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행복, 피로 및 자기효능감이 근로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appiness, Fatigue and Self-efficacy on Workers'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5, 2020년, pp.373 - 380  

권명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근로자의 행복, 피로 및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8년 9월 15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되었고, 연구대상자는 근로자 102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근로자의 삶의 질은 성별, 주관적 건강, 출퇴근 시 교통수단, 출퇴근 시 소요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5). 2) 근로자의 삶의 질은 행복,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피로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 <.05). 3) 근로자 삶의 질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성별, 행복, 피로와 자기효능감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80.4%로 나타났다.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근로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재 시 그 영향요인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er's happiness, fatigue and self-efficacy on quality of lif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5 to 30, 2018, and the subjects were 102 work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결과 근로자의 삶에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근로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삶의 질 향상 중재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근로자의 행복, 피로 및 자기효능감이 삶의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행복, 피로 및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여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 프로그램 개발 시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의 행복, 피로 및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결과 근로자의 삶에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근로자의 삶의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성별, 행복, 자기효능감과 피로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란? 자기효능감은 자신이 의도한 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행동을 스스로 조직화하고 집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 근로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16,17]. 근로자의 자기효능감은 개인의 삶에 긍정적인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생산성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18].
우리나라 근로자들 중 비정규직의 비중은 얼마인가? 경제적 여유를 획득하기 위해 장시간 근로를 택할 수 밖에 없는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연평균 근로시간은2,069 시간으로 다른 OECD국가의 평균인 1,763 시간에 비해 많으며, 이로 인해 삶의 질은 악화되고 노동의 집중도와 효율은 저하되고 있다[1]. 게다가 근로자의 약 30%가 비정규직으로 OECD평균 11.4%에 비해 높은 수준이며, 이들 중 50%이상의 근속기간이 3년 미만이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Y. H. Park, D. H. Chae & S. H. Kim. (2017). The Effects of Overtime Work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Korean Blue-Collar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199-208. Doi.org/10.15207/JKCS.2017.8.12.199 

  2. KOSIS. (2017). Korean National Trends 2017. Daejeon : KOSIS. http://kostat.go.kr/portal/eng/pressReleases/6/2/index.board 

  3. OECD. (2019). Temporary employment (indicator). (Accessed on 21 April 2019). https://data.oecd.org/emp/temporary-employment.htm 

  4. S. P. Park, D. B. Lee, I. S. Kwon & Y. C. Cho. (2010).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psychosocial factors on self perceived fatigue in white collar male worker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2(1), 48-57. 

  5. K. G. Kim. (2013). Educational Attainment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48, 1-28. 

  6. S. B. Park. (2003). The concept of quality of life and comparison method. Korean Policy Science Review, 7(3), 52-74. 

  7. A. S. Park. (2018).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of a Re-employed Worker with Industrial Inju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3(1), 349-362. 

  8. S. G. Min, C. I. Lee, G. I. Kim, S. Y. Seo & D. K. Kim. (2000).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imple tools. Seoul : Yonsei University. 

  9. J. R. Lee, M. A. Han, J. Park, S. Y. Ryu, C. G. Lee & S. E. Moon. (2017). The associated factors with scaling experience among some work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7(4), 333-340. 

  10. M. J. Kwon. (2019).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Worker by Gender.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5), 747-759. Doi.org/10.21742/AJMAHS.2019.05.69 

  11. J. W. Lee. (1998). A Study of Quality of Life of Workers. Seoul : Korea Labor Institute, https://www.kli.re.kr/downloadPblFile.do?atchmnflNo17970Doi.org/10.15207/JKCS.2018.9.4.453 

  12. Y. R. Jeong, S. H. Jeong & S. S. Han. (2018).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Work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8(1), 117-123. Doi.org/10.15269/JKSOEH.2018.28.1.117 

  13. M. Watanabe, K. Tanaka, Y. Aratake, N. Kato & Y. Sakata. (2008). The impact of effort-reward imbalance on quality of life among Japanese working men. Industrial Health, 46(3), 217-22. 

  14. H. Andrea, I. J. Kant, A. J. Beurskens, J. F. Metsemakers & C. P. Schayck. (2003). Associations between fatigue attributions and fatigue, health, and psychosocial work characteristics: A study among employees visiting a physician with fatigue.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0(1), i99-i104. 

  15. Y. Y. Kim, H. S. Hyun & J. H. Yoo. (201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Level,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for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4), 372-380. 

  16. S. K. Park. (2013).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injured workers with disabilities returning to work in South Korea: Comparison of return to pre-injury job with work at a new firm. Korea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37, 149-174. 

  17. Y. H. Nam, Y. S. Kim & S. D. Han. (2011). A study on vocational successful experiences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Disability and Employment, 21(4), 91-122. 

  18. S. M. Kim & E. H. Kim. (2015).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Injured Workers: Focusing on the Psychosocial Factors.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6(4), 389-411. 

  19. S. Lyubomirsky & H. S. Lepper.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1, 37-55. 

  20. J. W. Park & M. J. Kwon. (2018). The Convergence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on SNS Addic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4), 453-460. 

  21. J. E. Schwartz, L. Jandorf & L. B. Krupp. (1993). The measurement of fatigue:a new instrument. J Psychosom Res, 37(7), 753-762. 

  22. S. J. Jang. (2000). Standardization of Health Statistics Data Collection and Measurement, Seoul : Gyechuk Publishing. 

  23.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 R. W. Rogers. (1982).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51, 663-671.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3). WHOQOL Study Protocol. WHO. Geneva. 

  25. S. G. Min, C. I. Lee, G. I. Kim, S. Y. Seo & D. K. Kim. (2000).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imple tools. Seoul : Yonsei University. 

  26. H. J. Park, E. Y. Do & Y. R Hong. (2015).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Male Workers Not Living with Fami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2(6), 956-963. 

  27. B. G. Lee, J. Y. Lee, S. A. Kim, D. M. Son & O. K. Ham. (2015). Factors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in metabolic syndrome and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3), 420-428. 

  28. J. M. Jang, B. H. Lee & J. H. Ko. (2019). Determinants of Commute Tim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Residents of Gyeonggi Province. J. Korean Soc. Transp, 37(4), 290-300. Doi.org/10.7470/jkst.2019.37.4.290 

  29. E. St-Louis, K. Manaugh, D. van Lierop & A. El-Geneidy. (2014). The happy commuter: A comparison of commuter. satisfaction across mod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26, 160-170. 

  30. M. H. Lee. (2018). Effect of Wellness Components on the Quality of Life and Subjective Happiness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8), 361-371. https://doi.org/10.14400/JDC.2018.16.8.361 

  31. M. H. Lee. (2018). Effect of Wellness Components on the Quality of Life and Subjective Happiness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8), 361-371. https://doi.org/10.14400/JDC.2018.16.8.361 

  32. Y. C. Kim. (2018). A Study on th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industrial accident worker.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3), 813-822. 

  33. W. J. Hwang & Y. H. Park. (2015).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n Korean Blue-collar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2), 94-102. 

  34. S. Y. Jang & B. S. Park. (2015). The effect of shift-work on quality of life(EQ-5D).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1(2), 1-25. 

  35. J. I. Kim. (2013).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4(1), 99-109. 

  36. B. S. Kim, S. J. Choi & E. M. Choi. (2015). Happiness and Government's Role: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Quality of Life between Public Services and Happines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9(4), 97-122. 

  37. J. S. Park. (2013).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leep Disorder,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olice Shift-workers.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Review, 15(3), 53-70. 

  38. J. W. Kim & Y. O. Kim. (2019).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anufacturing Industry Workers: Focusing on Sub-contractual Workers of Ulsan's Vehicle Industr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8(2), 94-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