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난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초고층건물의 피난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Egress Algorithm for High-rise Buildings Using Egress Simulation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2 no.1, 2018년, pp.33 - 39  

김원국 ((사)지식융합원) ,  서동현 ((사)지식융합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고층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가 초기 진화에 실패하여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경우, 희생자 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일은 건물 내의 인원을 안전하게 건물 밖으로 피난시키는 일이 될 것이다. 최근 초고층 화재로 인한 대규모 인명피해를 경험하면서 이러한 취약점들을 보강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졌으나, 개선 사항들이 모두 적용되지 않았고, 적용되었더라도 작동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면, 최후의 보호막은 효율적인 피난유도가 될 것이 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화재피난 방법을 조사하고 거주자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화재발생층과 화재위험층에 있는 거주인 들에게 피난 우선권을 주는 순차 피난방법이 적용되어야 하며, 이 들의 피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나머지 층의 인원들에 대한 전체피난이 이루어져야 한다. 화재위험층의 범위는 화재실물시험, 화재 시뮬레이션 등을 통하여 예측하고 결정되며 실제상황이 예측과 달라지는 경우에는 실제 상황에 우선권을 주어야 한다. 이러한 피난방법에 소요되는 피난시간은 피난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 비교하였다. 피난시뮬레이션 결과 화재위험층의 순차피난이 건물전체의 동시피난과는 적은 시간차이를 보이면서 피난로의 내화시간 이내에 가능하였으며, 피난용승강기를 사용하는 경우 많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the fire in the high-rise building was not extinguished in its early stage and propagated over its origin, safe egress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minimize the casualties. Recently fire protection for high-rise building has been reinforced after experiencing the series of disast...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6)

  1. K. Richardson, "Fire Safety in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Ontario Association of Architects, Canada Morgage & Housing Corporation (2013). 

  2. P. R. Decicco, "Evacuation From Fires, Vol.II", Baywood Publishing Co. Inc. (2017). 

  3. International Fire Code, International Code Council, Inc. (2012). 

  4. NEPA, "Guidelines to Developing Emergency Action Plans for All-Hazard Emergencies in High-rise Office Buildings" (2014). 

  5. G. Craighead, "High-Rise Security &Fire Life Safety, 3rd Edition", Elsevier, Butterworth-Heinemann (2009). 

  6. W. K. Kim, S. G. Lee, H. J. Park and J. H. Chun, "A Study for Fire Propagation Through Vision Part of Tall Building Analyzed by CFD Modeling",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Council on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 pp. 577-583 (200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