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톤치드흡입이 폐경기 여성의 기분상태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toncide Aroma Inhalation on Mood Stat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enopausal Wome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5, 2020년, pp.224 - 231  

이영조 (경인여자대학교 헤어뷰티) ,  김수영 (오산대학교 뷰티&코스메틱)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피톤치드흡입이 폐경기 여성의 기분상태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변화를 8주간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이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D, N구의 폐경 후 2년 이하 41명을 목적적 표집하였다. 실험설계는 피톤치드흡입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되는 연구대상자 요인과 사전측정(0week)·중간측정(4week)·사후측정(8week)의 3개 측정시점으로 구성되는 2×3 반복측정에 의한 요인설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으로는 기분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로 설정하였으며 사전측정·중간측정·사후측정 3회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one-way ANOVA와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첫째,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흡입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긴장, 우울, 피로, 혼돈 요인의 감소 효과와 활력 요인의 증가 효과가 통계적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흡입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능감, 정신적 안녕, 안정성, 활력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한 증가 추이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in phytoncide intake in mood stat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nopausal women through an 8-week experiment. For the study, 41 subjects under 2 years after menopause in D and N districts in Seoul were targeted. consisting of three study po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경의 부정적 증상이 심각하게 나타나는 폐경 2년 미만의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피톤치드흡입이 그들의 기분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심리적 효과를 8주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하였다.
  •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흡입이 기분상태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8주 실험을 통하여 그 변화를 규명하는데 있었다. 일련의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피톤치드흡입이 폐경기 여성의 기분상태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변화를 8주간 실험을 통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소재 D, N구의 폐경 후 2년 이하 41명을 목적적 표집 하였으며 난수표를 이용하여 피톤치드흡입집단(PG) 20명 통제집단 21명을 무선할당 하였다.
  •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기 여성들에게 피톤치드 중재 효과를 규명할 수 있을 것이며 폐경기 여성의 삶의 질과 행복한 삶을 위한 중재변인으로 피톤치드의 역할을 예측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인간에게 노화(aging)란 개인차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불가피한 것이며 특히 폐경(menopausal)은 여성의 노화와 관련하여 모든 여성이 경험하는 중요한 사건이다[1]. 폐경은 성 성숙기에서 노년기로의 이행과정이며 이 시기 호르몬, 환경 등의 여러 가지 변화로 성인병, 비만, 퇴행성 질환, 골다공증과 같은 질병을 증가하며 더불어 우울증, 스트레스, 자살, 극단적 충동성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2].
피톤치드 아로마 흡입이 폐경기 여성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흡입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기분상태 하위요인 중 긴장, 우울, 피로, 혼돈 요인의 감소 효과와 활력 요인의 증가 효과가 통계적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흡입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 하위 요인 중 유능감, 정신적안녕, 안정성, 활력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한 증가 추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 아로마 흡입은 폐경기 여성의 기분상태와 삶의 질에 매우 효과적인중재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톤치드(Phytoncide)를 이용한 아로마 요법의 이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아로마 요법에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아로마를 이용한 중재로 건강 증진을 추구하고 있다. 그 중 피톤치드(Phytoncide)를 이용한 아로마 요법은 쾌적감이나 청량감을 줄 뿐만 아니라 근육 이완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스트레스와 같은 인간의 기분 관리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E. S. Pyeon & C. S. Yun. (2014). The effect of MLD and Aroma MLD on stress hormone,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menopausal woma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Beauty and Art, 15(1), 67-81. 

  2. S. H. Park & H. O. Soh. (2010). Effects of Aroma massage o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menopausal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6(3), 840-849. 

  3. I. M. Biobak, M. D. Jensen & M. L. Zalar. (2990). Maternity and Gynecological Care.(4th). Mosbby. 

  4. L. S. Cohe, C. N. Soares, A. F. Vitonis, M. Otto & B. L Harlow. (2006). Risk for new onset of depression during the menopausal transition: The Harvard study of moods and cycles. Arch Gen Psychiatry, 63, 385-390. 

  5. P. J. Schmidt & D. R. Rubinow. (1991). Menopause-related affective disorders: A justification for further study. America Journal of Psychiatric, 148, 844-849. 

  6. H, Y, Choi & Y. W. Jang. (2015). The effects of aquarobics exercise on blood lipids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post menopausal middle-aged obese wome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4(2), 1145-1156. 

  7. K. Keville & M. Green. (1993). Aromatherapy. A Complete Guide to the Healing Art. Freedom, CA: Crossing Press. 

  8. T. Hansen, B. Hansen & G. Ringdal. (2006).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Wiley-blackwell. 

  9. H. S. Kang & C. H. Lee. (2017). The effect of aromatherapy on psychological factors of middle-aged women: Systematic review & meta-analysis. Asia Culture Academe of Incorporated Association, 8(1), 757-774. 

  10. J. W. Choi, J. S Park, H. Y. Jung, J. S. Park & S. G. Kang. (2016). Phytoncide aroma inhalation and exercise combination therapy mood state, college life stress and sleep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2), 633-644. 

  11. B. J. Park. (2011). Present and future of forest therapy. Korea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2), 3-5. 

  12. P. Grossman, L. Niemann & S. Schmidt. (2004).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nd health benefits: A meta-analysi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7(1), 35-43. 

  13. S. H. Park & H. O. Soh. (2010). Effects of Aroma massage o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menopausal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6(3), 840-849. 

  14. J. S. Kim & S. H. Park. (2015).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aroma massage in on menopausal woman: Single subject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Cosmetology, 21(3), 537-544 

  15. C. B. Ballinger. (1990). Psychiatric aspects of the menopaus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ic, 156, 773. 

  16. D. E. Stewart & K. M. Boydell. (1993). Psychological distress during menopause: Association across the reproductive life cycle. Journal of Psychiatric in Medicine, 23(2), 146-154. 

  17. M. D. M. Lorr & L. F. Droppleman. (1992). Manual for the Profile of Mood State. San Diego, CA: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 

  18. E. J. Yeun & K. K. Shin-Park. (2006). Verification on the Profile of Mood States-Brief: Cross-Cultural 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2(9), 1173-1180. 

  19. G. C. Dunbar, M. J. Stoker, T. Hodges & G. Beaumont. (1992). The development of SBQOL-A uniquescale for measuring quality of life. British Journal of Medicine Economy, 2, 65-74. 

  20. E. H. Shin. (2017).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Doctoral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21. M. J. Sung & S. G. Kang. (2001). The effect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 after exercise participation on obese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 40(1), 429-439. 

  22. J. W. Choi, J. S Park, H. Y. Jung, J. S. Park & S. G. Kang. (2016). Phytoncide aroma inhalation and exercise combination therapy mood state, college life stress and sleep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2), 633-64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