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팀 기반 학습 적용이 메타인지 및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Metacogniton, Academic achievement, Confidence in performance, Learning satisfac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1, 2017년, pp.361 - 374  

김순옥 (신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기본간호학 실습수업에 적용한 후 간호학생들의 메타인지,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G지역 일개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 6일부터 6월 5일까지였다. 연구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independence t-test와 one-way ANOVA, 실험처치 후 변수에 대한 효과는 paired t-test,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기반 수업 적용 후 메타인지,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은 상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업성취도는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학습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메타인지는 학습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간호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간호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실습교과목에 자기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팀 기반 학습법 적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the practice of nursing practice and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meta-cognition, academic achievement, confidence in performance, self-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5 stu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ieder[20]는 간호술기 활동에 대한 자신감과 높은 학습만족도는 간호학생의 기본간호 수행능력을 향상시켜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게 할뿐 아니라 간호문제에 맞는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게 하므로 기본간호 수행능력에 대한 자신감과 실습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기본간호 실습수업을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해보고 팀 기반 학습이 기존의 실습식 교육방법과 비교하여 기본간호학 실습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메타인지,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정하여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 실습수업에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후 간호학생들의 메타인지.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도하였으며, 팀 기반 학습의 적용 효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 실습수업에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후 간호학생의 메타인지,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단일군 전·후 실험설계(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연구이다.
  • 급격히 변화하는 의료환경에서 의료인력의 전문화가 가속화되면서 간호 인력의 전문성과 함께 역할확대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간호학생에게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간호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습교육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간호사가 되기 위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익히는데 가장 기초가 되는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 팀 기반 수업을 적용함으로써 간호현장에서 요구되는 간호학생의 역량강화 및 질적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 팀 기반 학습을 기본간호학 실습수업에 적용한 후 간호학생의 메타인지. 학업성취도, 기본간호술기에 대한 수행자신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팀 기반 수업 적용 후 메타인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정보화의 영향으로 인해 의료진과 간호인에게 요구되는 점은? 최근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정보화의 영향으로 자신의 질병에 대해 상당히 많은 정보를 알고 있는 대상자들이 증가하면서 의료현장에서는 더욱더 전문성을 갖춘 의료인과 함께 높은 수준의 돌봄 능력을 갖춘 간호인력들이 요구되고 있다[1].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간호대학에서는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있는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해 성과기반 간호교육체계와 함께 간호교육과정 중에 필수적으로 학습되고 성취되어야 할 7가지 핵심역량과 핵심기본간호술 20개 항목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간호교육을 추진하고 있다[2].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이란?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은 간호실무의 기본이 되는 간호술을 습득하는 과정으로 모든 간호현장에서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실무능력을 갖추는 과목이다. 더욱이 대상자의 권리와 안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간호사의 정확한 기본간호술기 수행은 필수적인 능력으로 요구되고 있다.
7가지 핵심역량과 핵심기본간호술 20개 항목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간호교육 외에 권장되는 교육은?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간호대학에서는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있는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해 성과기반 간호교육체계와 함께 간호교육과정 중에 필수적으로 학습되고 성취되어야 할 7가지 핵심역량과 핵심기본간호술 20개 항목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간호교육을 추진하고 있다[2]. 이와 함께 실제 간호현장에서는 다양한 간호 상황과 과정 중에 간호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기존의 교수자 중심의 전달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스스로 지식을 통합하고 적용해가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방법을 권장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J. R. Han, J. M. Kim,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Metacognition and Learning flow in College Students in Healthcare Fiel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6, pp.273-282, 2017. 

  2. I. S. Seo, S. M. Oh, H. O. Park, R. W. Ma, "Effects of basic clinical practice program in academic motivation,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nursing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5, No.4, pp.2276-2284, 2014. 

  3. Y. S. Roh, E. N. Ryoo, D. W. Choi, S. S Baek, S. S. Kim, "A Survey of Student Percep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eam-based Learning in a Nursing Course", Korean Academy Social Nursing Education, Vol.18 No.2, pp.239-247, 2012. 

  4. M. S. Yoo, I. Y. Yoo, Y. O. Park, Y. J. Son, "Comparison of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for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2, No.3, pp.327-335, 2002. 

  5. M. Y. Jho, "Effects of Writing Reflective Journal on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aking a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urse Applying Blende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23, No.4, pp.430-439, 2016. 

  6. J. H. Flavell,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developmental inquiry." American Psychologist, Vol.34, No.10, pp. 906-911, 1979. 

  7. J. S.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learning flow of high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26, No.2, pp.277-295. 2009. 

  8. M. H. Kang, Y. H. Song, S. H. Park, "Relationships among metacognition, flow, interaction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web-based problem base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Vol.12, No.2, pp.293-315, 2008. 

  9. P. W. Stewart, S. S. Cooper, L. R. Moulding, "Metacognitive development in professional educators." The Researcher, Vol.21, No.1, pp.32-40, 2007. 

  10. M. J. Kang, M. H. Piao, C. S. Park, "The effects of students' interac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er satisfaction in PBL class - A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5, pp.2807-2818, 2014. 

  11. L. K. Michaelson, D. X. Parmalee, L. L. McMahon, R. E. Levine, "Team-based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guide to using small groups for improving learning." Sterling. VA: Stylus Publishing, 2008. 

  12. R. W. Frengley, J. Weller, J. M. Weller, J. Torrie, P. Dzendrowskyj, B. Yee, "The effect of a simulation-based training intervention on the performance of established critical care unit teams." Critical Care Medicine, Vol.39, No.11, pp.2605-2611, 2011. 

  13. D. X. Parmalee, L. K. Michaelsen, "Twelve tips for doing effective team-based learning." Medical Teacher, Vol.32, No.2, pp.118-122, 2010. 

  14. H. S. Han, "A Study on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Perception of Team-Based Learn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ollected papers, Vol.46, pp.417-422, 2011. 

  15. Y. Y. Kim, N. R. Ki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m-Based Learning of Pharmacolog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21, No.2, pp.309-334, 2015. 

  16. S. O. Kim,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Participation in Lesson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4, pp.351-363, 2017. 

  17. H. S. Oh,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Outcome based Nursing Education.".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9, pp.409-418, 2015. 

  18. Y. S. Roh, E. N. Ryoo, D. W. Choi, S. S Baek, S. S. Kim, "A Survey of Student Percep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eam-based Learning in a Nursing Course." Korean Academy Social Nursing Education, Vol.18, No.2, pp.239-247, 2012. 

  19. S. H. Hong, Y. S. Kwon, "Nursing student's practice scores, 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fundamentals of nursing according to teaching method for self-directed practice."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14, No.1, pp.1-10, 2010. 

  20. G. L. Nieder, D. X. Parmelee, A. Stolfi, P. D. Hudes, "Team-based learning in a medical gross anatomy and embryology course." Clinical Anatomy, Vol.18, pp.56-63, 2005. 

  21. P. R. Pintrich,, D. A. Smith, T. Garcia, W. J. McKeachie,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MSLQ). Washington, D. C.: Office of Eud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1991. 

  22. W. M. Yi, "Effect of metacognition and flow level in learning through educational computer game on problem solving ability." Unpublished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4. 

  23. Y. R. Park, "Knowledge, Attitude and Self-Confidence of Student Nurses Regarding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14, No.4, pp.429-436, 2007. 

  24. S. G. Lee, Y. H. Shin, "Effects of Self-directed Feedback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on Basic Nursing Skills,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46, No.2, pp.283-292, 2016. 

  25. Y. R. Ji, H. M. Chung, "Effects of case-based learning on task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university clas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4 No.9, pp.243-265, 2014. 

  26. J. Brich, "Feasibility, acceptance and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in neurology: a pilot study." GMS Zetischrift fur Medizinische Ausbildung, Vol.30, No.2, pp.1-16, 2013. 

  27. K. W. Jang, "The debate on the lecture class to communicate strategy process."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14. 

  28. Y. S. Moon, "Effects of Group Size and Self-leading Learning Ability on Scholastic Achievement and Interactions in On-line Cooperative 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6. 

  29. L. K. Michaelsen, A. B. Knight, L. D. Fink, "Team-based learning :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in College Teaching." 2004. 

  30. S. N. Elliott, T. R. Kratochwill, J. L. Cook, J. F. Travers, "Educational psychology: effective teaching, effective learning." 3rd ed. NY: McGraw-Hill, 2000. 

  31. H. K. Oh, "Effects on Nursing Student's Meta-cognition, Clinical Competence, and Learning achievement Following Simulation based Learning using a Post-operation Rehabilitation Cas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7, No.3, pp.539-546, 2017. 

  32. M. Y. Jho, M. O. Chae,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on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0, No.4, pp.513-522, 2014. 

  33. Y. J. Oh, H. Y. Kang,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imulation 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20, No.3, pp.239-247, 2013. 

  34. M. O. Cha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Program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eta-cogn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a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10, pp.6832-6838, 2015. 

  35. M. Y. Moon, "Effects of Convergence-based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e program on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7, pp.271-284, 2017. 

  36. Y. H. Kim, "LearningMotivation and Self-Directedness Utilizing Animation Prior Learning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in Stud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17, No.2, pp.240-248, 2010. 

  37. M. A. Kim, "A Study of Teaching Effectiveness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6, No.4, pp.946-962, 1996. 

  38. S. Y. Kim, H. J. Byun, M. H. Ko,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s on undergraduates."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Vol. 26, No. 3, pp. 63-80, 2015. 

  39. S. O. Kim,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Konyang University, 2017. 

  40. E. K. Lee, O. H. Kim, "Comparison among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by Gende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4, pp.2135-2148, 2013. 

  41. Y. Y. Hwang, C. S. Park, M. S. Chu, "Correlations among meta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studying through problem based learning(PB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18, No.1, pp.146-155, 2007. 

  42. S. H. Hong, Y. S. Kwon, "Nursing student's practice scores, 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fundamentals of nursing according to teaching method for self-directed practice",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14, No.1, pp.1-10, 2010. 

  43. S. N. Park, S. K. Lee, "Factors Influencing Basic Nursing Skil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15, No.1, pp.6-13, 2008. 

  44. C. J. Song,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student-teacher communication, and course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15, No.2, pp.171-200, 2014. 

  45. I. S. Park, D. G. Kim, "Effect of TBL(Team-Based Learning) on oral prophylaxis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33, No.1, pp.125-13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