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노인복지관 통합건강케어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혈압, 혈당, 체중, 체성분,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prehensive Health Care Program for Living Alone Older People on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Body Composition, Depression at a Senior Welfare Cent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526 - 535  

장애순 (목포이랜드노인복지관 건강관리실) ,  황은정 (세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M시에 소재한 일개 노인복지관에서 인근 거주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통합건강케어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후 대상자의 혈압, 혈당, 체중, 체성분,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단일집단 사전 사후 설계연구이다. 통합건강케어 프로그램은 2015년 3월부터 6월까지 총 3개월동안 운영되었으며, 열린 강좌, 운동교실, 건강상담 및 관리, 영양상담, 자조모임 지원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의 표본 요소는 M시에 거주하는 고혈압 또는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거동이 가능하며 인근에 거주하여 걸어서 복지관에 올 수 있는 65세 이상 혼자 사는 노인 34명을 1차 대상자로 선정하여 이들 중 복지관에 5회 미만 출석한 5명의 대상자를 제외하고 29명을 최종 대상자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t-test와 Pearson correlation을 적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는 19명(65.52%), 여자는 10명(34.48%)이었다. 연령은 70대가 16명(55.17%)로 가장 많았으며, 현재 고혈압과 당뇨병을 모두 앓고 있다고 답한 대상자는 14명(48.27%)으로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 출석횟수는 평균 10.28회(${\pm}4.17$)였다. 이 연구대상자들은 통합케어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참여 후 수축기혈압(t=3.275, p=0.004), 체중(t=3.878, p=0.001), 우울감(t=3.308, p=0.004)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급증하는 노인 인구와 함께 독거노인 비율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독거노인들은 신체적 건강 뿐 아니라 심리적 건강 요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는 지속적으로 독거노인들을 위한 신체적 심리적 건강관리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comprehensive health care program for elderly living alone on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body composition, and depression at a senior welfare center in M city. The study employed a one-group, pre-posttest design. The comprehensive health 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M시에 소재한 일개 노인복지관에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통합건강케어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후 대상자의 혈압, 혈당, 체중, 체성분,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에서 제공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통합건강케어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만성질환 관리와 사회적 관계형성을 위한 통합건강케어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혈압, 혈당, 체성분, 우울감을 측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 통합건강케어 프로그램은 독거노인들의 다양한 건강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강교육, 운동, 영양, 건강관리 및 상담, 자조집단 운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적용한 건강관리프로그램이라는 장점은 있으나 출석률 관리 애로, 다양한 대상자 특성 고려 미흡 등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해 나갈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를 통해 몇 가지 통합건강케어 프로그램 중재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참여횟수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대상자에게 교육 마칠 무렵 다음 교육날짜를 알려줄 뿐 아니라 전화를 통한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이 연구는 노인복지관에서 제공하는 독거노인 대상 통합건강케어프로그램이 대상자의 혈압, 혈당, 체중, 체성분,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프로그램 제공 전과 제공 후 차이를 비교하는 단일집단 사전 사후 설계연구이다.
  • 이 연구의 목적은 M시에 소재한 일개 노인복지관에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통합건강케어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후 대상자의 혈압, 혈당, 체중, 체성분,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에서 제공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통합건강케어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 이 연구의 목적은 M시에 소재한 일개 노인복지관에서 인근 거주 독거노인을 위한 통합건강케어프로그램에 참여 전과 참여 후 대상자의 혈압, 혈당, 체중, 체성분,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에서 제공하는 독거노인을 위한 통합건강케어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 또한 Cho와 Lee[27]에 의하면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어 공동체 활동, 복지서비스 연계 등의 다양한 사회관계망 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이 연구에서 복지관 방문횟수가 높아 다양한 활동에 보다 빈번히 참여한 대상자일수록 혈압, 체중, 우울감 등이 향상되는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 이렇듯 독거노인은 질병으로 인한 고통과 함께 사회적 지지와 관계형성 촉진에 대한 요구가 비독거 노인집단과 비교하여 보다 더 요구된다는 것을 관련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특히 고혈압, 당뇨, 우울감은 노인들에게 빈번히 발생되는 질환이며,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질환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통합건강케어 프로그램 중재안의 내용은 무엇인가? 따라서 이 연구결과를 통해 몇 가지 통합건강케어 프로그램 중재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참여횟수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대상자에게 교육 마칠 무렵 다음 교육날짜를 알려줄 뿐 아니라 전화를 통한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 연구의 통합케어프로그램은 79세 이하 대상자에게는 체지방 감소 효과를 보였지만, 우울감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혼자 사는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배경은 무엇인가? 8%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2018년 14%를 넘어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1].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핵가족화 등 사회적 환경의 변화로 혼자 사는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노인 중 혼자 사는 독거노인은 1994년 13.
통합건강케어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이 연구는 M시에 소재한 일개 노인복지관에서 인근 거주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통합건강케어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후 대상자의 혈압, 혈당, 체중, 체성분,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단일집단 사전 사후 설계연구이다. 통합건강케어 프로그램은 2015년 3월부터 6월까지 총 3개월동안 운영되었으며, 열린 강좌, 운동교실, 건강상담 및 관리, 영양상담, 자조모임 지원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의 표본 요소는 M시에 거주하는 고혈압 또는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거동이 가능하며 인근에 거주하여 걸어서 복지관에 올 수 있는 65세 이상 혼자 사는 노인 34명을 1차 대상자로 선정하여 이들 중 복지관에 5회 미만 출석한 5명의 대상자를 제외하고 29명을 최종 대상자로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SIS 100 Indicators [Internet]. Daejeo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7[cited 2017 July 10]. Available from: http://kosis.kr (accessed July, 10, 2017) 

  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Prospective estimating population and household. Daejeo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 http://www.1661-2129.or.kr/index.html. 

  3. M. Hughes, W. R. Gove, "Living Alone, Social Integration, and Mental Health",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87, no. 1, pp. 48-74, 1981. DOI: https://doi.org/10.1086/227419 

  4. D. Russell, J. Taylor, "Living Alone and Depressive Symptoms: the Influence of Gender, Physical Disability, and Social Support among Hispanic and Non-hispanic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 64B, no. 1, pp. 95-104, 2009. DOI: https://doi.org/10.1093/geronb/gbn002 

  5. J. Seok, E. Jang.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resource by gender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living alon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71, no. 2, pp. 321-349, June. 2016. 

  6. K. T. Kim, B. G. Park,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Network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20, no. 1, pp. 153-168, 2000. 

  7. J. K. Kim, Living experiences of low-income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 Daejeon. 2009. 

  8.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Nationwide survey on current state of elderly abuse", Health and Welfare Issue & Focus, Korea, pp. 3-4, 2011. 

  9.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Nationwide survey on current state of elderly abuse", Health and Welfare Issue & Focus, Korea, p. 8, 2011. 

  10. S. S. Lee, S. H. Kim, "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Social Welfare Needs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n the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focused on the Province of Jeollanamdo", Regional Development Study, vol. 11, no. 1, pp. 23-60, Aug. 2011. 

  11. Y. Choi, "Effect of economic level, health status, social supports on elderly who live alone", Social Science Study, vol. 24, no. 4, pp. 103-123, 2008. 

  12. K. W. Cuo,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health status, social supports, and leisure activities of elderly wome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27, pp. 203-229, 2005. 

  13. Y. I. Kim, H. S. Jung, S. J. Choi, C. H. Lee, Affecting factors on self-efficacy of walking exercise in working 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0, no. 3, pp. 255-267, Sept. 2003. 

  14. F. Faul, E. Erdfelder, A-G. Lang,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39, pp. 175-191, 2007. DOI: https://doi.org/10.3758/BF03193146 

  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Healthy and unhealthy blood pressure ranges [Internet]. Texas: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7[cited 2017 July 11]. Available from: http://www.heart.org/HEARTORG/Conditions/HighBloodPressure/AboutHighBloodPressure/Understanding-Blood-Pressure-Readings_UCM_301764_Article.jsp (accessed July, 11, 2017) 

  16.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Treatment and Control [Internet].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7[cited 2017 July 10]. Available from: http://www.diabetes.or.kr/general/class/medical.php?modeview&number322&idx6 (accessed July, 10, 2017) 

  17. J. A., Sheikh, J. A. Yesvage,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Recent findings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In: Brink, T. L.,(Ed),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pp. 165-173). The Haworth Press, USA, 1986. 

  18. B. S. Ke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35, no. 2, pp. 298-307, 1996. 

  19. H. J. Kim,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rural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their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7, no. 3, pp. 254-261, Sep. 2016.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3.254 

  20. D. G. Harward, W. W. Barker, R. L. Owby, M.. Mullan, R. Duara,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in non-demented community-dwelling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14, no. 5, pp. 331-337. 1999. DOI: https://doi.org/10.1002/(SICI)1099-1166(199905)14:5 3.3.CO;2-8 

  21. R. E. Robert, S. J. Shema, G. A. Kaplan, W. J. Strawbridge, "Sleep complaints and depression in an aging cohort",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57, no. 1, pp. 81-88, 2000. DOI: https://doi.org/10.1176/ajp.157.1.81 

  22. Y. M. Jung. "Health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of Depression according to Depressio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7, no. 1, pp. 71-86, Feb. 2007. 

  23. E. H. Cho, J. H. Chun, S. W. Lee, "A model for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Geriatric Society, vol. 4, no. 3, pp. 148-163, 2000. 

  24. Y. E. Kwon, S. Y. Kim, "Factors influencing the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3, pp. 262-269, Mar.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3.262 

  25. D. S. Gray, Diagnosis and prevalence of obesity,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73, no. 1, pp. 1-13. 1989. DOI: https://doi.org/10.1016/S0025-7125(16)30688-5 

  26. J. Kang, Y. Chung, The influences of physical health, cognitive symptom and nutritional status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dwelling in a big c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19, no. 3, pp. 378-387, July. 2008. 

  27. S. H. Cho, H. Y. Lee,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low-income elderly people who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12, pp. 8957-8965, Dec.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2.89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