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돌발홍수 예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방법
The big data method for flash flood warni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1, 2017년, pp.245 - 250  

박다인 (대구대학교 통계학과) ,  윤상후 (대구대학교 전산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돌발홍수는 강우유출수가 하천으로 모여드는 유역이 좁은 지역에 집중호우로 인해 유입되는 물의 양이 급증하여 나타난다. 돌발홍수는 유속이 빠르고 홍수를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므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돌발홍수를 예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수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2009년에서 2012년까지 국민안전처 국가재난정보센터에 보고된 38건의 홍수 피해 자료와 지표수문모형(TOPLATS)에 의해 생성된 수문기상정보인 강우량, 토양수분 상태, 지표유출량이다. 돌발홍수 발생 선행 6시간의 강우량, 토양수분 상태, 지표유출량 데이터를 요인분석을 통해 토양수분 상태, 장기요인에 의한 강우량과 지표유출량, 단기요인에 의한 강우량과 지표유출량으로 축소하였다. 빅데이터 분석 방법으로는 유형분석인 의사결정나무, 랜덤포레스트, 나이브베이즈, 서포트벡터머신,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돌발홍수 사고발생 자료가 38건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측성능 정확도 판단이 중요하다. 예측성능 정확도 평가방법으로 kappa계수, TP Rate, FP Rate, F-Measure를 이용하였다. 이 외에 돌발홍수 발생 선행 시점별 재현성 평가와 과거 4년간 돌발홍수 경보 횟수를 통해 최적 유형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로지스틱회귀모형과 랜덤포레스트가 돌발홍수 예보를 위한 예측 성능이 가장 좋았다. 사고발생 자료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38건으로 한정되어 있어 분석을 위한 훈련자료와 검증자료 구축에 한계가 있었다. 장기간의 자료가 수집된다면 더욱 정확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ash floods is defined as the flooding of intense rainfall over a relatively small area that flows through river and valley rapidly in short time with no advance warning. So that it can cause damage property and casuality.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flash-flood warning system using 38 accid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통계적 돌발홍수지수는 돌발홍수 발생가능성을 수치적으로 표현하므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돌발홍수의 발생여부 판단의 정확성에 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돌발홍수의 발생여부 판단에 중점을 두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R의 ‘rpart’패키지를 이용하여 분류와 회귀에 적용되는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분석을 수행하였다[11].
  • 돌발홍수는 유속이 빨라 안전사고에 대비할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돌발홍수 발생 예보를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적은 수의 사례에서의 빅데이터 분석 방법의 적용결과를 살펴보았다. 국가재난센터에 매년 돌발홍수로 인한 피해보고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 이번 절에서는 돌발홍수 예보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기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빅데이터 분석 방법으로 의사결정나무, 랜덤포레스트, 나이브베이즈, 서포트벡터머신,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표유출량이란? 돌발홍수 예보를 위한 수문 기상정보는 강우량, 지표유출량, 토양수분 상태가 기본적인 모형이다[8]. 지표유출량이란 토양수분이 포화된 상태에서 특정유역의 소하천 제방이 월류하는데 필요한 강우량으로 정의되며, 토양수분 상태는 강우량 및 증발산량 정도에 따라 변하는 값이다. 세계기상기구(WMO)는 돌발홍수를 6시간 이내에 건조한 지표상태에서 집중호우로 인해 하천의 수위가 위협수위까지 상승하고 제방이 월류하는 등, 홍수징후가 시작되는 사례로 정의하고 있다.
도심지역의 돌발홍수와 다르게 산지지역에서 발생한 돌발홍수가 가지는 피해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관심지역은 산지지역에서 발생한 돌발홍수이다. 도심지역에서 발생되는 돌발홍수는 침수피해를 발생시키나 산지지역의 돌발홍수는 등산객이나 야영객의 고립과 같은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국가재난정보센터에 보고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 인천)에서 돌발홍수로 인해 발생한 구조요청 사례 38건이다.
돌발홍수는 왜 나타나는가? 돌발홍수는 강우유출수가 하천으로 모여드는 유역이 좁은 지역에 집중호우로 인해 유입되는 물의 양이 급증하여 나타난다. 돌발홍수는 유속이 빠르고 홍수를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므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발생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 Chang & W. T. Kwon, "Spatial variations of summer precipitation trends in South Korea, 1973-2005."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 Vol. 2, No.4, pp.1-9, 2007. 

  2. S. Lee, W. T. Kwon, "A variation of summer rainfall in Korea.",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39, No.6, pp.819-832, 2004. 

  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pecial report about abnormal climate".(http://www.climate.go.kr/index.html), 2010. 

  4. D. H. Bae & J. H. Kim, "Development of Korea Flash Flood Guidance System : (I) Theory and System Design.",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7, No.3B, pp.237-243, 2007. 

  5. J. H. Lee, H. D. Jun, M. J. Park & J. H. Jung, "Flash flood risk assessment using PROMETHEE and Entropy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1, No. 3, pp.151-156, 2011. 

  6. S. Yoon, S. Choi, B. J. Lee & Y. Choi, "Study on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Flash Flood Index.",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15, No.6, pp.189-197, 2015. 

  7. B. J. Lee, S. Choi, S. Yoon & Y. Choi, "Evaluation of TOPLATS Land Surface Model Application for Forecasting Flash Flood in mountainous area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49, No.1, pp.19-28, 2016. 

  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eteorological Technology & policy".(http://www.climate.go.kr/index.html), 2009. 

  9. J. Choi, S. T. Han, H. Kang & E. Kim, "Data Mining Decision Tree Analysis Using Answer Tree." SPSS academy, pp.17-23, 1998. 

  10. M-H. Lee & M-G. Kim, "Meteorological information analysis algorithm based on weight for outdoor activity decision-mak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3, pp.209-217, 2016. 

  11. T. Therneau, B. Atkinson & B. Ripley. Package "rpart: Recursive Partitioning and Regression Trees. R package version 4.1-10", 2015. 

  12. C. Park, "A simple diagnostic statistic for determining the size of random forest.",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7, No.4, pp.855-863, 2016. 

  13. A. Liaw & M. Wiener,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by randomForest." Vol.2, No.3, pp.18-22, 2002. 

  14. H-S. Seo & S-Y. Lee, "A Model to Infer Users' Behavior Patterns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Context-Awarenes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0, No.2, pp.293-297, 2012. 

  15. H. Lee, S-H. Chung, & E-J. Choi, "A Case Study on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and Performance Improvement in Learning Algorith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2, pp.245-258, 2016. 

  16. D. Meyer, E. Dimitriadou, K. Hornik, A. Weingessel, F. Leisch, C. Chang & C. Lin, "Misc Functions of the Department of Statistics. Probability Theory Group (Formerly: E1071)", TU Wien, 2015. 

  17. B. Chae, W. Kim, C. Cho, K. Kim, C. :ee, & Y. Choi, "Development of a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Probabilistic Prediction of Debris Flow",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4, No.2,, pp.211-222,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