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부산과학관 전시물과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분석 - 핵심역량과 3~6학년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Exhibitions in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the Key Competencies and the 3rd-6th Grades -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7 no.4, 2018년, pp.352 - 362  

정해련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신동훈 (서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ducational innovation focusing on the key competencies is occurring in the whole world. In September 2015, the Ministry of Education suggested six key competencies such as self-management competency,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실, 설명 패널이나 영상을 통한 전시물은 그 내용이 많아서 해석에 따라 다양한 핵심역량 연결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전시물의 질문, 내용, 작동 등을 분석하여 관람자가 전시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역량을 표시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관람자가 전시물 패널의 내용을 읽고 그 내용에서 추측·예상하는 역량이 아닌, 전시물 자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역량을 위주로 연결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부산과학관 내 상설전시관의 전시물의 내용을 분석한 후, 각 전시물의 전시 설명 내용과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의 관계 및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각 과목에 제시된 내용 요소와의 연계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국립부산과학관의 전시물을 활용한 효율적인 학교 밖 과학수업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개정 교육과정(Ministry of Education, 2015)에는 어떤 역량이 제시되었는가? 이런 사회변화에 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개인·국가적 차원에서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고(Lee, 2017; Park et al., 2014; So, 2007; Park, 2009; Chae, 2017; Choi, 2013; Seong, 2017), 이에 2015 개정 교육과정(Ministry of Education, 2015)에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의 6가지 핵심역량이 제시되었다.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서계 여러 나라의 학교 교육방향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우리가 맞이한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핵심역량 중심으로의 교육 혁신이 일어날 시대로(Gong, 2017), 세계 여러 나라의 학교 교육 방향은 교과 지식 중심의 수동적인 교육에서 다양한 역량을 키우기 위한 핵심역량 중심의 능동적인 교육으로 재조정되고 있다. 이런 사회변화에 맞추어 우리나라에서도 개인·국가적 차원에서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고(Lee, 2017; Park et al.
4차 산업혁명 사회의 학교는 학생 개인적 역량과 공동체적 역량을 모두 기를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 어떠한 수업을 제공할 것인가? , 2017). 아울러 학교에서는 개인적 역량과 공동체적 역량이 모두 함양되도록 자기 주도적이고 구성원과 협력을 이루는 수업, 교과 통합 및 융합 수업, 학교 공간을 벗어난 학교 밖 수업 등이 많아질 것이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은 학교라는 형식 교육뿐 아니라, 비형식 교육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제공 받으며, 지식과 상황의 격차를 줄여야 할 것이다(Kim & Dopico,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J. (2017). Changes in the educational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edia & Education, 7(1), 21-34. 

  2.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https://www.sciport.or.kr(connect, 2017.05-12). 

  3. Chae, H. (2017).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strategy by restructuring the science core competency. Ph. D. Dissert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4. Choi, K., Chang, H. & Lee, H. (2006).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use of educational programs in science museum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3), 331-337. 

  5. Choi, S. (2013). Promoting core competency education and building innovative learning ecosystems for fostering talent for the future. RR 2013-20,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6. Choo, S. (2012). A study on visitors' behavior by production media and space configuration for science museum exhibition area. Ph. D.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7. Gong, J. (2017). A case study of elementary curriculum reorganization and school democratization to educate future key competencies.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8. Im, J., You, K. & Kim, B.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teacher competenc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4(2), 5-32. 

  9. Im, S. (2012). An idea on the future school.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0(4), 459-476. 

  10. Jang, J. (2008). Development of site-based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resources in The National Science Museum.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11. Jang, Y. (2010). Development of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earth science in Th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 Based on the basic scienc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12. Kim, H. (2013). Development of experience activity programs related to curriculums using the science centers - Centering on the chapter of 'energy & environment' in 10th grade scienc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13. Kim, M. (2014).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exhibition panel and the 2009 revised physics curriculum.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14. Kim, M. & Dopico, E. (2016). Science education through informal education.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11(2), 439-445. 

  15. Kim, S. (2014).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contents of physics exhibits in science center and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2009 and its pedagogical applications - The case of National Gwangju Science Museum.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16. Kim, S. & Song, J. (2003). In the case of 3 science centers in Seoul: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s in science cent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exhibi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5), 544-560. 

  17. Kim, T. (2006).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nel exhibition of science museum, achievement standards in middle school earth science.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8. Lee, B. & Kim, S. (2007).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physics exhibits in science center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2), 209-215. 

  19. Lee, H. (2017). How do you design a school curriculum to foster core competencies? KICE ISSUE PAPER. Seoul: KICE. 

  20. Lee, M. (2010). Analysis of science museum exhibit and educational program for development of applicational strategies - The case of National Daegu Science Museum.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1. Lee, S., Shin, M., Lee, G., Choi, C., Baek, D., Chung, K., Yu, M., Kim, S., Son, S., Choi, H. & Lee, K. (2011). Exploring epistemological features presented in texts of exhibit panels in the science museum.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1), 124-139. 

  22. Lim, C., Choo, S. & Park, M. (2011). Analysis on attraction power and holding power of exhibition areas at science museum - Focused on analysis on exhibition method of exhibition spaces at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20(1), 165-172. 

  23. Ministry of Education (2015). [Annex 2] National guidelines for the elementary curriculum(#2015-74).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24. Park, K., Choi, Y., Hong, J., Lee, K., Moon, S., Tae, J., Lee, K., Min, B. & Noh, K. (2014). A validity study on the key competencies factors of STEAM. Korea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4(3), 214-234. 

  25. Park, M. (2009).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e - Based curriculum and its critical issu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7(4), 71-94. 

  26. Seo, S. (2010). Site-based scienc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connected with the 2007 science curriculum - For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7. Seong, T. (2017). Suggestions for the human character and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5(2), 1-21. 

  28. So, K. (2007). "Competency" in the context of schooling: It's meaning and curricular implication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3), 1-21. 

  29. Son, Y. (2008). The development of a site based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biology I and II using education resource a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 Based o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2007.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30. Song, K. (2009). A study on the optimizing direction for promoting effect of the exhibition communication at Natural History Museum.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25, 113-122. 

  31. Yun, B. & Lee, Y. (2011). Introduction to exhibition planning for curator [학예사를 위한 전시기획입문] (pp 86-87). Seoul: Yeamoonsa. 

  32. Yun, G. (2007).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science curricula and programs of astronomical science museum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3. Yun, H. (2010). The study on communication in exhibition of natural science museum.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