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자살예방을 위한 게이트키퍼 행동 영향요인
The Influencing Factors on GateKeeper Behavior of Adolescents for Suicide Preven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11, 2017년, pp.431 - 438  

오경옥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강문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게이트키퍼 행동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 광역시 소재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게이트키퍼 행동은 성별(t=2.85, p=.005), 학교유형(t=-2.81, p=.006), 가족이나 친구의 자살경험 여부(t=-2.09, p=.03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살예방에 대한 인식(r=.23, p=.006) 및 지식(r=.42,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자살예방에 대한 인식(${\beta}=.20$, p=.006)과 지식(${\beta}=.35$, p<.001)이 게이트키퍼 행동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는 게이트키퍼 행동에 대해 총 24.3%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예방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지식 향상을 제공할 수 있는 중재 개발을 제언한다. 또한 추후 청소년의 자살예방을 위한 게이트키퍼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on Gatekeeper behavior of adolescents for suicide prevention. The participants were five high school students from D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1.0 program. In the res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몇몇 선행연구에 따르면 자살예방을 위한 행동 수행은 자살에 대한 지식과 태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17], 대상자의 자살사고, 가족을 포함하여 지인의 자살 경험 여부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자살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게이트키퍼 행동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청소년 자살예방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하지만 청소년 자살자에 대한 사후분석결과에 따르면 자살생각을 갖는 청소년의 경우 정신건강 도움추구행동 이행률이 낮기 때문에 주변에서 게이트키퍼로서의 역할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여 전문적 도움으로 연계하여 자살을 예방하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또래 게이트키퍼로서 얼마나 역할을 할 것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고등학생의 게이트키퍼행동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자살예방에 대한 인식과 지식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게이트키퍼행동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자살에 취약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생 자살예방을 위한 주요 전략으로 게이트키퍼행동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게이트키퍼행동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C 간호대학 IRB의 연구승인을 받아 수행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12월 7일부터 12월 26일까지였다. 본 연구자는 사전에 학교장이 연구 참여에 동의를 한 5개 고등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학생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 자발성, 비밀보장, 철회가능성, 위험성 등에 대해 설명하였다. 연구 참여에 대한 의사가 있는 학생에게 가정통신문을 통해 동일한 내용의 연구 설명문을 학부모에게 전달한 뒤 서면동의를 받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게이트키퍼 훈련을 수행한 이후 발견한 문제점은? 또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게이트키퍼 훈련을 수행한 결과 문제해결능력[12], 자살에 대한 지식[13], 실존적 영적 안녕감 [14], 자존감, 친구관계, 자살 위험성[15,16]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하지만 현재 학교에서 행해지는 국내 청소년 자살예방 프로그램은 아직까지 학년 전체 또는 학급별로 실시되는 일회성 교육프로그램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자살에 대한 인식 전환이나 실질적인 대처능력 향상을 가져오기에는 미흡하며, 직접적으로 자살문제를 다루는 대신 생명존중의식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게이트키퍼 훈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효과를 측정하고 있는 반면에 훈련된 게이트키퍼가 실제로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자살위험 학생을 조기에 발견하거나 자살위험성이 높은 학생을 교사나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게이트키퍼 행동 영향요인이나 수행정도를 파악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교육부의 청소년 자살예방대책을 위한 사업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청소년의 자살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전략은 자살사고에서 자살시도로 이어지는 자살행동의 각 단계를 차단하고 보호하는 다층적인 예방활동을 통한 포괄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4]. 이에 교육부는 자살예방대책을 발표하고 학교 중심의 생명존중문화조성, 매스컴의 자살 보도 권고지침 개발, 정신건강증진 및 우울증 예방사업, 자살감시체계구축사업 및 자살예방사업 홍보 등 청소년자살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최근 학교 내에서 자살위험성 여부를 선별하여 중간 또는 고위험군인 경우 Wee 센터나 지역 정신보건센터를 거쳐 병원으로 의뢰하도록 하고 있지만, 실제 치료 연계 여부나 치료 결과를 확인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자살 고위험군의 전문 치료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이유는? 6%만이 전문기관 연계가 되었으며, 그중 40%는 조기에 치료를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2]. 자살 고위험군의 전문 치료적 개입이 이전에 비해 증가하고는 있으나, 여전히 약 20%는 학부모 거부 등으로 개입이 불가하고, 전문기관 연계 학생도 편견, 경제사정 등으로 지속적인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자살학생의 8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tatistics Korea, 2017,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 Seoul Metropolitan Officie of Education, 2017, http://buseo.sen.go.kr/web/services/bbs/bbsView.action?bbsBean.bbsCd94&bbsBean.bbsSeq6388&ctgCd209. 

  3.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WHO Mortality Database. OECD Family Database, www.oecd.org/els/family/database.htm. 

  4. S. W. Lim, K. S. Oh, "Suicide prevention by education",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55, No.4, 2012. doi.org/10.5124/ jkma.2012.55.4.349. 

  5. E. S. Yakunina, J. R. Rogers, C. A. Waehler, J. L. Werth, "College students' intentions to seek help for suicidal ideation: Accounting for the help-negation effect".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Vol. 40, pp. 438-450, 2010. 

  6. J. Kalafat "School approaches to youth suicide prevention",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46, pp.1211-1223, 2003. 

  7. C. Walrath, L.Garraza, H. Reid, D. B. Goldston, R. McKeon, "Impact of the Garrett Lee Smith youth suicide prevention program on suicide mortali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105, pp. 986-993, 2015. 

  8.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venting suicide: a resource for counsellor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6. 

  9.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venting suicide: a resource for police, firefighters, and other first line responder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10. Quinnett, P. QPR Institute. 1999. Retrieved February 9, 2007 from http://wwwqprinstitute.com/. 

  11. M. Isaac, B. Elias, L. Y. Katz, S-L. Belik, F. P. Deane, M. W. Enns, J. Sareen, The Swampy Cree Suicide Prevention Team, "Gatekeeper Training as a Preventative Intervention for Suicide: A systematic review",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Vol. 54, No.4, pp.260-268, 2009. 

  12. J. N. Shon, "The effects of the peer suicide prevention gatekeeper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Vol.20, No.1, pp. 111-119, 2011. 

  13. K. S. Ko, J. S. Lee, C. H. Park, "A study on the educational smasrt contents of adolescents' gatekeeper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8, No.6, pp.181-197, 2017. 

  14. H. S. Kim, G. R. Park, H. O. Jung, "Effects of a peer Gatekeeper training program on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suicide probabil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20, No.3, pp. 372-381, 2014, doi.org/10.5977/jkasne.2014.20.3.372. 

  15. E. J. Shin, S. H. Kim, "Effects of a peer gatekeeper training program 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suicide probability f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Vol. 22, No. 3, pp.241-251, 2013. doi.org/10.12934/jkpmhn.2013.22.3.241. 

  16. M. K. Song, "The effects of a life-respect education program on middles school students' fear of death, suicide risk, and values on life-respec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eagu, 2012. 

  17. N. R. Hwang, H. S. Hong, "Knowledge about suicide, preparation to perform activities and self-evaluation of suicide prevention of army officer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Vol.31 No.2, pp.42-53, 2013. 

  18. R. F. W. Diekstra, & A.J.F.M. Kerkhof, "Attitudes toward suicide: development of a suicide attitude questionnaire (SUIATT)", Current Issues of Suicidology, pp. 462-476, 1988. 

  19. S-J. Lee, S-M. Moon, J-M. Lee, K-J. Y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missive attitude toward suicide and experience of suicide loss on the rela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it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6, No. 4, pp. 23-43. 

  20. P. A. Wyman, C. H. Brown, J. Inman, W. Cross, K. Schmeelk-Cone, J. Guo, J. B. Pena, "Randomized trial of a gatekeeper program for suicide prevention: 1-year impact on secondary school staff", Journal of Consultation Clinical Psychology, Vol. 76, No.1, pp.104-115, 2008. doi: 10.1037/0022-006X.76.1.104. 

  21. W. F. Cross, D. Seaburn, D. Gibbs, K. Schmeelk-Cone, A. M. White, E. D. Caine, "Does practice make perfect? A randomized control trial of behavioral rehearsal on suicide prevention gatekeeper skills", Journal of Primary Prevention, Vol.32, pp.195-211, 2011. 

  22. D. P .Keller, L. J. Schut, R. W. Puddy, L. Williams, R. L. Stephens, R. McKeon, "Tennessee lives count: Statewide gatekeeper training for youth suicide prevention",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 40, pp. 126-133, 2009. 

  23. M. D. Cusimano, M. Sameem, "The effective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based suicide prevention programmes for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International Society for Child and Adolescent Injury Prevention, Vol. 17, No.1, pp.43-49, 2011. doi: 10.1136/ip.2009.025502. 

  24. S. T. W. Kuhlman, S. E. Walch, K. N. Bauer, A. D. Glenn, "Intention to enact and enactment of Gatekeeper behaviors for suicide prevention: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Prevention Science, Vol. 18, No. 6, pp. 704-715,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