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반 안정화운동이 산후 요통 여성에게 통증, 기능장애, 심리사회적수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lvic Floor Stabilization exercise on Pain, Function, Psychosocial, EMG Activity on the Lower Back Pain with Postpartum Women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4 no.2, 2018년, pp.17 - 27  

이민지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  권오국 (오피티운동센터) ,  송현승 (첨단우암병원 재활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lvic floor stabilization exercise of pain, disfunction, psychosocial, electromyography (EMG) activity on the lower back pain with postpartum. Methods: The study included 20 postpartum women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a sling exercise group (S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후 요통이 있는 여성에게 Sling 운동을 적용했을 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통증, 기능장애, 심리사회적, 산후 기능적, 산후우울증, 근활성도에서 전후 차이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출산 후 요통이 있는 여성에게 Sling운동을 적용했을 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Sling운동군(10명), 일반적인 물리치료군(10명)으로 하였으며, 통증수준, 기능적수준, 심리사회적수준, 산후기능적수준, 산후우울증수준, 체간근육 활성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슬링 운동이 골반의 기능이 안정화가 증진되어 통증이 감소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슬링운동이 골반의 기능을 향상시켜 요통이 감소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생각된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골반 안정화 운동이 출산 후 요통을 갖고 있는 여성에게 통증, 기능장애, 심리사회적 수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슬링 운동군(실험군)이 일반물리치료군(대조군)보다 중재 전·후의 두 군간의 요통의 통증수준, 요통기능장애수준, 심리사회적수준, 산후 기능적 수준, 산후우울증수준 그리고 체간근육의 활성화에 중재 후 값과 변화량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구체적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슬링 운동군(실험군)과 일반물리치료군(대조군)의 중재 전과 중재 후를 비교했을 때, 요통의 통증수준, 요통기능장애수준, 심리사회적수준, 산후 기능적 수준, 산후우울증수준 그리고 체간근육의 활성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슬링 운동군(실험군)이 일반물리치료군(대조군)보다 중재 전·후의 두 군간의 요통의 통증수준, 요통기능장애수준, 심리사회적수준, 산후 기능적 수준, 산후우울증수준 그리고 체간근육의 활성화에 중재 후 값과 변화량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통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요통은 척추 주변의 근육뿐만 아니라 체간의 근지구력과 연부조직이 약화되어 척추가 불안정해져 발생한다. 또한 요통을 가진 환자들은 요추부의 불안정성과 요골부의 안정화 근육들이 늦게 활성화된다(Adams, 2004).
슬링 운동이란 무엇인가? 슬링 운동은 수중에서의 이완효과를 지상에서 얻고자 고안된 치료이다. 현수점의 이동, 줄의 길이 조절, 탄력밴드, 도수 저항, 열린 사슬 및 닫힌 사슬을 자유자재로 이용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만든 과학적인 운동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Kirkesola, 2001). 만성요통환자의 요부 및 골반의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슬링운동과 Medex 운동을 적용한 결과 슬링운동이 심부복근과 척추관절의 신전, 굴곡, 회전력을 향상시켜 요부의 안정화를 강화시켰다고 하였다(이원재, 2005).
출산 후 겪는 산후우울증의 치료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보통 여성의 30~75%가 경험하는 흔한 증상이지만 이 증상이 심할수록 아이나 가족 본인에게도 악영향을 미치는 증상 중에 하나이다. 보통 분만 후 3~4일 내에 우울감, 과민반응, 잦은 눈물, 수면부족, 식욕 장애 등의 증상을 보이며, 6주 이상 지속되면 짜증, 집중력 저하, 자살충동으로 이어져 치료가 필요하다(Stewart와 Stotland, 2001). 산후우울증은 12달이 지났을 경우 여성의 10~16%가 겪고 있으며, 출산 후 겪는 부정적인 요소들, 과거력, 감정 소모, 부정적인 사회경제적 요소들이 합쳐져서 복합적으로 발생하게 된다(Parker 등, 2015; Gaillard 등,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강희진. 슬링운동과 분절 안정화 운동이 요추 추간판탈출증 수술환자의 통증과 국소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 김경모, 박소연, 이충휘. 요통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한국어판 오스웨스티리 장애 설문지의 라쉬분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1;18(2):35-42. 

  3. 박수경. 산후 우울증 예측인자로서의 임신 후기 우울 증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7. 

  4. 박승진. 슬링운동치료가 만성요통환자의 척추정렬과 근활성도 및 다열근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5. 박혜상, 함용운. 슬링 운동이 요통환자의 통증정도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9;36(2):655-661. 

  6. 심미정. 임부의 요, 골반통 완화 프로그램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7-11. 

  7. 이원재. 6주간의 sling운동과 Medex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요부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05;44(5);485-492. 

  8. 이호준, 김선엽. 요추부 불안정성을 가진 요통환자의 복부 드로우-인 기법과 복부 확장 기법을 이용한 체간안정화운동의 효과 비교. Phys Ther Korea. 2015;22(1):37-48. 

  9. 조운승. 만성 요통 환자를 위한 복합 슬링(Sling) 운동프로그램이 요부통증에 미치는 효과.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0. 한주연. 임신 전 체질량지수, 활동정도 및 출산 전후 체중변화가 체중저류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1. Adams MA. Biomechanics of back pain. Acupunct Med. 2004;22(4):178-188. 

  12. Arokoski JP, Valta T, Kankaanpaa M. Back and abdominal muscle function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 Arch Phys Med Rehabil. 2001;82(8):1089-1098. 

  13. Borg-Stein J, Dugan SA, Gruber J. Musculoskeletal aspects of pregnancy. Am J Phys Med Rehabil. 2005;84:180-192. 

  14. Breen TW, Ransil BJ, Groves PA,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back pain after childbirth. Anesthesilolgy. 1994;81:29-34. 

  15. Brunhildsen J, Hansson A, Persson A. Follow-up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during pregnancy. Obstetrics & Gynecology. 1998;91(2):182-186. 

  16. Brumagne S, Lysens R, Spaepen A. Lumbosacral position sense during pelvic tilting in men and women without low back pain: test development and reliability assessment.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9;29(6):345-351. 

  17. Cresswell AG, Oddsson L, Thorstensson A. The influence of sudden perturbations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intra-abdominal pressure while standing. Exp Brain Res. 1994;98(2): 336-341. 

  18. Da Costa D, Rippen N, Dritsa M, et al. Self-reporte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during pregnancy and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JPOG. 2003;24(2):111-119. 

  19. David MC, Brain WN. Low back strengthening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ow back pain. Med Sci Sport Exerc. 1999;31(1):18-24. 

  20. Fawcett J, Tulman L. Development of the inventory of functional status after birth. J of Nurse-Midwifery. 1988;33(6):252-260. 

  21. Franke H, Franke JD, Belz S, et al. Osteopathic manipulative treatment for low back and pelvic girdle pain during and after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Bodyw Mov Ther. 2017;21(4):752-762. 

  22. Gaillard A, Le Strat Y, Mandelbrot L, et al.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prospective study of 264 women followed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Psychiatry Res. 2014;215:341-346. 

  23. Grotle M, Brox JI, Veierod MB, et al. Clinical course and prognostic factors in acute low back pain: Patients consulting primary care for the first time. Spine. 2005;30(8):976-982. 

  24. Gutke A, Ostgaard HC, Oberg B. Predicting persistent pregnancy-related low back pain. Spine. 2008;33(12):386-393. 

  25. Hanada EY, Hubley-Kozey CL, McKeon MD, et al. The feasibility of measuring the activation of the trunk muscles in healthy older adults during trunk stability exercises. BMC Geriatr. 2008;8:33. 

  26. Hickman DM, Cramer R. The effect of different condylar positions on masticatory muscle electromyographic activity in human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8;85(1):18-23. 

  27. Joo MK, Kim TY, Kim JT,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ear-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 Phys Ther Korea. 2009;16(2):24-30. 

  28. Kendall F, McCreary EK, Provance P, et al.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194-203. 

  29. Kim BH, Jeon HW, Jung Y. Relationship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body image in postpartum women, J Korea Acad Nurs. 2002;32(6):906-917. 

  30. Kim DY, Lee SH, Lee HY, et al.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pine (Phila Pa 1976). 2005;30(5):123-127. 

  31. Kim EO, Kim TH, Roh JS, et al. The influence of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on lumbar lordosis and trunk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bridging exercise. Phys Ther Korea. 2009;16(1):1-9. 

  32. Kim YK, Hur JW, Kim KH, et al. Clinical Application of Korean Version of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JKNA. 2008;47(1):36-44. 

  33. Kirkesola G. Neurac-a new treatment method for long-term musculoskeletal pain. The Journal Fysioterapeuten. 2009;76(12):16-25. 

  34. Langrana NA, Lee CK, Alexander H,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back strength using isokinetic testing. Spine. 1984;9:127-129. 

  35. Lancaster CA, Gold KJ, Flynn HA, et al. Risk factors for depressive symptoms during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Am J Obstet Gynecol. 2010;202:5-14. 

  36. Lee GW, Yoon TL, Kim KS, et al. EMG activity of abdominal muscles during lumbopelvic stabilization exercises. Phys Ther Korea. 2014;21(2):1-7. 

  37. Lee SJ, Kim YM. The effects of gluteal muscle exercises combined lumbar stabilization on lumbar stability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J Korean Soc Phys Med. 2013;8(1):29-39. 

  38. Majchrzycki M, Mrozikiewicz PM, Kocur P, et al. Low back pain in pregnant women [in Polish]. Ginekol. Pol. 2010;81:851-855. 

  39. Morgan IM, Pohjanen AI. Low back pain and pelvic pain during pregnancy: Prevalence and risk factors. Spine. 2005;30(8):983-991. 

  40. Noren L, Ostgaard S, Johansson G, et al. Lumbar back and posterior pelvic pain during pregnancy: A 3-year follow-up. Eur Spine J. 2001;11(3):267-271. 

  41. Ostgaard HC, Andersson GB. Low back pain postpartum. Spine. 1992;17:53-55. 

  42. Parker GB, Hegarty B, Paterson A, et al. Predictors of post-natal depression are shaped distinctly by the measure of "depression." J Affect Disord. 2015;173:239-244. 

  43. Queiroz BC, Cagliari MF, Amorim CF, et al. Muscle activation during four pilates core stability exercises in quadruped position. Arch Phys Med Rehabil. 2010;91(1):86-92. 

  44. Ritchie JR. Orthopedic considerations during pregnancy. Clin Obstet Gynecol. 2003;46:456-466. 

  45. Scott, S. FACSM Medical Report: Exercise in the Postpartum Period. ACSM'S Health & Fitness Journal. 2006;10(4):40-41. 

  46. Seo JK, Kim SY. The relationship between hip abductor muscle strength and lumbar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Kor Soc Phys Ther. 2011;23(4):15-21. 

  47. Shim MJ. A study on the relation of functional limitation, functional disability and back pain in pregnancy. Korean J Women Health Nursing. 2002;8(1):96-105. 

  48. Stewart DE, Stotland L. Psychological aspects of women's health care: Washington, Postpartum disorders. 2001:117-139. 

  49. Vleeming A, Albert HB, Ostgaard HC, et al. European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elvic girdle pain. Eur. Spine J. 2008;17:794-819. 

  50. Von Korff M, Deyo RA, Cherkin D, et al. Back pain in primary care. Outcomes at 1 year. Spine (Phila Pa 1976). 1993;18(7):855-862. 

  51. Waddell G, Newton M, Henderson I, et al. A fear-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 (FABQ) and the role of fear-avoidance beliefs in chronic low back pain and disability. Pain. 1993;52(2):157-168. 

  52. Wang SM, Dezinno P, Lin EC, et al. Auricular acupuncture as a treatment for pregnant women who have low back and posterior pelvic pain: a pilot study. Am J Obstet Gynecol. 2009;201(3):271-27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