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팀 기반 학습이 간호학생의 학습태도,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Participation in Lessons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4, 2017년, pp.351 - 363  

김순옥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을 기본간호학 수업에 적용한 후 간호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G지역 일개대학 간호학과 2학년 중 연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9월1일부터 12월 5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independence t-test와 one-way ANOVA, 실험처치 후 변수에 대한 효과는 paired t-test,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후 문제해결능력은 상승하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습태도, 학습동기는 수업 후 상승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업참여도는 변화가 없었을 뿐 아니라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 팀 기반 학습 후 학습태도는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 수업참여도와 학습동기는 수업참여도, 문제해결능력은 수업참여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다양한 간호상황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 기본, 성인교과목 뿐만 아니라 다른 전공교과목에도 팀 기반 학습과 같은 자기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학습법 적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organized to evaluate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ass participation, after applying team-based learning to basic nursing classes. The subjects were 103 people in the second year of the G region. The data collection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학습방식은 간호현장에서 융통성 있고 창의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켜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에 따라 간호현장의 요구와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기본간호학 이론 수업에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후 학습태도,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 수업참여 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 본 연구는 간호학과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기본간호학 이론 수업에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후 간호학생의 학습태도,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 수업에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후 간호학생의 학습태도 및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이다.
  • 최근 들어 팀 기반 학습이 실무 중심의 학습방법으로 인식되면서 기초 및 성인간호학, 통합교과목[14] 등에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나 기본간호학 교과목에는 활발하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자기 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학습 의욕을 고취시키며, 책임감을 가지고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기본 학습태도와 학습동기의 긍정적 향상을 위해 기본간호학 교육에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하여 참여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 학습태도 및 학습동기, 수업 참여도의 변화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들에게 중요한 직무역량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은? 의료 환경이 한층 더 복잡해지고 의료기관들이 성과 중심의 조직문화를 추구함에 따라 의료현장의 우수한 간호인력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간호사들에게도 창의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능력의 보유가 중요한 직무역량으로 대두되고 있다[1]. 이처럼 간호현장에서의 다양한 간호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간호사들에게는 자신의 지식을 활용하여 정보를 탐색하고 조직하는 등 끊임없이 문제해결능력이 요구되고 있다[2].
문제해결능력은 무엇이며 전문직 간호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문제해결능력은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활용하여 정보를 탐색 및 조직하여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전문직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필수적인 역량일 뿐만 아니라 가장 중요하게 요구되는 변인이라 할 수 있다[3]. 그러나 기존의 교수중심의 획일적인 강의식 교육방법은 학생들의 사고력과 응용력을 향상시켜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임상에서 실제상황에 적용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시켜주는데 어려움이 있다[4].
팀 기반 학습은 어떤 방식으로 책임의식을 부여하는가? 팀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인 팀 기반 학습은 수동적인 학습태도를 나타내는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에서 벗어나 학습에 능동적인 참여를 초래하는 효과적인 학습방법으로, 학생들은 개인 학습을 통해 스스로 학습 목표를 탐구하고 사전 학습을 통해 수업에 효율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더불어 개인의 학습 노력이 팀 평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룹 토론에 참여할 준비를 확실히 하는 등 자율적으로 자신의 학습 과정을 형성해 가야한다는 책임의식을 부여받게 되는 협동 학습방법이다[6]. 이와 같이 팀 기반 학습은 팀의 형성과 운영, 학습에 대한 학생의 책임감, 팀별 학습과제를 통한 팀의 발전과 학습 촉진, 즉각적인 피드백의 4가지 주요 원리를 근거로 한 학습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Y. K. Kim, "The Effect of Creative Problem - Solving Program on Leadership, Creativity and Creativity Problem-Solving of Nursing Student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09. 

  2. H. A. Mennenga, T. Smyer, "A model for easily incorporating team-based learning into nursing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 7, No.1, Article4, 2010. 

  3. S. M. Park, I. G. Kwon, "Factors Influencing Nurses' Clinical Decision Making -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7, No. 6, pp. 863-871, 2007. 

  4. B. S. Yang, "A Study on the Adapt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to Problem 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Vol. 36, No.1, pp. 25-36. 2006. 

  5. Y. S. Roh, E. N. Ryoo, D. W. Choi, S. S Baek, S. S. Kim, "A Survey of Student Percep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eam-based Learning in a Nursing Course", Korean Academy Social Nursing Education, Vol. 18, No. 2, pp. 239-247, 2012. 

  6. D. S. Ahn, "Team-Based Learning", Workshop, Korea University, 2007. 

  7. L. K. Michaelson, D. X. Parmalee, L. L. McMahon, R. E. Levine, "Team-based learning for health pro - fessions education: A guide to using small groups for improving learning", Sterling. VA: Stylus Publis-hing, 2008. 

  8. P. A. Kelly, P. Haidet, V. Schneider, N. Searle, C. L. Seidel, B. F. Richards, "A comparison of inclass learner engagement across, problem-based learning, and team learning using the STROBE classroom observation tool",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Vol. 17, No. 2, pp. 112-118, 2005. 

  9. H. S. Han,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ing Attitude, Educational Achievement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ses Collection, Vol. 47, pp. 349-357, 2012. 

  10. D. X. Parmalee, L. K. Michaelsen, "Twelve tips for doing effective team baseding", Medical Teacher, Vol. 32, No. 2, pp. 118-122, 2010. 

  11. Y. M. Lee, J. K. Nam, H. J. Cho, S. Y. Lee,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ers' performance, learning activities, and motivation in a vocational high school",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0, No. 2, pp. 51-71, 2011. 

  12. M. S. Yoo,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00. 

  13. H. R. Kim, "Development and Effect of Team Based Simulation Learning Program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2011. 

  14. S. O. Kim, M. S. Kim, "The Effects of Team- Based Learning on Fundamentals of Nursing",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2, pp. 107-119, 2016. 

  15.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Logical Thinking Ability", 1997. 

  16. S. Y. Hwang,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Knowledge Achievement, Critical Thinking Ability, Attitude and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3. 

  17. I. S. Park, "Effect of TBL(Team-Based Learning) on oral prophylaxis of dental hygien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2009. 

  18. J. M. Keller,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Vol. 10, No. 3, pp. 2-10, 1987. 

  19. S. K. Park, "(The) effects of the constructivist instructional model using ARCS strategies on the acquisition of scientific conceptions and learning motiv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1998. 

  20. S. J. Lee, Y. K. Jang, H. N. Lee, G. Y. Park,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3. 

  21. M. J. Cha, C. M. Kim, H. J. Kwon, H. D. Cho, J. Y. Lee, S. J. Jeong, E. A. Park, Y. Moon, M. Wang, J. W. Seo, J. M. Jee, W. Zhang, M. S. Park, Yedana Lee, K. D. Kim, R. Lee, H. S. Park, S. J. Yu, J. J. Kim, I. W. Park, "A development of learner participation scale in instruction", The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 22, No. 1, pp. 195-219, 2010. 

  22. K. W. Jang, "The debate on the lecture class to communicate strategy process",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14. 

  23. Y. S. Moon "Effects of Group Size and Self-leading Learning Ability on Scholastic Achievement and Interactions in On-line Cooperative Learning", Unpublished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6. 

  24. J. Brich, "Feasibility, acceptance and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in neurology: a pilot study", GMS Zetischrift fur Medizinische Ausbildung, Vol. 30, No. 2, pp. 1-16, 2013. 

  25. S. H. Lim,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Anatomy Subject for Biological Nursing Science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Nursing Department, ShinSung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0 pp. 7098-7108, 2015. 

  26. S. J. Han, "The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11, pp. 595-602, 2013. 

  27. J. H. Seo, "Impact of Team 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nam University, 2012. 

  28. L. S. Park,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 a meta-analysis", Unpublished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5. 

  29. Y. H. Kim, "Effects of Utilizing Animation Prior to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ness in Student Nurses", Journal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Vol. 17, No. 2, pp. 240-248, 2010. 

  30. M. S. Yoo,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01. 

  31. S. H. Lee, S. E. Chung, "The experiences of team-based learning among nursing students", Proceeding of the Korean Academic of Adult Nursing, No. 6, pp. 259-260, 2014. 

  32. P. A. Kelly, P. Haidet, V. Schneider, N. Searle, C. L. Seidel, B. F. Richards, "A comparison of inclass learner engagement across lecture, problem based learning and team learning using the STROBE classroom observation tool",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Vol. 17, No. 2, pp. 112-118, 2005. 

  33. K. K. Kim, J. Yoon, K. Y. Choi, S. Y. Park, J. H. Bae, "The Effect of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Project Learning on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4, No. 2, pp. 252-261, 2008. 

  34. R. W. M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9. 

  35. I. S. Choi, "Factors on Influencing Basic Nursing Practical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Kaya University, 2015. 

  36. Y. K. Kim, N. R. Ki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m-Based Learning of 'Pharmacolog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5, No. 4, pp. 309-334, 2015. 

  37. L. H. Yang, L. Y. Jiang, B. Xu, S. Q. Liu, Y. R. Lian, "Evaluating team-based, lecture-based, and hybrid learning methods for neurology clerkship in China: a method-comparison study", BMC Medical Education, Vol. 14, No. 98, pp. 1-7, 2014. 

  38. E. J. Shin, "A Study Related to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Practice an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Vol. 15, No. 3, pp. 380-386, 2008. 

  39. S. H. Lee, S. E. Chung, "The experiences of team-based learning among nursing students", Proceeding of the Korean Academic of Adult Nursing No. 6, pp. 259-260, 2014. 

  40. M. J. Sim, H. S. Oh, "Influence of Self 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 12, No. 6, pp. 328-337, 2012. 

  41. H. S. Oh,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Outcome based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9, pp. 409-418,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