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Hair-growth Promotion Effects of Tenebrio molitor Larvae Extracts (TM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11 = no.211, 2017년, pp.1269 - 1275  

백민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서민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김미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윤은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바이오산업융합학과) ,  황재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곤충을 식품 및 바이오 소재로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곤충을 이용한 모발 성장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탈모 예방 및 모발 성장 효과를 가진 새로운 천연물 소재 개발을 위해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연구하였다.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를 위해서 DPPH 라디칼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모발 성장촉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인간 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와 섬유아세포(fibroblast, NIH3T3 cell)를 이용하였으며 MTS assay를 통해 세포생존율 및 세포증식률을 측정하였다. 모유두세포에서 dihydrotesteone (DHT)에 의한 세포사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섬유아세포에서는 tolbutamide (TBM)의 potassium channel blocker 역할에 의한 세포사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DPPH radical 및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결과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은 항산화 역할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된 블루베리와 유사하거나 높은 정도의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vitro 상에서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48시간 동안 처리한 경우, 모유두세포와 섬유아세포의 세포증식을 218% 및 116%까지 증가시켰다. 또한, 모유두세포에서 DHT 처리에 의한 세포사가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섬유아세포에서는 potassium channel blocker인 TBM에 의해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으나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 처리 시 세포생존율이 정상군과 비슷한 정도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성장 및 탈모방지 기능성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nebrio molitor samples were investigated as novel biomaterials and sources of food in several recent studies. However, the insects' effects on hair growth were not sufficiently researched. To develop novel and natural materials for preventing alopecia and promoting hair growth, this study invest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모발의 성장 촉진 효과를 연구한 결과는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천연물소재인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인간 모유두세포, 섬유아세포의 세포 증식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현재의 약물 치료법을 대체할 수 있는 모발 성장 및 탈모 방지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모의 원인은? 전체 모발의 80-90% 정도의 모낭이 성장하는 성장기(anagen), 세포사멸(apoptosis)에 의해 모낭의 성장이 정지되고 모근이 위축되는 퇴행기(catagen), 모근이 완전히 각화되어 곤봉모가되는 휴지기(telogen) 등의 단계에 따라 성장과 탈모를 거듭한다[34]. 탈모는 모발성장주기 중 휴지기가 길어지거나 휴지기에 있는 모낭의 수가 증가하여 모발 탈락이 과도하게 일어나는 것을 뜻하며, 스트레스 과다, 영양결핍, 국소혈류 장애, 남성호르몬의 관여,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이유로 나타난다. 최근에는 스트레스 증가와 식생활 변화 등으로 탈모 인구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탈모 예방과 발모 촉진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14, 23].
모발의 역할은? 모발은 직사광선, 물리적 마찰과 같은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고 신체의 온도유지에 관여하며 개성이 중요시되는 현대에는 개개인의 특징을 보여줄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있다[16, 20]. 모발의 성장은 모낭으로부터 시작되어 복합적, 주기적으로 조절되는 과정으로 3개의 구간을 반복하게 된다.
모발 손실 예방 및 모발 성장 강화 효과를 가진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기존 탈모 치료제의 어떤 부작용 때문인가? 안드로겐성 탈모(androgenic alopecia, AGA)는 가장 흔한 유형의 탈모로 남성형 탈모로 알려져 있으며, 모낭주기의 성장단계가 반복적으로 조기 종료되어 발생한다[26]. 현재 미국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로부터 승인 받은 탈모치료제는 minoxidil과 finasteride가 있으나 finasteride의 성기능 저하 및 기형아 출산 부작용, minoxidil의 알레르기성 피부염, 가려움증 및 사용 중단 시 탈모가 재발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탈모 치료제로서의 단점이 있다[11, 24].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안전하고 모발 손실 예방 및 모발 성장 강화 효과를 가진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3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ek, M., Yoon, Y. I., Kim, M. A., Hwang, J. S., Goo, T. W. and Yun, E. Y. 2015. Physical and sensory evaluation of Tenebrio molitor larvae cooked by various cooking methods. Kor. J. Food Cook. Sci. 31, 534-543. 

  2. Bastide, N. M., Pierre, F. H. and Corpet, D. E. 2011. Heme iron from meat and risk of colorectal cancer: a meta-analysis and a review of the mechanisms involved. Cancer Prev. Res. 4, 177-184. 

  3. Brand-Williams, W., Cuvelier, M. E. and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 25-30. 

  4. Buhl, A. E., Waldon, D. J., Conrad, S. J., Mulholland, M. J., Shull, K. L., Kubicek, M. F., Johnson, G. A., Brunden, M. N., Stefanski, K. J. and Stehle, R. G. 1992. Potassium channel conductance: a mechanism affecting hair growth both in vitro and in vivo. J. Invest. Dermatol. 98, 315-319. 

  5. Chao, D., Bahl, P., Houlbrook, S., Hoy, L., Harris, A. and Austyn, J. M. 1999. Human cultured dendritic cells show differential sensitivity to chemotherapy agents as assessed by the MTS assay. Br. J. Cancer 81, 1280-1284. 

  6. Choi, S. Y., Chung, M. J., Lee, S. J., Jung, H. S. and Sung, N. J. 2007. N-nitrosamine inhibition by strawberry, garlic, kale, and the effects of nitrite-scavenging and N-nitrosamine formation by functional compounds in strawberry and garlic. Food Control 18, 485-491. 

  7. Chung, M. Y., Kwon, E. Y., Hwang, J. S., Goo, T. W. and Yun, E. Y. 2013. Pre-treatment conditions on the powder of Tenebrio molitor for using as a novel food ingredient. J. Seric. Entomol. Sci. 51, 9-14. 

  8. Cotelle, P. and Vezin, H. 2011. Reaction of caffeic acid and derivatives with acidic nitrite. Tetrahedron Lett. 42, 3303-3305. 

  9. Deborah, A. S., Ian, F., Darren, M. T., Michael, P. P., Gillian, E. W. and Terence, K. 1996. In the absence of streptomycin, minoxidil potentiates the mitogenic effects of fetal calf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 1, and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on NIH3T3 fibroblasts in a $K^{+}$ channel-dependent fashion. J. Invest. Dermatol. 107, 229-234. 

  10. Gray, J. I. and Dugan, L. R. J.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11. Hagemann, T., Schlutter-Bohmer, B., Allam, J. P., Bieber, T. and Novak, N. 2005. Positive lymphocyte transformation test in a patient wit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of the scalp after short-term use of topical minoxidil solution. Contact Dermatitis 53, 53-55. 

  12. Hwang, H. S., Hwang, T. H., Pyo, A. H. and Ju, E. H. 2017. Anti-oxidant efficacy and effects on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in human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of Rosa multiflora root extracts. Asian J. Beauty Cosmetol. 15, 146-158. 

  13. Hwang, S. Y., Bae, G. and Choi, S. K. 2015. Preferences and purchase intention of Tenebrio molitor (Mealworm) according to cooking method. Kor. J. Culin. Res. 21, 100-115. 

  14. Jeon, H. Y., Kim, S. H., Kim, C. W., Shin, H. J., Seo, D. B. and Lee, S. J. 2011.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black soybean extract in vitro and in vivo. Kor. J. Food Sci. Technol. 43, 747-753. 

  15. Jo, S. J., Choi, S. J., Yoon, S. Y., Lee, J. Y., Park, W. S., Park, P. J., Kim, K. H., Eun, H. C. and Kwon, O. 2013. Valproic acid promotes human hair growth in in vitro culture model. J. Dermatol. Sci. 72, 16-24. 

  16. Joo, S. S. 2011. In vitro and In vivo Hair growth promotion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fermented plant extracts (MBN). Kor. J. Food Sci. Technol. 43, 381-386. 

  17. Kang, K. I., Kim, S. C., Kim, M. K., Boo, H. J., Jeon, Y. J., Koh, Y. S., Yoo, E. S., Kang, S. M. and Kang, H. K. 2012. Effect of dieckol, a component of Ecklonia cava, on the promotion of hair growth. Int. J. Mol. Sci. 13, 6407-6423. 

  18. Kim, S. H., Shon, J. Y., Park, J. S., Kim, J. W., Kang, J. H., Yun, E. Y., Hwang, J. S. and Kim, H. M. 2016. Change in dietary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using mealworms as hospital meal in postoperative patients. J. Kor. Diet. Assoc. 22, 292-309. 

  19. Kim, Y., Han, H. and Park, Y. 2015. The plan for activation of insect industr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758, 1-148. 

  20. Lee, H. S. and Hwang, S. Y. 2009. Effects of $DCS^{(R)}$ hair tonic on hair growth promotion in an alopecia model of C57BL/6 mice. Kor. Education J. Aesthet. Soc. 7, 131-142. 

  21. Lee, J. E., Lee, A. J., Jo, D. E., Cho, J. H., Youn, K., Yun, E. Y., Hwang, J. S., Jun, M. and Kang, B. H. 2015. Cytotoxicity effects of Tenebrio molitor larval extracts against hepatocellular carcinoma. J. Kor. Soc. Food Sci. Nutr. 44, 200-207. 

  22. Lee, S. G., Yu, M. H., Lee, S. P. and Lee, I. S.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methanol extracts from avocado. J. Kor. Soc. Food Sci. Nutr. 37, 269-275. 

  23. Liu, J., Kurashiki, K., Shimizu, K. and Kondo, R. 2006. 5alpha-reductase inhibitory effect of triterpenoids isolated from Ganoderma lucidum. Biol. Pharm. Bull. 29, 392-395. 

  24. McClellan, K. J. and Markham, A. 1999. Finasteride: A review of its use in male pattern hair loss. Drugs 57, 111-126. 

  25. Moon, H. K., Lee, S. W. and Kim, J. K. 2013. Physicochem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American blueberries. Kor. J. Food Preserv. 20, 524-531. 

  26. Morgan, M. B. and Rose, P. 2003. An investigation of apoptosis in androgenetic alopecia. Ann. Clin. Lab. Sci. 33, 107-112. 

  27. Park, G. H., Park, K. Y., Cho, H. I., Lee, S. M., Han, J. S., Won, C. H., Chang, S. E., Lee, M. W., Choi, J. H., Moon, K. C., Shin, H., Kang, Y. J. and Lee, D. H. 2015. Red ginseng extract promotes the hair growth in cultured human hair follicles. J. Med. Food 18, 354-362. 

  28. Park, S. A., Ko, K. S., In, M. H., Mun, Y. J. and Woo, W. H. 2017. Effect of Puerariae radix ethanol extract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dermal papilla cells. J. Physiol. Pathol. Kor. Med. 31, 167-172. 

  29. Park, W. S., Sung, D. S., Kim, D. K., Cho, W. H., Lee, H. K., Lee, C. H., Park, S. K. and Sim, Y. C. 2004. The effect of hair essence (HHRHG0202-80) containing five herbal extracts on hair growth and the prevention of alopecia in vitro & vivo. J. Kor. Orient. Med. 24, 152-160. 

  30. Park, Y. M. and Han, J. S. 2016.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leaf extract for material of functional cosmetics and hair growth products. Asian J. Beauty Cosmetol. 14, 277-288. 

  31. Rastegar, H., Ahmadi Ashtiani, H., Aghaei, M., Ehsani, A. and Barikbin, B. 2013. Combination of herbal extracts and platelet-rich plasma induced dermal papilla cell proliferation: involvement of ERK and Akt pathways. J. Cosmet. Dermatol. 12, 116-122. 

  32. Rastegar, H., Ashtiani, H. A., Aghaei, M., Barikbin, B. and Ehsani, A. 2015. Herbal extracts induce dermal papilla cell proliferation of human hair follicles. Ann. Dermatol. 27, 667-675. 

  33. Roh, S. S., Kim, C. D., Lee, M. H., Hwang, S. L., Rang, M. J. and Yoon, Y. K. 2002. The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Sophora flavescens extract and its molecular regulation. J. Dermatol. Sci. 30, 43-49. 

  34. Schneider, M. R., Schmidt-Ullrich, R. and Paus, R. 2009. The hair follicle as a dynamic miniorgan. Curr. Biol. 19, R132-142. 

  35. Sebranek, J. G. and Bacus, J. N. 2007. Cured meat products without direct addition of nitrate or nitrite: what are the issues? Meat Sci. 77, 136-147. 

  36. Seo, M., Goo, T. W., Chung, M. Y., Baek, M., Hwang, J. S., Kim, M. A. and Yun, E. Y. 2017. Tenebrio molitor larvae inhibit adipogenesis through AMPK and MAPKs signaling in 3T3-L1 adipocytes and obesity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Int. J. Mol. Sci. 18, 518. 

  37. Seo, M., Kim, J., Moon, S. S., Hwang, J. S. and Kim, M. A. 2017. Intraventricular administration of Tenebrio molitor larvae extract regulates food intake and body weight in mice with high-fat diet-induced obesity. Nutr. Res. 44, 18-26. 

  38. Tilak, J. C., Banerjee, M., Mehan, H. and Devasagayam, T. P. A. 2004. Antioxidant availiability of tumeric in relation to its medicinal and culinary uses. Phytother. Res. 18, 798-804. 

  39. Youn, K., Yun, E. Y., Lee, J., Kim, J. Y., Hwang, J. S., Jeong, W. S. and Jun, M. 2014.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from Tenebrio molitor larvae inhibit BACE1 activity in vitro: Molecular docking studies. J. Med. Food 17, 284-289. 

  40. Yun, E. Y. and Hwang, J. S. 2016. Status and prospect for development of insect foods. Food Sci. Ind. 49, 31-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