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대상 영양지수 개발 : 평가항목 선정과 구성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of NQ-E,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elderly: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1 no.1, 2018년, pp.87 - 102  

정민재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곽동경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혜영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명희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정숙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해랑 ((주)영양과 미래) ,  권세혁 (한남대학교 비즈니스통계학과) ,  황지윤 (상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영선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영양지수노인 대상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노인의 식행동과 영양섭취 관련 문헌,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 국가 영양정책 및 권고사항,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을 통해 식품섭취영역에서 18개 문항, 식행동 식습관 영역에서 23개 문항의 총 41개 문항으로 구성된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노인 265명을 대상으로 1일의 식사섭취조사와 체크리스트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평가항목과 식사섭취조사 결과인 영양섭취 수준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24개 항목으로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주민등록인구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기본 층화변수로 6개 권역을 설정하여 권역별로 성별, 연령군별 노인 인구수를 기준으로 비례 배분하여 총 1,000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노인 영양지수 평가항목을 19개 항목의 4개 요인으로 분류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4개 요인을 식행동, 균형, 다양, 절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추정된 경로계수를 바탕으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영역별 가중치를 적용하였는데, 영역별 가중치는 각각 0.3, 0.2, 0.2, 0.3으로 수렴하였다. '식행동' 영역에는 음식을 씹는데 불편한 정도, 우울정도, 건강에 대한 자각, 건강한 식생활 노력, 식사 전 손 씻기, 운동시간의 6개 항목, '균형' 영역에는 우유 및 유제품 섭취빈도, 과일 섭취빈도, 간식 섭취빈도, 물 섭취빈도의 4개 항목, '다양' 영역에는 달걀 섭취빈도, 생선이나 조개류 섭취빈도, 채소류 섭취빈도, 콩이나 콩제품 섭취빈도, 하루 식사 빈도, 혼자 식사하는 빈도의 6개 항목, '절제' 영역에는 단음식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섭취빈도, 가당음료 섭취빈도, 라면류의 섭취빈도의 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표준화된 경로계수가 항목의 가중치로 적용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NQ-E 평균 점수는 57.6점이었고, 영역별 점수는 식행동 55.0점, 균형 41.4점, 다양 50.0점, 절제 76.5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인 영양지수, NQ-E는 노인의 식사의 질과 식행동이 양호한지 판정할 수 있으며, 식행동, 균형, 다양, 절제의 4가지 영역으로 점수 산출이 가능하므로 노인의 체계적인 영양관리에 다양하게 활용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dietary quality and behaviors of Korean elderly. Methods: The development of the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validation. The 41 item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식행동 평가 항목을 분류하였으며, 확증적 요인분석으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통계적 타당성 평가 기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노인의 식사의 질과 영양 상태를 설명할 수 있는 노인 대상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불량을 판정하기 위한 간단한 도구는 어떤 것이 있는가? 하지만, 미국인의 식생활을 반영하는 타당한 영양평가도구가 우리나라노인의 식사섭취를 타당성 있게 판정할 수 있다고 보기 어렵다. MNA, NSI, DST는 간단하면서도 생체지표와 영양밀도 등과의 관련성 연구를 통해 그 타당성이 입증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영양불량을 판정하기 위한 간단한 도구로써 제한적이다.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란?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는 타당도가 입증된 간단한체크리스트로 개인이나 집단의 영양 상태와 식사의 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수이다.7,8 한국영양학회에서 2012년에 어린이를 대상으로 체크리스트 조사지를 만들고, 식사 섭취실태와의 상관성 분석 및 타당성 분석을 거쳐 영양지수(NQ-C)를 개발하였으며,7,8 다양한 지역에서 어린이 대상의 영양평가에 활용되고 있다.
노인은 어떠한 시기인가? 노인은 저작기능과 소화기능, 신체활동능력의 약화, 사회활동 참여 감소, 가족형태의 변화 등 신체적 · 사회적· 경제적· 정신적 능력이 쇠퇴하는 시기로 건전한 식이섭취를 방해하는 위험 요인에 많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영양불균형이 되기 쉽다. 또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노인실태조사1에 따르면 노인의 만성질환 유병률은 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older Korean persons. Cheongju: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2.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action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CDs 2013-2020.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3. Oh KW, Nam CM, Park JH, Yoon JY, Shim JS, Lee KH, Suh I. A case-control study on dietary quality and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Korean men. Korean J Nutr 2003; 36(6): 613-621. 

  4. Ko KP, Park SK, Yang JJ, Ma SH, Gwack J, Shin A, Kim YJ, Kang D, Chang SH, Shin HR, Yoo KY. Intake of soy products and other foods and gastric cancer risk: a prospective study. J Epidemiol 2013; 23(5): 337-343. 

  5. Park B, Shin A, Park SK, Ko KP, Ma SH, Lee EH, Gwack J, Jung EJ, Cho LY, Yang JJ, Yoo KY. Ecological study for refrigerator use, salt, vegetable, and fruit intakes, and gastric cancer. Cancer Causes Control 2011; 22(11): 1497-1502. 

  6. Kim HR. A study on the association of diet quality and risk of mortality and major chronic diseases from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data. Health Soc Welf Rev 2013; 33(3): 5-30. 

  7. Kang MH, Lee JS, Kim HY, Kwon S, Choi YS, Chung HR, Kwak TK, Cho YH. Selecting items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NQ) for children. Korean J Nutr 2012; 45(4): 372-389. 

  8. Kim HY, Kwon S, Lee JS, Choi YS, Chung HR, Kwak TK, Park J, Kang MH. Development of a nutrition quotient (NQ) equation modeling for children and the evaluation of its construct validity. Korean J Nutr 2012; 45(4): 390-399. 

  9. Lee JS, Kang MH, Kwak TK, Chung HR, Kwon S, Kim HY, Hwang JY, Choi YS.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preschoolers (NQ-P):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J Nutr Health 2016; 49(5): 378-394. 

  10. Kim HY, Lee JS, Hwang JY, Kwon S, Chung HR, Kwak TK, Kang MH, Choi YS. Development of NQ-A,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olescents, to assess dietary quality and food behavior. J Nutr Health 2017; 50(2): 142-157. 

  11. Patterson RE, Haines PS, Popkin BM. Diet quality index: capturing a multidimensional behavior. J Am Diet Assoc 1994; 94(1): 57-64. 

  12. Haines PS, Siega-Riz AM, Popkin BM. The diet quality index revised: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populations. J Am Diet Assoc 1999; 99(6): 697-704. 

  13. Kennedy ET, Ohls J, Carlson S, Fleming K. The healthy eating index: design and applications. J Am Diet Assoc 1995; 95(10): 1103-1108. 

  14. Guenther PM, Reedy J, Krebs-Smith SM, Reeve BB, Basiotis PP.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healthy eating index-2005: technical report. Alexandria (V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Center for Nutrition Policy and Promotion; 2007. 

  15. McCullough ML, Feskanich D, Stampfer MJ, Giovannucci EL, Rimm EB, Hu FB, Spiegelman D, Hunter DJ, Coditz GA, Willett WC. Diet quality and major chronic disease risk in men and women: moving toward improved dietary guidance. Am J Clin Nutr 2002; 76: 1261-1271. 

  16.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Center for Nutrition Policy and Promotion. Healthy Eating Index (HEI) [Internet]. Alexandria (V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Center for Nutrition Policy and Promotion; 2016 [cited 2017 Dec 24]. Available from: https://www.cnpp.usda.gov/healthyeatingindex. 

  17. Bailey RL, Miller PE, Mitchell DC, Hartman TJ, Lawrence FR, Sempos CT, Smiciklas-Wright H. Dietary screening tool identifies nutritional risk in older adults. Am J Clin Nutr 2009; 90: 177-183. 

  18. Vellas B, Villars H, Abellan G, Soto ME, Rolland Y, Guigoz Y, Morley JE, Chumlea W, Salva A, Rubenstein LZ, Garry P. Overview of the MNA(R)-its history and challenges. J Nutr Health Aging 2006; 10(6): 456-463. 

  19. Posner BM, Jette AM, Smith KW, Miller DR. Nutrition and health risks in the elderly: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Am J Public Health 1993; 83(7): 972-978. 

  20. Lee HO, Lee JS, Shin JW, Lee GJ. Nutrition assessment of older subjects in a health care center by MNA (Mini Nutritional Assessment). J Korean Diet Assoc 2010; 16(2): 122-132. 

  21. Park HK, Lim BK, Choi SH, Lee HR, Lee DS. Verification of the appropriateness when a shortened version of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is applied for determining the malnutrition state of elderly patients. J Korean Soc Parenter Enter Nutr 2009; 2(1): 13-18. 

  22. Son SM, Park JK. The changes of dish consumption frequencies, dietary attitudes and health-nutrition risk for single living female elderly on food-aid program. J Korean Diet Assoc 2005; 11(3): 286-298. 

  23. Kim HY, Kim MH, Hong SG, Hwang SJ, Park MH.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health risk factors, blood health status in elderly Korean women living alone.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2): 216-223.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 elderly.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26. Kim OS, Ryu HS. The study on blood lipid levels according to the food habits and food intake patterns in Korean elderly. Korean J Food Nutr 2009; 22(3): 421-429. 

  27. Pala V, Sieri S, Masala G, Palli D, Panico S, Vineis P, Sacerdote C, Mattiello A, Galasso R, Salvini S, Ceroti M, Berrino F, Fusconi E, Tumino R, Frasca G, Riboli E, Trichopoulou A, Baibas N, Krogh V.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pattern and lifestyle, anthropometry and other health indicators in the elderly participants of the EPIC-Italy cohort. Nutr Metab Cardiovasc Dis 2006; 16(3): 186-201. 

  28. Heidemann C, Hoffmann K, Spranger J, Klipstein-Grobusch K, Mohlig M, Pfeiffer AF, Boeing H. A dietary pattern protective against type 2 diabetes in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 (EPIC)-Potsdam study cohort. Diabetologia 2005; 48(6): 1126-1134. 

  29. Yang KM.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people in Gyeong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 34(7): 1018-1027. 

  30. Kim JE, Shin S, Lee DW, Park JH, Hong EJ, Joung H. Association between compliance with dietary guidelines and Alzheimer's disease in Korean elderly. J Nutr Health 2015; 48(3): 221-227. 

  31. Kim MH. Characteristics of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elderly: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Korean J Food Nutr 2013; 26(3): 515-525. 

  32. Park YK, Lee YJ, Lee SS. The intake of food and nutrient by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the Seoul area. Korean J Nutr 2012; 45(6): 531-540. 

  33. Oh C, No JK, Kim HS. Dietary pattern classifications with nutrient intake and body composition changes in Korean elderly. Nutr Res Pract 2014; 8(2): 192-197. 

  34. Reedy J, Krebs-Smith SM, Miller PE, Liese AD, Kahle LL, Park Y, Subar AF. Higher diet quality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risk of all-cause,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mortality among older adults. J Nutr 2014; 144: 881-889. 

  35. Amarantos E, Martinez A, Dwyer J. Nutrition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1; 56 Spec No 2: 54-64. 

  36. Shatenstein B, Ferland G, Belleville S, Gray-Donald K, Kergoat MJ, Morais J, Gaudreau P, Payette H, Greenwood C. Diet quality and cognition among older adults from the NuAge study. Exp Gerontol 2012; 47: 353-360. 

  37. McNaughton SA, Ball K, Crawford D, Mishra GD. An index of diet and eating patterns is a valid measure of diet quality in an Australian population. J Nutr 2008; 138(1): 86-93. 

  38. van Lee L, Geelen A, Kiefte-de Jong JC, Witteman JC, Hofman A, Vonk N, Jankovic N, Hooft van Huysduynen EJ, de Vries JH, van 't Veer P, Franco OH, Feskens EJ. Adherence to the Dutch dietary guidelines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20-year mortality in a large prospective cohort study. Eur J Clin Nutr 2016; 70(2): 262-268. 

  39. Guenther PM, Casavale KO, Reedy J, Kirkpatrick SI, Hiza HA, Kuczynski KJ, Kahle LL, Krebs-Smith SM. Update of the healthy eating index: HEI-2010. J Acad Nutr Diet 2013; 113(4):569-580. 

  40. National Cancer Institute (US). Epidemiology and genomics research program [Internet]. Bethesda (MD):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7 [cited 2017 Dec 24]. Available from: https://epi.grants.cancer.gov. 

  41. Han KH, Choi MS, Park JS. Nutritional risk and its related factors evaluated by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for the elderly who are meal service participants. Korean J Nutr 2004; 37(8): 675-687. 

  42. Kim SH, Choi-Kwon S. Nutritional status among elderly Korean women and related factors. J Korean Biol Nurs Sci 2012; 14(1): 16-24. 

  43. Moon HK, Kong JE. Reliability of nutritional screening using DETERMINE checklist for elderly in Korean rural areas by seas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3): 340-353. 

  44. Lee JW, Kim KE, Kim KN, Hyun TS, Hyun WJ, Park YS.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a simple screening test developed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risk of undernutrition. Korean J Nutr 2000; 33(8): 864-8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