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음챙김의 방법으로서 음악심상: 예비음악치료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Music and Imagery as a Method for Mindfulness: Exploration of Music Therapy Interns' Experiences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5 no.2, 2018년, pp.93 - 114  

김영실 (이화뮤직웰니스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방법으로써 음악심상기법(music and imagery, 이하 MI)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집단 MI를 시행하고 참여자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집단 MI는 총 8회기가 시행되었고 음악치료 인턴훈련과정에 있는 예비음악치료사 11명이 참여하였다. 이들의 MI경험에서 마음챙김 상태에 해당하는 요소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MI세션동안의 참여자 언어 반응을 녹취하여 필사한 후 수정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경험의 차원과 속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앞서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다양한 용어로 정의되고 있는 광범위한 마음챙김의 범위를 '자각하기', '수용하기', '거리두기'로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참여자의 음악심상 경험에서 마음챙김에 해당하는 의미단위 114개를 발견하였다. 이로부터 7개의 하위범주, 즉 '정서', '감각', '사고', '대면', '관점 확장', '정서분리', '감각분리'가 나타났다. 범주화에서 나타난 참여자 경험을 통해 음악과 심상이 마음챙김 상태를 촉진하는 매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참여자 경험의 속성이 유사한 반면 차원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각하기'는 '수용하기'와 '거리두기'에 선행하는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제언으로 음악과 심상의 어떠한 특성이 마음챙김 상태에 기여하는지와 그 경험의 과정에 기여하는 다양한 요인에 관한 심층 탐색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use of music and imagery (MI) as a method for promoting mindfulness. A total of 11 music therapy interns participated in an MI group over 8 weeks. Statements from participants during the program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modified grounded 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MI에서 마음챙김 요소가 나타나는지를 음악심상 집단에 참가한 예비음악치료사의 경험을 주 분석대상으로 하여 어떠한 경험이 일어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MI 집단에는 음악치료학과 석사과정에서 인턴훈련을 받고 있는 예비음악치료사 11명이 참여하였다.
  • 이러한 특성이 마음챙김의 대상으로서 음악의 가능성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의 방법으로 MI를 적용하고 참여자 경험을 연구 대상으로 분석하여 음악, 심상의 역할을 탐구한 최초의 연구로서 그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마음챙김의 방법으로 감상적 접근의 가능성을 제안하며 이와 관련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MI경험에서의 마음챙김 요소를 보는 것이 목적이므로, 무엇을 마음챙김으로 볼 것인가에 대해 명료하게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마음챙김은 불교철학, 심리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정의와 구성 요소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고 사용하는 용어에 차이가 있다(Jeong & Park, 2010; Park, 2006).
  • 본 연구자는 MI 치료사이자 동시에 집단 내에서의 현상을 관찰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질적 연구자로서 역할을 하였다. 치료사로서는 지지적 수준(supportive MI)과 재교육적 수준(re-educative MI)의 훈련과정을 수료하여 MI 전문치료사 자격을 취득하였고 14년 이상 MI 개인 및 집단 세션을 운영했다.
  • 연구의 목적은 집단 MI에 참여한 예비음악치료사의 경험에서 마음챙김 요소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하는 것으로, 경험의 질적인 측면을 충분히 탐색하기 위해서 참여자 경험의 속성과 차원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수정된 근거이론은 근거에 기반을 두어 이론을 도출하는 근거이론의 자료 분석법을 따른다.
  • 예비음악치료사에게 제공되는 MI 프로그램은 소진에 대처할 수 있는 심리․정서 지원의 의미뿐 아니라 전문가로서의 자기돌봄을 경험할 수 있는 배움의 기회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 음악치료사에게 MI를 시행하고, 이들의 참여경험으로부터 마음챙김을 분석하여 마음챙김 방법으로서 MI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2. 마음챙김에 해당하는 경험이 나타난다면 그 경험의 차원과 속성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음챙김이란? 마음챙김(mindfulness)은 지금-여기에서 나의 몸과 마음에 주의를 기울여 생각, 감정, 느낌을 판단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는 상태이다(Kabat-Zinn, 2003). 명료한 의식의 상태로, 의식의 질적인 면을 지칭하면서 동시에 그러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수련법을 뜻한다(Repetti, 2016).
마음챙김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서구 문화권에서는 치료의 방법으로써 임상 대상에게 적용된 것을 시작으로 일반인의 스트레스 관리와 자기돌봄 방법으로 정착되고 있다. 마음챙김을 통해 통증완화, 불안과 우울 등의 심리적 증상의 완화(Piet & Hougaard, 2011; Shahar, Britton, Sbarra, Figueredo, & Bootzin, 2010) 등의 임상적 혜택뿐 아니라 삶에 대한 전반적인 안녕감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oulin, Mackenzie, Soloway, & Karayolas, 2008; Richards, Campenni, & Muse-Burke, 2010).
심리치료 분야에서 치료사의 마음챙김이 주목받는 이유는? 자신의 감정, 생각, 느낌 등을 인식하는 상태인 자기자각은 마음챙김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주요 혜택이다(Baker, 2016; Fauth & Williams, 2005). 이러한 혜택은 심리치료 분야에서 치료사의 마음챙김이 주목받는 이유이기도 하다(Aiken, 2006; Smith, Grahan, & Senthinathan,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iken, G. A. (2006). The potential effect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the cultivation of empathy in psychotherapy: A qualitative inquiry (Doctoral dissertation). Available from ProQuest Dissertations and Theses database. (UMI No. 3217528) 

  2. Baker, S. (2016). Working in the present moment: The impact of mindfulness on trainee psychotherapists’ experience of relational depth.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16(1), 5-14. 

  3. Barnett, J. E., Baker, E. K., Elman, N. S., & Schoener, G. R. (2007). In pursuit of wellness: The self-care imperative.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8(6), 603-612. 

  4. Bishop, S. R., Lau, M., Shapiro, S., Carlson, L., Anderson, N. D., Carmody, J., ... & Devins, G. (2004). Mindfulness: A proposed operational definition.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1(3), 230-241. 

  5. Capobianco, L., Morris, J. A., & Wells, A. (2018). Worry and rumination: Do they prolong physiological and affective recovery from stress? Anxiety, Stress, & Coping, 31(3), 291-303. 

  6. Chang, K. (2014). An opportunity for positive change and growth: Music therapists’ experiences of burnout. Canadian Journal of Music Therapy, 20(2), 64-85. 

  7. Chwalek, C. M., & McKinney, C. H. (2015). The use of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in music therapy: A sequential explanatory study. Journal of Music Therapy, 52(2), 282-318. 

  8. Clements-Cortes, A. (2015). A survey study of pre-professionals' understanding of the Canadian music therapy internship experience. Journal of Music Therapy, 52(2), 221-257. 

  9. Eckhardt, K. J., & Dinsmore, J. A. (2012). Mindful music listening as a potential treatment for depression. Journal of Creativity in Mental Health, 7(2), 175-186. 

  10. Fauth, J., & Williams, E. N. (2005). The in-session self-awareness of therapist-trainees: Hindering or helpfu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3), 443-447. 

  11. Fidelibus, J. F. (2004). Mindfulness in music therapy clinical improvisation: When the music flow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NY. 

  12. Geller, S. M., & Greenberg, L. S. (2012). Therapeutic presence: A mindful approach to effective therap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3. Goldberg, A. R. (2015). Preferred music-based mindfulness: A new intervention for stress reduc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ProQuest Dissertations and Theses database. (UMI No. 3709213) 

  14. Grant, A. M., Langer, E. J., Falk, E., & Capodilupo, C. (2004). Mindful creativity: Drawing to draw distinction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6(2-3), 261-265. 

  15. Hanh, T. N. (2011, September 28). What is mindfulness [Video file]. Retrieved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xD7i6VUOrII 

  16. Hanh, T. N. (2015). The heart of Buddha's teaching: Transforming suffering into peace, joy, and liberation. New York: Harmony Books. 

  17. Holmes, E. A., Lang, T. J., & Deeprose, C. (2009). Mental imagery and emotion in treatment across disorders: Using the example of depression. Cognitive Behaviour Therapy, 38(S1), 21-28. 

  18. Jeong, J. Y., & Park, S. H. (2010). Sati in early buddhism and mindfulness in current psychology: A proposal for establishing the construct of mindfulness(초기불교의 사티(sati)와 현대심리학의 마음챙김(mindfulnes): 마음챙김 구성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2(1), 1-32. 

  19. Kabat-Zinn, J. (2003).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context: Past, present, and future.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0(2), 144-156. 

  20. Kim, J. -H. (2004). What is mindfulness?: Suggestions for clinical and everyday application of mindfulness(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2), 511-538. 

  21. Lesiak, M. (2017). Mindfulness-based music therapy group protocol for individuals with serious mental illnesses and chronic illnesses: A feasibility stud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ansas. 

  22. Paik-Maier, S. (2014). Music and imagery self-experience in the clinical supervision of trainees in guided imagery and music. In K. E. Bruscia (Ed.), Self-experiences in music therapy education, training, and supervision. Barcelona Publishers. 

  23. Park, S. H. (2006). Development of the mindfulness scale(마음챙김 척도 개발)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ucheon. 

  24. Piet, J., & Hougaard, E. (2011). The effect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prevention of relapse in recurrent major depressive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31(6), 1032-1040. 

  25. Poulin, P. A., Mackenzie, C. S., Soloway, G., & Karayolas, E. (2008). Mindfulness training as an evidenced-based approach to reducing stress and promoting well-being among human services professional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Education, 46(2), 72-80. 

  26. Repetti, R. (2016). Meditation matters: Replies to the Anti-McMindfulness bandwagon! In R. E. Purser, D. Forbes, & A. Burke (Eds.), Handbook of mindfulness (pp. 473-497). Springer, Cham. 

  27. Richards, K. C., Campenni, C. E., & Muse-Burke, J. L. (2010). Self-care and well-being i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wareness and mindfulness.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32(3), 247-264. 

  28. Rosenberg, T., & Pace, M. (2006). Burnout among mental health professionals: Special considerations for the marriage and family therapist.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2(1), 87-99. 

  29. Shahar, B., Britton, W., Sbarra, D., Figueredo, A., & Bootzin, R. (2010). Mechanisms of change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Preliminary evidence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Cognitive Therapy, 3(4), 402-418. 

  30. Smith, A., Graham, L., & Senthinathan, S. (2007).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recurring depression in older people: A qualitative study. Aging and Mental Health, 11(3), 346-357. 

  31. Smyth, S., & Edwards, J. (2009).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students in the final stage of music therapy training. Voices: A World Forum for Music Therapy, 9(2). Retrieved from https://voices.no/index.php/voices/article/viewArticle/346 

  32.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3. Summer, L. (2005, July). Level II: Music and imagery training [seminar materials], Anna Maria College Institute for Music and Consciousness/Ewha Womans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34. Summer, L. (2009). Client perspectives on the music experience in music-centered guided imagery and music (GI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alborg University. 

  35. van Dort, C., & Grocke, D. (2014). Music, Imagery, and Mindfulness in Substance Dependency. In L. Rappaport (Ed.), Mindfulness and the arts therapies: Theory and practice (pp. 117-128).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 

  36. Welz, A., Reinhard, I., Alpers, G. W., & Kuehner, C. (2018). Happy thoughts: Mind wandering affects mood in daily life. Mindfulness, 9(1), 332-343. 

  37. Williams, J. M. G., & Kabat-Zinn, J. (2011). Mindfulness: Diverse perspectives on its meaning, origins, and multiple applications at the intersection of science and dharma. Contemporary Buddhism, 12(1), 1-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