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망이론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spect Theor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1, 2017년, pp.107 - 112  

곽세영 (청주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전통적인 기대효용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안으로 제시된 Tversky와 Kahneman의 전망이론이 타당한지에 대해 실험연구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은 대학생 115명에게 가상적인 2개의 대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게임을 제시하였는데, 하나는 위험이 없는 안전한 투자안이며 다른 하나는 위험이 있는 투자안이다. 위험한 대안은 발생확률이 낮은 경우, 중간인 경우, 그리고 높은 경우로 구분하였으며, 게임의 금액도 이득이 발생하는 경우와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로 나누었으며, 금액이 큰 경우와 작은 경우로 구분하여 실험을 하였다. 참가자들로부터 받은 응답을 최우추정법으로 분석한 결과, 이득의 상황에서 위험대안의 발생 가능성이 큰 경우에는 위험회피적, 위험대안의 발생 확률이 작은 때에는 위험선호적, 위험대안의 발생가능성이 작은 경우에는 위험회피적인 것으로, 그리고 위험대안의 발생확률이 중간인 경우에는 손실의 경우에만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 이득의 경우에는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의 금액의 크기는 이득의 상황이건 손실의 경우이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Laury & Holt (2008)의 연구보다 대체로 더 강하게 전망이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erformed an experimental study to test the validity of the prospect theory proposed by Tversky and Kahneman as an alternative to the expected utility theory. 115 college students attended the hypothetical games to choose one of two lotteries, one is safe option while the other one is r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투자자들의 심리적 요인을 대상으로 하는 실증연구가 쉽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누적전망이론의 예상이 타당한가를 실험연구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는 재무분야의 이론과 금융시장에서 투자자들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인 전망이론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시행하였다. 청주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에게 가상적인 상황에서 의사결정을 묻는 질문지를 제시하고 응답을 받음으로써 실험을 진행하였다. 질문지는 [Table 2]의 예에서 보듯이 Laury and Holt (2008)와 Bruhin, Fehr-Duda and Epper (2010)를 기초로 하여 구성하였다[10,11,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재무분야 연구에서 위험에 대한 태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까닭은? 위험에 대한 태도는 재무분야의 연구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중요한 주제인데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직접적인 실증적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3,4,5,6,7]. 이는 투자자들의 심리적 요인을 대상으로 하는 실증연구가 쉽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누적전망이론의 예상이 타당한가를 실험연구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의 장점과 한계는? 금융시장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이 이성적이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탄생한 재무이론들은 그 자체로서 매우 의미있고 유용하기는 하지만 현실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가령,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M)은 위험과 기대수익률 사이의 관계를 간단하면서도 이해하기 쉽고 사용이 용이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진정한 시장포트폴리를 관찰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점과 실증적 연구들에서 발견된 몇 가지 이례적인 현상들(anomalies)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어 왔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연구자들은 인간이 항상 이성적인 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이나 편의(bias)를 가지고 판단하기도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투자자들이 합리적이라는 전통적인 이론들의 기본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심리적인 측면을 고려한 전망이론의 한계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연구자들은 인간이 항상 이성적인 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이나 편의(bias)를 가지고 판단하기도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투자자들이 합리적이라는 전통적인 이론들의 기본가정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이 기대효용이론에 의해 설명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심리적인 측면을 고려한 전망이론이 1979년 Kahneman과 Tversky에 의해 처음으로 발표되었으나 미래 상황의 확률이 알려진 위험하의 선택에는 적용이 가능하지만 확률을 모르는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의 경우와 대안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는 한계점이 제기되어 1992년에 이를 보완한 누적전망이론이 발표되었다[1]. 누적전망이론은 개별적인 의사결정가중치가 아닌 누적가중치를 채택하고 이득과 손실에 대해 각각 다른 가중함수를 적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확률이 높고 낮은 상황과 이득과 손실을 구분하여 위험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aniel Kahneman and Amos Tversky,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sicion under Risk," Econometrica, Vol. 47, No. 2, pp. 263-291, 1979. 

  2. Amos Tversky and Daniel Kahneman, "Advances in Prospect Theory: Cumulative Representation of Uncertain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Vol. 5, No. 4, pp. 297-323, 1992. 

  3. Woon Youl Choi, Kun Kyong Lee, Seong Hoon Jeong, "An Empirical Study of the Disposition Effect in the Behavioral Financ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Vol. 33, Issue 2, pp. 83-105, 2004. 

  4. Seung Jo Han, "An Effect of Personality Type on Cognitive, Behavioral Investment Disposition,"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4, Issue 7, pp. 127-133, 2016. 

  5. Seyoung Gauhk and Hanjong We, "The Prospect Theory and Capital Market Studies," Industrial Management Review, Vol. 28, No. 1, pp. 143-160, 2005. 

  6. Colin Camerer, "Prospect Theory in the Wild: Evidence from the Field",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ocial Science Working Paper, 1998. 

  7. N. Barberis, M. Huang and T. Santos, "Prospect Theory and Asset Prices",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16, Issue 1, pp. 1-53, 2001. 

  8. Shlomo Benartzi and R. Thaler, "Myopic Loss Aversion and the Equity Premium Puzzl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10, Issue 1, pp. 73-92, 1995. 

  9. Dale Griffin and A. Tversky, "The Weighing of Evidence and the Determinants of Overconfidence", Cognitive Psychology, Vol. 24, Issue 3, pp. 411-435, 1992. 

  10. Susan K. Laury and Charles A. Holt, "Further Reflections on the Reflection Effect," Research in Experimental Economics, pp. 405-440, 2008. 

  11. Adrian Bruhin, Helga Fehr-Duda and Thomas Epper, "Risk and Rationality; Uncovering Heterogeneity in Probability Distortion," Econometrica, Vol. 78, No. 4, pp. 1375-1412, 2010. 

  12. Glenn Harrison and E. Rutstrom, "Risk Aversion in the Laboratory," Research in Experimental Economics, pp. 41-196, 2008. 

  13. F. Gul, "A Theory of Disappointment in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ty", Econometrica Vol. 59, pp. 667-686, 1991. 

  14. C. Heath and A. Tversky, "Preference and Belief: Ambiguity and Competence in Choice under Uncertainty", Journal of Risk and Uncertainty, Vol. 4, pp. 5-28, 1991. 

  15. T. Odean, "Are Investors Reluctant to Realize Their Losses?", Journal of Finance, Vol. 53, pp. 1775-1798,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