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의 대중교통 소외지역 수요응답형 교통수단(DRT) 제도 도입에 따른 모형 및 기여도 분석
Analysis of Models and Contributions of Demand Responsive Transit(DRT) for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Weak Areas 원문보기

도시과학= Journal of urban science, v.7 no.2, 2018년, pp.1 - 9  

지민경 (인천광역시 연수구시설안전관리공단) ,  김응철 (인천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설환경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alysis of DRT model and contribustion based on the case of local governments adopting the Demand Responsive Transit(DRT) in order to provide transportation in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weak area. Based on the case of Yeoju Area, the contribution of the DRT was analyzed. The DRT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여주시의 2016년 1월~12월까지 “행복택시” 운행실적을 통해 DRT 도입에 따른 기여도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 지자체별 DRT 이용에 따른 현황조사를 통해 DRT 모형을 분석하고자 하며, DRT 도입에 따른 기여도에 대해서 여주시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 지자체의 DRT 도입 현황 분석을 통한 DRT 모형을 택시 및 버스로 구분 하여 분석하였고, DRT 모형 분석을 통해 지자체 에서 적합한 모형을 적용하여 편리하고 쾌적한 DRT를 도입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여주시에서 '맞춤형 콜버스' 제도를 시범 운행한 이유는 무엇인가?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고령화 되어가고 있어 대중교통 편의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농촌지역의 대중교통 편의 증진을 위해 2010년 여주시에서는 ‘맞춤형 콜버스’ 라는 제도를 시범 운행 하였다. 이 제도는 노선버스가 정기적으로 운행을 하면서 교통취약지역 에서 콜을 할 경우 특정한 시간대 노선을 탄력 적으로 운행하거나, 일부 경유지를 변경해 운행하는 제도로써, 수요응답형 교통수단(Demand Responsive Transit : DRT)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으로 시행되었다.
맞춤형 콜버스 제도는 무엇인가? 농촌지역의 대중교통 편의 증진을 위해 2010년 여주시에서는 ‘맞춤형 콜버스’ 라는 제도를 시범 운행 하였다. 이 제도는 노선버스가 정기적으로 운행을 하면서 교통취약지역 에서 콜을 할 경우 특정한 시간대 노선을 탄력 적으로 운행하거나, 일부 경유지를 변경해 운행하는 제도로써, 수요응답형 교통수단(Demand Responsive Transit : DRT)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으로 시행되었다. 그러나 오퍼레이터 미 구축, 홍보 부족, 기존버스노선운행 중 콜을 받을 때마다 노선을 변경하기 어려움 등으로 실패하였다.
지선노선 서비스 기법은 무엇인가? 3) 지선노선 서비스 기법(Feeder Service) : 기존 노선버스가 주요 정류장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에 주거하는 이용객을 대상으로 대중교통정류장까지 연결해 주는 서비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국토교통부 (2015), 수요응답형교통(DRT)시스템 구축 및 운영방안 마련 연구, pp.26-102 

  2. 국토교통부 (2012), 농촌지역, 전화 한 통으로 버스를 내 집앞까지.. - 수요응답형 여객운송사업(DRT) 신설.도입, 보도자료, pp.1 

  3. 기명성.이영성.김민재 (2016), 수요대응형 교통수단 서비스의 지불용의액 추정에 관한 연구, 농촌경제 제39권, 제3호, pp.123-142 

  4. 김원철.유준일 (2014),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의 이해와 도입방안, 충남리포트, 제183호, pp.1-12 

  5. 김재열 (2008), 고령화 사회의 DRT(Demand Responsive Transit) 시스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pp.1-89 

  6. 김재열 (2014), 일본의 새로운 수요응답형 교통수단 : 온디맨드교통시스템. 월간교통 제199권, pp.77-87 

  7. 노승만 (2013), 농산촌지역 수요응답형 여객운송사업(DRT) 도입 방안, 강원발전연구원, pp. 21-54 

  8. 노승만 (2012), 수요응답형 대중교통과 강원도, 강원발전연구원, pp.1-9 

  9. 농림축산식품부 (2015), 농촌형 교통모델 발굴사업 가이드북, pp.20 

  10. 농림축산식품부 (2015), 2014 농촌형 교통모델 발굴사업 사례집, pp.9 

  11. 당진시 (2013),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타당성 조사 용역, pp.5-76 

  12. 대구광역시 (2015), 대구광역시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체계(DRT) 도입 연구, pp.39-129 

  13. 박상우.장수은.김혜자 (2008), 수요대응형 교통체계 평가모형 구축 - 복지교통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교통연구원, pp.10-116 

  14. 원광희 (2016), 충북농촌형 DRT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연구, 충북연구원, pp.7-80 

  15. 원광희 (2016), 농어촌지역 효율적인 교통서비스 공급방안, 버스교통 제52권, 제4호, pp.31-44 

  16. 윤동현 (2015), 수요응답형 여객자동차운송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pp.5-59 

  17. 장태연.한우진.김정호 (2016), 분위회귀분석에 의한 수요응답형 교통이용자 만족도 분석, 한국ITS학회논문지, 제15권, pp.119-128 

  18. 장태연.유창남.김학모 (2011), 전라북도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도입방안, 교통기술과 정책 제8권, 제6호, pp.25-36 

  19. 전라북도 (2016), 수요응답형 대중교통(DRT) 업무 편람, pp.7-12 

  20. 전상민.조규석.박원일 (2012), 농어촌지역 수요응답형교통(DRT) 도입타당성 검토 연구, 한국운수산업연구원, pp.5-95 

  21. 전상민 (2015), 농어촌지역의 안정적.지속적 대중교통서비스 공급전략, 버스교통 제47권, 제3호, pp.35-39 

  22. 정토진 (2016), 수요응답형교통체계 도입효과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pp.17-51 

  23. 정헌영 (1998), 횡단시설에서 고령자의 거동분석, 대한교통학회 제34회 학술발표회, pp.301-310 

  24. 지민경 (2015), 농어촌지역 대중교통체계(지.간선체계) 전면개편 : 여주시 노선개편 사례를 중심으로, 교통기술과 정책 제12권, 제4호, pp.13-18 

  25. 충청남도 (2014),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체계(DRT) 도입 연구, pp.3-298 

  26. 한국교통연구원 (2011), 농어촌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시범사업 방안, pp.29-153 

  27. 한종학 (2015), 교통취약지역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운영전략 및 추진방안, 인천발전연구원, pp.98-1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