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을 위한 영양지수 개발과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of NQ-A,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olescents, to assess dietary quality and food behavior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2, 2017년, pp.142 - 157  

김혜영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정숙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지윤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  권세혁 (한남대학교 비즈니스통계학과) ,  정해랑 ((주)영양과 미래) ,  곽동경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명희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영선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영양지수 중 청소년을 위한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 NQ-A) 모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영양지수 평가항목 선정을 위해 식품섭취영역에서 20개 문항, 식행동 식습관 영역에서 21개 문항의 총 41개 문항으로 구성된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청소년 213명을 대상으로 1일의 식사섭취실태 조사를 포함한 파일럿 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항목 점수와 식사섭취실태 관련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24개의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시도별 집락별로 층화추출된 중고등학생 1,547명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로 면대면 조사를 수행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청소년 영양지수의 평가 항목을 19개 항목의 5개요인으로 분류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평가 항목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추정된 경로계수를 가중치로 적용하였다. 청소년 영양지수를 위한 5개의 요인과 가중치는 각각 균형 0.25, 다양 0.15, 절제 0.25, 환경 0.15, 실천 0.20이었다. 균형 영역에는 과일 섭취 빈도, 흰 우유 섭취 빈도, 콩류 섭취 빈도, 생선 섭취 빈도의 4개 항목이 포함되었고, 다양 영역은 채소 반찬 섭취 빈도, 반찬 골고루 먹는 정도, 편식 정도의 3개 항목, 절제 영역은 과자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섭취 빈도, 가공 음료 섭취 빈도, 라면 섭취 빈도, 카페인 음료 섭취 빈도, 야식 섭취 빈도, 길거리 음식 섭취 빈도의 6개 항목, 환경 영역은 아침식사 빈도, 식탁에 앉아서 식사하는 정도, TV 핸드폰 컴퓨터 사용 시간의 3개 항목, 그리고 실천 영역은 영양 표시 확인 정도, 음식 먹기 전 손 씻는 정도, 운동 빈도의 3개 항목이 포함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수 (NQ-A) 평균 점수는 56.0점이었고, 세부 영역별로는 균형 58.6점, 다양 55.6점, 절제 48.1점, 환경 70.6점, 실천 52.1점이었다. 영양지수 점수와 각 영역별 등급은 전국 조사 결과의 백분위수 분포를 기준으로 75~100 백분위의 경우 '상' 등급, 25 ~ <75 백분위의 경우 '중' 등급, 0 ~ <25 백분위는 '하'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영양지수의 경우 63.1~100점은 '상' 등급, 49.0~63점은 '중' 등급, 0~48.9점은 '하' 등급으로 판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을 위한 영양지수는 19개 항목으로 구성된 식행동 체크리스트를 통해 영양지수 점수와 균형, 다양, 절제, 환경, 실천 영역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대적인 NQ 등급 부여를 통해 식사의 질과 식행동이 양호한 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용 영양지수 (NQ-A)가 청소년의 식사의 질과 식행동 평가 및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등에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 (NQ-A) to assess overall dietary quality and food behavior of Korean adolescents. Methods: Development of the NQ-A was undertaken in three steps: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validation. Candidate item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 본 연구진이 2012년에 개발한 어린이 영양지수의 경우 식행동 평가 항목의 최종 선정을 위해 영양섭취실태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한 수렴 타당도를 확인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식행동 평가 항목을 분류하였으며 확정적 요인분석으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12,1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최신 영양문제를 최대한 함유할 수 있는 식행동 체크리스트를 만들고, 어린이 영양지수 산정 시 사용한 여러 가지 타당성 평가 기법을 이용하여 청소년의 식사의 질과 영양 상태를 설명할 수 있는 청소년 영양지수 (NQ-A)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영양지수 중 청소년을 위한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Adolescents, NQ-A) 모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영양지수 평가항목 선정을 위해 식품섭취영역에서 20개 문항, 식행동·식습관 영역에서 21개 문항의 총 41개 문항으로 구성된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사 지표 계산에 있어 단점은? 22 하나는 역학적인 목적에서 인구집단의 식사섭취실태를 평가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이의 대표적인 지표로 Diet Quality Index23와 Healthy Eating Index24를 들 수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KDQI (Korean Diet quality index)25와 Korean HEI (식생활평가지수) 26가 보고된 바 있다. 한편, 이러한 식사 지표들은 섭취한 식품과 함유된 영양소로부터 점수를 계산하므로, 반드시 정확한 식사섭취실태 조사와 영양성분의 분석이 선행되어야 계산될 수 있어서 지표 계산에 참여자와 연구자의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영양지수란?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는 타당도가 입증된 간단한 체크리스트로 개인이나 집단의 영양 상태와 식사의 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수이다.12,13 한국영양학회에서 2012년에 만든 어린이 영양지수 (NQ-C)는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체크리스트 조사지를 만들고, 식사섭취 실태와의 상관성 분석을 거쳐 최종 영양지수 설문지를 선정하였다.
청소년기에 영양 불균형이 초래되기 쉬운 이유는? 청소년기는 생애주기 중 성장발달이 매우 왕성하여 이에 맞는 적절한 영양소의 공급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특히 시간에 쫓기면서 아침 결식이 많아지고, 고열량 인스턴트식품의 섭취가 증가하며, 학원 등에서의 학업 시간 증가로 식사시간의 불규칙과 매식에서의 적절하지 못한 음식 선택으로 인해 영양 불균형이 초래되기 쉽다. 또한 입시 준비 등으로 인해 줄어든 신체활동은 불량한 식생활과 함께 청소년 건강의 위협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food variety by age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2010-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5; 48(3): 236-247. 

  2. Kim MJ, Song S, Park SH, Song Y. The association of snack consumption, lifestyle factors, and pediatric obesity with dietary behavior patterns in male adolescents. J Nutr Health 2015; 48(3): 228-235. 

  3. Woo T, Lee HJ, Lee KA, Lee SM, Lee KH.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s' dietary perceptions and practic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2): 165-177. 

  4. Bae YJ, Yeon JY.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according to carbonated drink consumption in male adolescents: based on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5; 48(6): 488-495. 

  5. Kwak S, Woo T, Lee KA, Lee KH. A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and influencing factors for vegetable preferences of adolescent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0(4): 259-272. 

  6. Kwon JE, Park HJ, Lim HS, Chyun JH. The relationships of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life satisfaction with family meal fre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 2013; 28(3): 272-281. 

  7.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meal variety with breakfast eating in Korean adolescents: analysis of data from the 2008- 200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3): 257-268. 

  8.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related to obesity in Korean female adolescents according to dietary diversity score: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07-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4): 419-428. 

  9. Jo JE, Park HR, Jeon SB, Kim JS, Park GE, Li Y, Lim YS, Hwang J.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food consumption frequencies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using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11.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2): 165-176. 

  10. Kim SH, Cho SW, Hwang SS, Ahn M, Lee D, Kang SW, Park YK. Increased whole grain, fruits and vegetable intake reduced oxidative stress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Nutr 2012; 45(5): 452-461. 

  11. Heo GJ, Nam SY, Lee SK, Chung SJ, Yoon JH.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energy/low nutrient food consumption and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2): 226-242. 

  12. Kang MH, Lee JS, Kim HY, Kwon S, Choi YS, Chung HR, Kwak TK, Cho YH. Selecting items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NQ) for children. Korean J Nutr 2012; 45(4): 372-389. 

  13. Kim HY, Kwon S, Lee JS, Choi YS, Chung HR, Kwak TK, Park J, Kang MH. Development of a nutrition quotient (NQ) equation modeling for children and the evaluation of its construct validity. Korean J Nutr 2012; 45(4): 390-399. 

  14. Yoo JS, Choi YS. Evaluation of items for the food behavior checklist and nutrition quotient score on children in rural areas of Gyeongbuk. J Nutr Health 2013; 46(5): 427-439. 

  15. Boo MN, Cho SK, Park K.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using nutrition quotient. J Nutr Health 2015; 48(4): 335-343. 

  16. Lim H, Kim J, Wang Y, Min J, Carvajal NA, Lloyd CW. Child health promotion program in South Korea in collaboration with US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improvement in dietary and nutrition knowledge of young children. Nutr Res Pract 2016; 10(5): 555-562. 

  17. Kim JR, Lim HS.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nutrition quotient and the practice of the dietary guidelin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J Nutr Health 2015; 48(1): 58-70. 

  18. Huang YC, Kim HY. Assessment of dietary behavior of Chinese children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J Nutr Health 2014; 47(5): 342-350. 

  19. Lee SJ, Kim Y. Evaluation of the diet and nutritional stat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aegu area by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J Nutr Health 2013; 46(5): 440-446. 

  20. Lazarou C, Newby PK. Use of dietary indexes among children in developed countries. Adv Nutr 2011; 2(4): 295-303. 

  21. Kant AK. Dietary patterns and health outcomes. J Am Diet Assoc 2004; 104(4): 615-635. 

  22. Marshall S, Burrows T, Collins CE. Systematic review of diet quality indice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health-related outcom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Hum Nutr Diet 2014; 27(6): 577-598. 

  23. Patterson RE, Haines PS, Popkin BM. Diet quality index: capturing a multidimensional behavior. J Am Diet Assoc 1994; 94(1): 57-64. 

  24. Kennedy ET, Ohls J, Carlson S, Fleming K. The Healthy Eating Index: design and applications. J Am Diet Assoc 1995; 95(10): 1103-1108. 

  25. Shim JE, Paik HY, Lee SY, Moon HK, Kim YO.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 of Koreans by age groups: (4) the Korean diet quality index. Korean J Nutr 2002; 35(5): 558-570. 

  26. Yook SM, Park S, Moon HK, Kim K, Shim JE, Hwang JY. Development of Korean Healthy Eating Index for adult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 Nutr Health 2015; 48(5): 419-428. 

  27. Branscum P, Sharma M, Kaye G, Succop P. An evaluation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modified for children. J Nutr Educ Behav 2010; 42(5): 349-352. 

  28. Serra-Majem L, Ribas L, Ngo J, Ortega RM, Garcia A, Perez- Rodrigo C, Aranceta J. Food, youth and the Mediterranean diet in Spain. Development of KIDMED, Mediterranean Diet Quality Index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ublic Health Nutr 2004; 7(7): 931-935.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30.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KR).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 adolescents.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10. 

  31. Joreskog KG, Sorbom D. LISREL 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SIMPLIS command language. Chicago (IL):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1993. 

  3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33. Craigie AM, Lake AA, Kelly SA, Adamson AJ, Mathers JC. Tracking of obesity-related behaviours from childhood to adulthood: a systematic review. Maturitas 2011; 70(3): 266-284. 

  34. Kleiser C, Mensink GB, Scheidt-Nave C, Kurth BM. HuSKY: a healthy nutrition score based on food intak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Germany. Br J Nutr 2009; 102(4): 610-618. 

  35. Marshall S, Watson J, Burrows T, Guest M, Collins CE.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Australian child and adolescent recommended food score: a cross-sectional study. Nutr J 2012; 11: 96. 

  36. Feskanich D, Rockett HR, Colditz GA. Modifying the Healthy Eating Index to assess diet qual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Diet Assoc 2004; 104(9): 1375-1383. 

  37. Lee JS, Kang MH, Kwak TK, Chung HR, Kwon S, Kim HY, Hwang JY, Choi YS.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preschoolers (NQ-P):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J Nutr Health 2016; 49(5): 378-394. 

  38. Townsend MS, Kaiser LL, Allen LH, Joy AB, Murphy SP. Selecting items for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a limited-resource audience. J Nutr Educ Behav 2003; 35(2): 69-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