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의 기능과 특성 - 이용자 중심 분류의 관점에서 -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Theme Collection: Focusing on the User-centered Classification Perspective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2 no.4, 2018년, pp.51 - 69  

백지원 (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테마 컬렉션이 가지는 이용자 중심적인 분류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에 주목하여 이의 기능과 특성을 분류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테마 컬렉션의 등장 배경을 도서관 자원 조직의 문제와 북 큐레이션 서비스 도입에 관한 논의를 통해 파악하였고, 도서관의 테마 컬렉션의 개념을 정의하고 목적을 밝혔다. 또한, 테마 컬렉션을 구축하고 있는 도서관들의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구체적인 개념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의 분류와 범주화 특성을 분석하고 분류로서의 기능 및 특성을 다른 지식조직체계와 상대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테마 컬렉션의 효용과 활용성을 제시하여 향후 도서관의 이용자 중심적인 분류체계 설계에 관한 논의에 기반으로 삼고자 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tential use of the theme collection as a new classification method that reflects the interest of users in terms of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For this purpose, the background of the theme collection was identifi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l...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 테마 컬렉션의 등장 배경을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 분류가 가지는 문제를 논의하고, 이를 완화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북 큐레이션의 개념을 바탕으로 도서관의 테마 컬렉션의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 다른 분류체계와의 비교를 통해 테마 컬렉션의 분류적 성격과 테마 컬렉션이 갖는 상대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의 전통적인 분류법, 서점식 분류법, 그리고 테마 컬 렉션을 항목을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표 6> 참조).
  • 도서관별 테마 컬렉션의 구축 및 운영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참조).
  • 공공도서관 분류가 가지는 문제를 논의하고, 이를 완화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북 큐레이션의 개념을 바탕으로 도서관의 테마 컬렉션의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 본 연구는 이러한 테마 컬렉션이 가지는 분류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에 주목하여 테마 컬렉션을 이용자 관심을 반영한 새로운 분류법의 한 유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공공 도서관에서 구축·운영되는 테마 컬렉션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고, 이의 분류로서의 범주화의 특성, 기능과 활용성을 밝힘으로써 향후 이용자 중심적인 분류법 개발에 기반이 되는 논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이용자의 관점과 요구에 맞는 새로운 분류 방안 중 하나로 공공도서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테마 컬렉션에 주목하였다. 테마 컬렉션은 도서관에 따라 컬렉션, 테마 도서, 전시 도서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으며, 근래 들어 북 큐레이션이라는 용어로 부르기도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테마 컬렉션이 분류의 기능과 범주화의 특성을 갖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테마 컬렉션의 범주화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현재 문헌 분류가 가진 제약과 현실적 한계를 보완하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테마 컬렉션은 주제, 형식, 이슈 등 이용자가 관심 있어 할 법한 새로운 관점으로 자료를 범주화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 이에 공공 도서관에서 구축·운영되는 테마 컬렉션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고, 이의 분류로서의 범주화의 특성, 기능과 활용성을 밝힘으로써 향후 이용자 중심적인 분류법 개발에 기반이 되는 논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국내외의 많은 공공도서관이 사용하는 DDC, KDC 등의 분류가 공공도서관 자원의 활용성 및 이용자들의 가치 증대에 적합한 체계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논의의 핵심은 DDC 유형의 분류가 브라우징 방식의 검색이 주로 이루어지는 공공도서관의 대중 장서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일반 이용자들이 동일한 주제라고 여기는 것들이 DDC에서는 학문 구분에 기반을 둔 여러 주류(main class)에 분산되어 이용자가 생각하는 범주화의 방식대로 브라우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 첫째, 도서관의 문헌 분류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문헌 분류를 개선하거나 변경하려는 시도에 관한 것이다. DDC를 벗어나 이용자 중심적인 분류법을 채택하려는 시도들이 2000년대 중후반부터 외국의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졌고, 이러한 새로운 분류법의 의미와 양상, 기능과 효과 등에 관한 연구가 발표되었다(백지원 2010; 2012; 2013; Martínez-Ávila, Segundo and Olson 2014; Martinez-Avila and Kipp 2014; MartinezAvila 20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에서 과거의 분류원리에 의한 분류체계를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요인은 무엇인가? 분류는 이용자가 장서를 대면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범주화 및 접근점 제공의 관점에서 중요한 도서관의 업무이며 서비스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지식과 정보의 양적 팽창, 오랜 전통으로 유지되어온 학문 간의 경계가 중복되거나 재편되는 현상, 그리고 새로운 지식 분야의 등장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오늘날의 도서관에서 과거의 분류원리에 의한 분류체계를 그대로 적용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일상적인 정보 이용 요구가 높은 공공도서관에서는 학문적 기준에 따른 분류가 아닌, 새로운 관점이나 이용자 요구에 따른 분류법에 대한 필요가 생겨났고, 외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류 의 시도들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테마 컬렉션이 기존 분류 체계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먼저 기존 분류의 단일 분류 관점이 갖는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 문헌 분류에서 학문적 관점으로 분산된 정보 요구들을 일상적인 관점으로 범주화한다. 이처럼 사회의 화두, 이용자의 관심사를 반영한 범주화를 통해 실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여 다양한 저작에 대한 이용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기존의 분류체계 아래서는 쉽게 드러나지 않았던 저작들이 활용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테마 컬렉션이란 무엇인가? 테마 컬렉션은 도서관에 따라 컬렉션, 테마 도서, 전시 도서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으며, 근래 들어 북 큐레이션이라는 용어로 부르기도 한다. 테마 컬렉션은 개별 도서관이 장서 활용도를 높이고자 특정 테마를 중심으로 도서관 자원을 하나의 모음으로 구성하여 별치나 전시의 형태로 서비스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지칭하는 합의된 명칭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테마 컬렉션’이라 칭하고자 하며, 용어의 선택에 대한 논의는 3절에서 보다 상세하게 다루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im, Kyung Ah. 2017. "In The Era of Curation, To Live as a Librarian." Today's Library, 249: 10-11. 2017. 1-2. 

  2. Park, Yang-Ha. 2016. "A Study on the Book Recommendation Standards of Book-Curation Service for School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1): 279-303. 

  3. Park, Young Sook. 2014. I Will Not Serve Customer like A King. Seoul: Ilma. 

  4. Baek, Ji-Won. 2010. "Analysis of Word Based Classification of U.S. Public Libraries and its Im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4): 179-201. 

  5. Baek, Ji-Won. 2012. "Subject Based Classification: Conceptu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Plan as a Classificatory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4): 5-24. 

  6. Baek, Ji-Won. 2013.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based Classific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1): 57-79. 

  7. Sasaki Tosinao. 2012. The Age of Curation. Seoul: Minumsa. 

  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ffice of Education Library/Lifelong Learning Center. "Librarian Recommended Book Portal." 2018. [online] [cited 2018. 4. 17.] 

  9. Ann, Jung Hee. 2015. Library Display where You want to Read Books. Gyeonggi Library Series 13. Suwon: Gyeonggi Cyber Library. [online] [cited 2018. 2. 21.] 

  10. Lee, Ah-Young. 2018. "Case Study of Library Book Curation in Gangnam-gu." Korea Library Association Reading Culture Committee. Librarian-centered Library Book Curation. Workshop: 13-24. 

  11. Lee, Eunjung and Kim, Giyeong. 2017. "A Study on the Reading Effectiveness of School Library Event Collection Programs: Focusing on Korean Histo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1): 73-110. 

  12. Chung, Yoo Ra and Lee, Jee Yeon. 2017. "A Study on Public Library Users' Perceptions and Behavior Changes after Using the Theme Display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2): 27-45. 

  13. Haba Oshitaka. 2016. I Do Not Mind Reading Books. Seoul: Deonan. 

  14. Baker, S. L. 1986. "The Display Phenomenon: An Exploration into Factors causing the Increased Circulation of Displayed Books." Library Quarterly, 56(3): 237-257. 

  15. Camacho, L., Spackman, A. and Cluff, D. 2014. "Face out: The Effect of Book Displays on Collection Usage." Journal of Business & Finance Librarianship, 19(2), 114-124. 

  16. Dutta, D. N. 1961. "Display of Books in The Library." Journal of Library Science, 4: 5-8. 

  17. Hjorland, B. 2017. "Subject (of Documents)." Knowledge Organization, 44(1): 55-64. 

  18. Martinez-Avila, D., Segundo, R. S. and Olson, H. A. 2014. "The Use of BISAC in Libraries as New Cases of Reader-Interest Classification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52: 137-155. 

  19. Martinez-Avila, D. and Kipp, M. 2014. "Implications of the Adoption of BISAC for Classifying Library Collections." Knowledge Organization, 41(5): 377-392. 

  20. Martinez-Avila, D. 2015. "Reader-interest Classifications: Local Classifications or Global Industry Interest?." Global and Local Knowledge Organization One-day conference in Copenhagen on August 12, 2015. 

  21. Rosenbaum, S. C. 2011. Curation Nation: How to Win in a World where Consumers Are Creators. 큐레이션: 정보 과잉 시대의 돌파구. 스티븐 로젠바움 지음; 이시은 옮김. 서울: 명진.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