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환경이 한부모 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using environment on the health of single-moth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1, 2017년, pp.37 - 48  

김지혜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본 연구는 주거 환경이 한부모 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들의 주거와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2015년 한부모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주거환경의 물리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특성이 주관적 건강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거의 물리적 특성 중 채광, 난방, 소음 등과 같은 주거 성능이 충족되지 되지 않는 상황에서 한부모 여성들은 건강하지 못하다고 느낄 확률이 높았다. 주거의 사회경제적 특성에서는 자가 보다는 공공 임대에 거주하는 경우와 주거로 인한 과한 부채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건강하지 못하다고 인식할 확률이 높았다. 우울에는 주거의 사회경제적 특성만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자가보다는 공공임대주택인 경우와 과도한 주거 부채가 있는 경우가 우울감을 느낄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부모 여성의 건강 증진을 위하여 주거개선서비스의 필요성과 주거실태조사, 주거 부채를 고려한 서비스 제공, 공공임대주택의 주거 환경 개선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housing environment on single mothers' health and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ir health and housing environment.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ingle-parents survey carried out b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2015. The results are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주거 환경이 한부모 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들의 주거와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분석함에 있어 주거 환경은 물리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특성으로 구분하였고,건강은 주관적 건강 수준과 우울감으로 측정하여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주거의 물리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특성이 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연령, 교육수준, 소득, 종사자지위를 통제하고 주거의 물리적 특성(모델Ⅰ)과 사회경제적 특성(모델Ⅱ)의 영향력을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모든 변수들을 투입하여 주관적 불건강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모델 Ⅲ)을 분석하였다.
  • 그러나 여성가구주들의 경험에서는 주거환경의 열악성과 범죄피해 등 안전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었다[35]. 본 연구에서 공공임대주택의 주거의 안정성에도 불구하고 정신 건강에 부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은 주거 환경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시해준다. 지원 금액이나 지역 등에 제한이 있어 반지하 형태나 다세대 주택 등이 많고 다소 외진 곳에서 구하다 보니,주거 환경까지는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35].
  • 또한, 한부모 여성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건강 증진 사업에서 주거 환경에 대한 개입의 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 환경의 물리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특성이 한부모 여성의 주관적 건강 인식,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아직까지 한부모 여성의 주거 환경과 건강 수준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 여성들에게 중요한 삶의 기반인 주거와 건강 간의 관계를 살펴보아,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서비스와 대안을 제언을 하고자 한다.
  • 주거비 과부담은 ‘소득대비 주거비의 비중’을 계산하여 이것이 30%를 초과하는 경우로 정의한다. 본 조사는 소득과 지출영역에 대한 월평균 지출액을 파악하고 있다. 소득은 가구의 월평균 소득, 주거비는 ‘집세, 난방비, 전기세, 수도세, 관리비’를 포함한다.
  • 정부는 한부모의 삶을 파악하기 위하여 3년에 한번 씩 실태를 파악하고 있으나 이들 간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부모 여성들의 주거 환경이 이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주거 환경과 건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관련 요인들을 확인하는 것은 한부모 여성의 빈곤 예방과 자립을 지원하는 사업들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총체적 관점으로 사업을 바라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부모 여성들이 겪는 문제점은? 그러나 이들은 한부모로 살면서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는데, 특히 한부모 여성들은 홀로 자녀를 양육 하고 생계를 유지해야 하는 상황 속에서 여러 어려움 속에 있고 건강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많은 한부모 여성들이 생계책임자로서의 역할과 가정을 돌보야 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과중한 역할 부담으로 만성적 피로와 함께 무기력, 우울 등의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다[1,2]. 또한 전반적인 지원체계의 약화, 이중역할의 고충, 사회로부터의 부정적인 인식과 편견 등으로 우울감이 증대하고 불안,스트레스, 자존감의 상실, 사회적 고립감, 절망감, 소외감[3]을 겪고 있다.
한부모 여성들의 주거 환경이 열악한 이유는? 이들의 삶을 어렵고 하고 빈곤으로 떨어뜨리는 주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바로 주거의 문제이다. 일반 가구에 비해 여성 한부모 가구는 자가 보다는 전세, 무보증임대, 무상주택, 보증부 월세, 월세 등 불안정한 주거상황에 있다[1,14]. 또한 생활비와 교육비와 같은 고정적인 지출로 인하여 주거안정을 위한 별도의 주택마련 자금이나 전세 비용을 미리 확보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에,예상치 못한 전세나 월세비의 증가는 부채의 증가로 이어져 빈곤과 열악한 주거 환경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3].
주거의 부적절한 물리적 환경이 야기하는 부정적 영향은? 건강과 관련된 요인들 중 주거환경은 개인의 건강, 가족 관계, 심리에 영향을 미치며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6,7].특히 주거의 부적절한 물리적 환경은 개인의 신체 정신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데[8,9,10], 주거 면적과 구조, 성능, 기능, 시설 기준 충족 여부 등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2,13]. 또한 주거비용, 주거점유형태 등 주거의 사회경제적 특징 역시 개인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D.Y. Song. J.H. Sung, "A study of the economic and emotional conditions of the working poor women". J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Vol. 25. pp.81-206, 2006. 

  2. J.H. Kim. S.H. Cho,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Self-Reliance of the Unmarried Mother".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Vol.18 No.2 pp. 149-180, 2016. 

  3. D.Y. Song. "A Study of Developing Comprehensive Policies for Low-Income Single-parent Households - Using a Concept of Social Exclu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No.54. pp. 259-310, 2003. 

  4. M.H. Shin. et al,. "A Study on the Poverty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Exclusion'',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2004. 

  5. M.S. Kim. Y.S. Na, "The Impact of Self-Control on the Low-Income Single Parents' Subjective W ell-Being". Women Studies. Vol.71, pp. 75-105, 2006. 

  6. S.E. Lim. "Effects of Housing Poverty on Child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Dissertation, 2010. 

  7. J.H. Kim, S.E. Kim. "Experience of the Housing Improvement Service Utilization". Journal of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1. pp. 171-184, 2014. 

  8. Ellaway, A., Macintyre, S, "Does housing tenure predict health in the UK because it exposes people to different levels of housing related hazards in the home or its surroundings?", Health & Place. Vol. 4, No.2, pp. 141-150, 1998. 

  9. Krieger, J., Higgins, D. L., "Housing and health: Time again for public health ac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92, No. 5, pp. 758-768, 2002. 

  10. J.M. Park, Y.C. Huh, W.C. Oh. S.K. Yoon, "Changes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s a Function of Substandard Housing Conditions and Unaffordable Housing."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7, No. 2, pp.137-159, 2015. 

  11. B.A. Kim, "Influence of Housing Environment on the Health.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 10, No. 4, pp. 215-221, 2003. 

  12. S.C. Cho,. "Definition of environmental rights and environment of socio-economic weak". Environment and Life, Vol. 51, pp.117-132, 2007. 

  13. S.Y. Kim, S.R. Kim, J.S. Lee, "The Effect on Housing on Health". Health and Social Sciences, Vol. 34, pp.109-133, 2013. 

  14. D.Y. Song, Y.N. Kim, "A Study on Poverty in Female-Headed Household with Dependent Childr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No 22, pp.131-159, 2008. 

  15. Heidebrandt, E. "The health effects of work-based welfare". J Nurs Scholarship, Vol. 34, pp.363-368, 2002. 

  16. K.M. Nam, H.J. Nam, "The Influence of Older People's Satisfaction Factors of Housing Environment on Their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4, No. 3, pp. 395-420, 2013. 

  17. D.B. Kim, B.S. Yoo, "A Study o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Soci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3, No.1, pp.105-123, 2013. 

  18. S.R. Lee, "The Effects of the Income Residential Segregation on the Low Income Classes' Mental Health". Social Science Research. Vol.28, No.4, pp.277-302, 2012. 

  19. M.H. Kim, "A study on housing poverty and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sis, 2009. 

  20. J.H. Heo, Y.T. Cho, S.M. Kwon.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Deprivations on Health".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 44, No. 2, pp. 93-120, 2010. 

  21. Pollack, C. E., von dem Knesebeck, O., and Siegrist, J. "Housing and health in German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Vol. 58, No. 3, pp. 216-222, 2004. 

  22. S.H. Yim, H.S. Jang, "A Study on the Impact of Housing Environment of Residents Health - The Case of Incidence Rate of Environmental Disease". The environment of residential, Vol.16, No. 2, pp. 101-117, 2017. 

  23. J.M. Cho, "Environmental Policy for Low-income People in Urban Areas 2". Korea Environment Institution, pp. 1-500. 2008. 

  24. B.S. Choi, J.A. Park, "An Effect of Housing Environment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Analyzing the 4th Wave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in 2009".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 23, No.5, pp. 75-86, 2012. 

  25. J.H. Lee, "A study on the determinant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1, pp.503-514, 2015. 

  26. H.J. Shin, "A study on social exclusion factors influencing on poverty of female-headed households". Social Science Research, Vol.26, No.1, pp.315-342, 2010. 

  27. G.S. Jeon, H. Y. Lee. "The Influence of Family Structure and Sex on Health Statu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23, No.2, pp.162-173, 2009. 

  28. C.K. Park, J.R. Lee, "Differential Gender Effects of Family Disorganization on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0, No.1, pp. 142-169, 2010. 

  29. C.H. Kang, "Analysis of health inequality among single-parent women". The Korea Association for Public Management, Vol. 30, No.4, pp.297-319, 2016. 

  30. H.J. Shin, "Qualitative Study on Single Mother's Experiences on a Healthcare Support Program". Journal of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7, pp. 311-321, 2013. 

  31. Y.J. Choi, "Mental Health Among Single Mothers: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9, No.4, pp.1835-1850, 2008. 

  32. I.S. Kim,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4, pp. 27-53, 1994. 

  33. J.H. Sung, "Divorced Single Mothers' Experience of Self-Independence". Journal of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17, No.5, pp. 137-152, 2017. 

  34. M.H. Lim, J.M Lim, "The Effects of Housing Expenditures on Health". Housing Studies Review. Vol.23, No.2, pp.31-51, 2015. 

  35. J.Y. Hwang, E.G. Kim, "Residential security awareness and policy demand of female household heads". Gender Review, Summer, pp.10-15, 2014. 

  36. H. M. Lee, W. C. Jeong, "Impact of a Sense of Social Exclusion on Will to Escape Poverty in Needy Single Mothers : with Priority Given to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16, No.5, pp. 760-771, 2016. 

  37. S.G. Hong, "The effects of multiphasic components of home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3, pp.419-425,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