문제에 대한 의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 분석결과 참여자들이 이성교제를 하는 과정과 이성교제를 경험한 이후 남녀의 역할에 대한 인식변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개념으로 남자에 대해서는 ‘책임감’과 ‘주도적’인 생각과 행동을 기대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시기의 이성교제를 통해 경험한 자기의 인식변화와 관련된 내용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심층적인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여 최종 5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5개의 범주에 포함되는 내용으로는 ‘역할에 대한 인식변화’, ‘의사소통의 이해’, ‘갈등 대처 능력 강화’, ‘감정 조절 행동변화’, ‘인격적 성숙’ 등 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이성교제를 통해 갈등 대처 능력이 강화되었으며 효과적인 갈등 대처방법으로 객관화시키거나, 침묵하고 진정하기, 상황으로부터 회피, 문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는 Laursen과 Collins[22]의 연구결과에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황과 상대에 따라 다르며, 특히 이성관계에서는 되도록 갈등을 피하려 하며, 서로 간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협상을 하거나 화해 및 보류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더욱 건설적인 방향으로 갈등을 해결한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총 5개의 영역으로 이성교제를 통한 인식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조사 분석하였으며, 본연구결과를 통해 파악되는 것은 선행연구결과 같은 맥락을 이루는 긍정적인 내용의 주제뿐만이 아니라 또 다른 차원에서의 개념도 도출되었다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갈등 해결 방법에 대한 질문에서는 사랑이 갈등 해결 전략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연구와는 다르게 객관적인 문제 해결방법을 보다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연구 참여자는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특히 대학생시기에 이성교제 경험이 있거나 현재 교제를 하고 있는 대학생 18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준비된 개방적 질문내용을 기준으로 개인별 인터뷰를 통한 필기내용, 녹음 등을 통해 수집하였고 이를 질적 분석과, 자료 수집 및 분석과정이 이루어졌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참여자 선정 기준은 S시 C간호대학에 재학 중이며 대학생활 중에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3학년, 4학년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심층면담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심층면담 참여자의 권리에 대한 설명과 함께 비밀보장 및 익명성, 연구 참여의 철회 가능성, 연구 종료 후 자료폐기 등 연구절차 및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이에 동의한 참여자로 최종 18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 선정 기준은 S시 C간호대학에 재학 중이며 대학생활 중에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3학년, 4학년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심층면담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심층면담 참여자의 권리에 대한 설명과 함께 비밀보장 및 익명성, 연구 참여의 철회 가능성, 연구 종료 후 자료폐기 등 연구절차 및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이에 동의한 참여자로 최종 18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성별이 남자 참여자가 8명, 여자 참여자가 10명이 참여하였다. 전체적인 평균 연령은 21세에서 31세로 분포되어 있었으며, 26세가 6명으로 가장 많은 빈도수를 차지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이성교제과정에서 심층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경험하며, 그 과정 속에서 변화된 인식의 맥락을 파악하고자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특히 대학생시기에 이성교제 경험이 있거나 현재 교제를 하고 있는 대학생 18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준비된 개방적 질문내용을 기준으로 개인별 인터뷰를 통한 필기내용, 녹음 등을 통해 수집하였고 이를 질적 분석과, 자료 수집 및 분석과정이 이루어졌다.
성능/효과
성별이 남자 참여자가 8명, 여자 참여자가 10명이 참여하였다. 전체적인 평균 연령은 21세에서 31세로 분포되어 있었으며, 26세가 6명으로 가장 많은 빈도수를 차지했다. 대학 입학 후 이성교제 횟수는 2번 이상이 6명, 4번 이상이 6명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시기의 이성교제 경험을 통한 인식 변화는 Table 2와 같다. 참가자들이 경험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자 18명에게 존재하는 공통된 범주 및 주제가 존재하는 것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파악된 인식변화의 범주는 총 5개 영역으로 각 범주에 해당하는 주제묶음은 6개 항목, 의미 단위는 37개로 파악되었다.
참가자들이 경험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자 18명에게 존재하는 공통된 범주 및 주제가 존재하는 것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파악된 인식변화의 범주는 총 5개 영역으로 각 범주에 해당하는 주제묶음은 6개 항목, 의미 단위는 37개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 분석결과 참여자들이 대학생 시기의 이성교제를 통해서 경험한 남녀 역할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이성교제 경험 전과 경험 후의 역할에 대한 변화가 있음이 파악되었다. 대학생의 이성교제 경험 전에는 대부분 남자는 의사결정을 주도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하고, 의지하고 싶은 대상, 경제적으로 우위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이성교제 이후의 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는 남자는 여자에 대한 책임 있는 행동, 결정의 상황에서 주도적이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분석결과 참여자들이 대학생 시기의 이성교제 경험 전 남녀 각각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남자에 대해서는 ‘ 주도적 의사결정’, ‘ 의지할 수 있어야 함’, ‘경제적 우위’ 등의 인식내용이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여자에 대한 기대 및 인식에 대해서는 ‘세심한 배려자’이어야 하고, ‘외적인 여성스러움’ 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관계를 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여성은 ‘예의바름’, ‘보살핌’ 등으로 파악되었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에서 필요한 것으로는 상대방을 배려하는 것이 가장 인간관계의 기본이라고 설명하였고, 다음으로 ‘솔직함’, ‘인내심’, ‘경청’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분석결과 이성 교제의 과정에서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한 영역으로 도출되었으며 특히 그 방법과 내용에 대한 개념이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이성교제에서 서로 신뢰할 수 있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의 태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분석결과 이성 교제의 과정에서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한 영역으로 도출되었으며 특히 그 방법과 내용에 대한 개념이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이성교제에서 서로 신뢰할 수 있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의 태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에서 필요한 것으로는 상대방을 배려하는 것이 가장 인간관계의 기본이라고 설명하였고, 다음으로 ‘솔직함’, ‘인내심’, ‘경청’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분석결과 참여자들이 이성교제를 통해 경험하는 것으로 서로들의 관계에서 문제가 도래하고 서로 대립하게 되는 위기나 갈등이 발생할 때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나타난 방법으로는 ‘문제 객관화시키기’, ‘침묵과 진정하기’, ‘상황을 회피하기 ’, ‘ 대화로 이해시키기’ 등의 방법으로 갈등을 대처해 나간다고 하였다.
본 연구 분석결과 이성교제 시 감정을 조절해야 하는 상황에서의 행동 양상은 대부분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기’, ‘ 혼자 울거나 참고 견딤’, 또한 ‘ 행복한 활동으로 전환’, 그리고 ‘상대방의 중요성 재인식’ 등의 내용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남녀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지금까지 고정적인 성 역할 즉, 남녀 간에 서로 기대하는 역할은 분명히 존재한다. 이재림[15]에 따르면, 이성교제 시 문제가 발생하는 중요한 원인은 남녀 간의 차이이며 이성교제에 대한 생각이나 기대, 가치관의 차이에서부터 감정이나 욕구를 표현하는 방식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설명하였다.
둘째, 의사소통의 영역 이해에 대해 살펴보면 지금까지의 의사소통에서의 중요성은 대체로 전반적인 대인관계에서만 다뤄졌다. Bienvenu와 McClain[19]에 따르면 의사소통은 "서로를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시각에서 문제를 보기 위해" 그리고 "감정과 의미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 및 비언어적인 총체"라고 그 중요성을 제시하였고, 김경희[20]는 의사소통은 인간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이며 의사소통의 수준은 사람간의 관계를 지속할 수 있도록 그 여부를 결정하는 요소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의사소통이란 한 개인이 여러 사람과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를 맺도록 하므로 이성교제라는 대인관계의 영역에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도 한 개인과 한 개인, 즉 이성과의 관계 속에서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성간의 의사소통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가 무엇이며, 그 중요한 요인들을 이성교제를 통해 이해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이성교제 시 상대를 배려하는 것이 의사소통에서 가장 중부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도 한 개인과 한 개인, 즉 이성과의 관계 속에서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성간의 의사소통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가 무엇이며, 그 중요한 요인들을 이성교제를 통해 이해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이성교제 시 상대를 배려하는 것이 의사소통에서 가장 중부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사소통의 유형에서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는 방식이 이성 간에 중요하다고 설명한 장춘미[21]의 연구에서 나타난 이론적 근거와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성과의 교제의 과정에서 변화될 수 있었던 부분은 여러 긍정적, 부정적 상황으로부터의 학습을 통해 상대방에 대한 이해심이 강화되었고,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 긍정적인 사고, 자신에 대한 사고와 행동의 조절하고, 대인관계에서의 성숙된 모습을 보일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으로 보여진다. 즉 한 개인만이 아닌 친밀한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자기에 대한 이해와 성찰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강진희[23]의 의미 있는 대상과의 관계는 대학생의 긍정적인 자아개념 발달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와 같은 맥락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대학생이 이성교제를 통해 경험한 부분은 총 5개의 범주로 ‘남녀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 ‘의사소통의 영역 이해’, ‘갈등 해결 능력의 강화’, ‘감정조절 행동변화’, ‘인격의 성숙’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대학생 시기의 이성교제를 통한 인식 변화에 따른 경험은 대부분 많은 영역에서 추후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생활 적응을 위해 강점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의의는 대학생의 이성교제의 경험은 개인의 삶에 긍정적 결과를 초래하고 다양한 영역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성 간의 교제에서 경험할 수 있다고 나타난 주제는 무엇인가?
연구 참여자는 C 대학교 3, 4학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성 친구를 사귀어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 중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자 1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최종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이성 간의 교제를 통해 경험한 내용이 5개의 주제로 '남녀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 '의사소통의 영역 이해', '갈등 해결 능력의 강화', '감정조절 행동 변화', '인격의 성숙'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대학생 시기의 이성교제의 경험은 다양한 긍정적 의미와 강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험은 추후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회이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강화된 능력은 사회생활의 적응과정에서 강점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파악된다.
대학생 시기의 이성교제의 경험이 주는 장점은?
본 연구 결과에서는 이성 간의 교제를 통해 경험한 내용이 5개의 주제로 '남녀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 '의사소통의 영역 이해', '갈등 해결 능력의 강화', '감정조절 행동 변화', '인격의 성숙'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대학생 시기의 이성교제의 경험은 다양한 긍정적 의미와 강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험은 추후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회이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강화된 능력은 사회생활의 적응과정에서 강점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파악된다. 이에 본 연구의결과는 대학생 시기에 이성과의 친밀한 관계는 개인의 삶에 긍정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의 역량이 개발 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성교제에 대한 인식에서 정의가 비교적 정확해지는 시기로 보이는 것은 언제인가?
초등학생 시기에는 ‘서로 사귄다’라는 표현으로 이성과의 교제를 인식하며, 고등학교 시기까지는 이성 친구에 대해 특별히 친근하게 지내는 이성의 대상이 존재하면 이성교제를 한다고 생각한다[2]. 이처럼 청소년기의 이성교제는 개념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면이 있지만[3], 반면 대학생의 이성교제는 우정의 개념을 떠나 연인 간에 서로 성적인 감정과 욕구를 느끼며, 때로는 실제 성 행동을 경험한다는 면에서도 이전의 이성교제와는 차별성을 가진다[4].
참고문헌 (28)
I. K. Kim, "Developmen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students' sense of self-efficacy in forming a male-female relationship and verification of the program effect", Kongju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0.
W. B. Ahn, J. G. Lee, Y. H. Kim, "The Comparison of Psycho-Social Environment Between Adolescents With and Without Romantic Partner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ol. 14, no. 2, pp. 59-65, 2002.
J. H. Kim, D. W. Jeong, "The Effect of Romantic Relationship on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vol. 17, no. 3, pp. 19-31, 2008.
S. H. Cho, "A study on Sexual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Dating". Myongji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1.
E. Y. Park, "Study on the Concern with Teenagers' Intersexual Friendship and Sexual Behavior". Donga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0.
H. S. Lee,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Task and Adjustmen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Yonsei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4.
I. S. No, "Spouse Satisfaction of Korean Urban Married Men and Women: individual, Environmental, and interaction Factors". Korea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2.
N. R. Kim, "The effect of attachment on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in college students' romantic relationship : mediated by Negative Mood Regulation".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2.
J. W. Sung, "The Effects of Undergraduate Couples' Family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ving Strategies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ctor and Partner Effect". Ewha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5.
Y. N. Kim, J. T. Kim, "The Relations among Adult Romantic Attachment, Love Attitudes and Courtship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pp. 24-28, 2008.
M. R. Seo,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Types in University Students". Ko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M. Y. Kim, "A Study on the Dating and family variables among university students". Ulsan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0.
M. J. Kim, "A Study about Dating Communi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Youth". Jin Ju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9.
Y. H. Choi, "Qualitative Nursing Research", Soomoonsa: seoul, 1993.
J. R. Lee, S. W. Ok, K. H. Lee,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ogram for Understanding Gender Differences in Dating Relationships".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0, no. 5, pp. 37-49, 2002.
F. M. Cancian. "Love And Power: Types Of Marriage In The US". pp. 215-243, Urban Anthropology and Studies of Cultural Systems and World Economic Development, 1986.
Y. J. Kim, D. S. Kim, "Variables that Affect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g(1) Focused on inflictor".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37, no. 10, pp. 27-42, 1999.
C. Hazan, P. Shaver, "Romantic lover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pp. 511-524, 1987.
M. J. Bienvenu, S. McClai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Home Economics, vol. 62, pp. 344-345, 1970.
K. H. Kim,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Communication Style and Stress Coping on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in Romantic Relationship". Ha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8.
C. M. Chang, "The Effects of stress on marital satisfaction". Seoul Women's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1.
B. Laursen. WA. Collins, "Interpersonal conflict during adolescence". Psychological bulletin, 115, p.197, 1994.
J. H. Kang, "The Relationship among Types of Dating, Emotional Experience, Conflict Resolving Strategies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College Students". Myongi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1.
D. Crammer,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conflict style in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Psychology, vol. 134, no. 3, pp. 337-341, 2000. DOI: https://doi.org/10.1080/00223980009600873
S. A. Lee, "Effects of abandonment schema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 mediation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e Catholic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9.
S. H. Lee, "There relationship among Interpersonal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nger Ex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0.
G. R. Kim, Y. J. Kim, I. A. Byoun, E. S. Lim, E. S. Choi,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Heterosexual". Family Management Research, vol. 12, pp. 101-115, 1993.
Soo. Bin. Shin. "A Qualitative Study on the growth following romantic relationship Break up of college students". Ajou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2.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