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독거노인과 여성독거노인의 행복감 영향요인: 2015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 활용
Factors Influencing the Happines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Data from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3 no.2, 2017년, pp.97 - 106  

김경숙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appiness according to gender of the elderly living alone.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the raw data from the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705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지역사회간호사의 간호활동으로 독거노인의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분인 국가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건강검진이나 수면시간과 같은 변수를 활용하여 행복감을 분석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삶에 대한 만족도로 행복감을 측정한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남성독거노인과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상태나 건강유지활동에 따라 행복감 수준을 분석하고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이나 상담 및 지지 등의 간호활동을 통해 독거노인의 행복감 향상에 기여하는 등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을 강화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모든 국민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도모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2015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남성독거노인과 여성독거노인의 행복감 수준을 분석하고,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남성독거노인과 여성독거노인의 행복감 수준과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 행복감이 상대적으로 낮은 독거노인에게 지역사회간호사가 더 많은 관심을 갖고, 독거노인의 요구 사정을 통해 필요한 교육이나 상담, 연계 등의 간호중재를 강화시키는 것이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간호사가 관심을 갖고 간호중재를 수행할 수 있는 부분인 수면시간과 건강검진 수검 여부도 독거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고 있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남성독거노인과 여성독거노인의 행복감 수준을 분석하고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간호사가 독거노인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행할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개발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남성독거노인과 여성독거노인의 행복감을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건강유지활동에 따라 비교한 결과, 모든 변수에서 남성독거노인보다 여성독거노인의 행복감이 더 높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삶에 대한 만족도로 행복감을 측정한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남성독거노인과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상태나 건강유지활동에 따라 행복감 수준을 분석하고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이나 상담 및 지지 등의 간호활동을 통해 독거노인의 행복감 향상에 기여하는 등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을 강화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모든 국민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도모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이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주제는? 그동안 수행된 노인이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많은 연구들에서는 우울이나 자살생각, 건강상태,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 가족이나 사회적인 지지 등 노인의 건강한 삶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어 왔다[6-7, 11-15]. 그러나 지역사회에서 노인들이 건강유지에 중요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걷기운동이나 아침식사 실천과 같은 건강유지활동이 삶에 대한 만족감이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특히 지역사회간호사의 간호활동으로 독거노인의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분인 국가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건강검진이나 수면시간과 같은 변수를 활용하여 행복감을 분석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삶에 대한 만족도로 행복감을 측정한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남성독거노인과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상태나 건강유지활동에 따라 행복감 수준을 분석하고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노인이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는 어떤 주제를 다루어 왔는가? 그동안 수행된 노인이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많은 연구들에서는 우울이나 자살생각, 건강상태,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 가족이나 사회적인 지지 등 노인의 건강한 삶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어 왔다[6-7, 11-15]. 그러나 지역사회에서 노인들이 건강유지에 중요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걷기운동이나 아침식사 실천과 같은 건강유지활동이 삶에 대한 만족감이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독거노인이나 여성노인은 다른 사람과 같이 사는 노인이나 남성노인에 비해 어떤 문제점을 갖고 있는가? 노인, 특히 독거노인이 신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한 노후를 보내는 것은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그동안 노인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고, 행복감 측정은 주로 삶에 대한 만족도, 삶의 질, 안녕감 등으로 조사되어 왔다[5]. 기존 연구들에서는 독거노인이나 여성노인이 가족 또는 타인과 동거하는 노인이나 남성노인에 비해서 신체적인 건강상태가 더 나쁘고, 더 우울한 경향이 있고, 사회적인 지지가 낮을 뿐 아니라, 삶의 질이나 삶에 대한 만족도도 더 낮다고 보고되고 있다[6-10]. 이는 노인의 성별이나 동거가족 유무에 따라 건강상태나 삶의 질과 만족도 영향요인이 다를 수 있음을 암시해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Population censu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7 February 3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mTabId M_01_01.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healthy welfare project guide for the elderly.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cited 2017 February 3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 320&CONT_SEQ36825&page1.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Life instructor of elderly living alone 'A guardian role of elderly living alon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7 [cited 2017 February 3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42265&SEARCHKEYT ITLE&SEARCHVALUE.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senior care services project guid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ited 2017 February 3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3&CONT _SEQ337385&page1. 

  5. Chen Z, Davey G. Happ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mainland China.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2008;9(4):589-600. http://dx.doi.org/10.1007/s10902-008-9092-7 

  6. Jennifer Yeh SC, Lo SK. Living alone, social support, and feeling lonely among the elderly.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2004;32(2):129-138. https://doi.org/10.2224/sbp.2004.32.2.129 

  7. Kim KB, Lee YJ, Sok SH.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Elderly Living with Family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2008;20(5):31-33. 

  8. Sok SH. A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health status, family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aged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fami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8;19(4):564-574. 

  9. Kim HR, Kim EH.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risk factors between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living with othe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1B):463-477. 

  10. Park MJ. Suicidal ideation and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sex in elderly by using Korea health panal data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5;17(2B):1087-1099. 

  11. Wilson K, Mottram P, Sixsmith A. Depressive symptoms in the very old living alone: prevalence, incidence and risk fa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7;22(4):361-366. http://dx.doi.org/10.1002/gps.1682 

  12. Msc CT, Munsawaengsub C, Charupoonphol P. Factors influencing life happiness among elderly female in Rayong Province, Thailand. Journal of the Medical Association of Thailand. 2009;92(7):S8-12. http://www.mat.or.th/journal 

  13. Yahaya N, Abdullah SS, Momtaz YA, Hamid, TA. Quality of life of older Malaysians living alone. Educational Gerontology. 2010;36:893-906. http://dx.doi.org/10.1080/03601271003609009 

  14. Kim KJ, Kim HJ. The influence of self esteem on the elder'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mediating effect of health empowerm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6;18(2B):981-994. 

  15. Baek SS, Kim KS. A study about depression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0;12(5B):2555-2566. 

  16. Lim GT, Kwon IS, Kim SY, Cho YC, Nam HS. Difference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ocial class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5):2189-2198. http://dx.doi.org/10.5762/KAIS. 2012.13.5.2189 

  17. Park JH, Cheong JH.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 mediating effect of problem drinking.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0;47:309-329. 

  18. Seok JE, Jang EJ.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resource by gender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living alon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16;71(2):321-349. 

  19. Ghubach R, El­Rufaie O, Zoubeidi T, Sabri S, Yousif S, Moselhy HF.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and mental disorders among older adults in UAE in general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0;25(5):458-465. http://dx.doi.org/10.1002/gps.2360 

  20. Sumngern C, Azeredo Z, Subgranon R, Sungvorawongphana N, Matos E. Happiness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ies: A study in senior clubs of Chonburi Province, Thailand.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0;7(1):47-54. http://dx.doi.org/10.1111/j.1742-7924. 2010.00139.x 

  21. Cho KH, Jeong YJ, Cho YC. Factors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symptoms among the elderly in rural areas. Korean Journal of Rural Medicine. 2003;28(2):71-85. 

  22. Lee JY, Im GS. Self-enhancing bias in personality, subjective happiness, and perception of life-events: A replication in a Korean aged sample. Aging and Mental Health. 2007;11(1):57-60. http://dx.doi.org/10.1080/ 13607860600736265 

  23. Baek SS. Factors affecting on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6; 18(2B):1011-1021. 

  24. Liu LJ, Guo Q. Life satisfaction in a sample of empty-nest elderly: a survey in the rural area of a mountainous county in China. Quality of Life Research. 2008;17(6):823-830. http://dx.doi.org/10.1007/ s11136-008-9370-1 

  25. Kim MR. Stressors of older adults and the effect of adult children's support on their happiness and depressive symptom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012;32:1-27. 

  26. Chung HJ, Kim TH, Lee DS. Related variables of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Chonbuk-do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00;20(2):49-70. 

  27. Khazaee­pool M, Sadeghi R, Majlessi F, Rahimi Foroushani A.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programme on happiness among older people.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5;22(1):47-57. http://dx.doi.org/10.1111/jpm.1216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