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수동적 스트레칭이 혈중피로물질 및 VAS에 미치는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Effects of Passive Stretching on Blood Fatigue and VAS after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6, 2018년, pp.93 - 99  

김종혁 (중원대학교 뷰티헬스학과) ,  김도진 (부천대학교 재활스포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수동적 스트레칭의 효과를 확인하고 부상 시 효과적인 통증완화 및 예방을 위한 재활 운동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20대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동적 스트레칭그룹과 통제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수동적 스트레칭 그룹은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수동적 스트레칭을 실시하였으며 통제그룹은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어떠한 처치도 실시하지 않았다. 지연성근육통 유발 방법은 벤치 스텝 운동을 통하여 유발하였으며, 스텝박스의 높이는 50cm이며, 착지 시 왼쪽 하지 쪽으로 착지하도록 하였다. 측정변인은 혈중피로물질과 주관적 통증척도를 알아보았으며 자료처리는 수동적 스트레칭 그룹과 통제그룹의 비교를 위하여 2-way RGRM ANOVA를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수동적 스트레칭이 혈중피로물질(CRP, LDH)과 주관적 통증척도(VAS)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effect of passive stretching after delayed muscular pain induction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pose a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for effective pain relief and prevention in case of injury. Subjects were divided into passive stretching group and co...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재활치료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스트레칭 기법은 치료사 또는 치료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수동적 스트레칭이라고 볼 수 있다[23].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연성 근육통 유발 후 수동적 스트레칭의 효과를 확인하고 부상 예방 및 효과적인 재활 운동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수동적 스트레칭을 적용하여 혈중피로물질 및 주관적 통증척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와 비교 분석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수동적 스트레칭의 효과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재활운동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자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지연성근육통(DOMS) 유발 후 수동적 스트레칭 그룹과 통제그룹으로 구분하여 수동적 스트레칭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OMS는 어떤 경우 발생하나?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근골격계를 포함한 전체 유기체에 이익을 주지만, 지연성근육통(DOMS)을 지연시킬 수 있다. DOMS는 개인이 익숙하지 않은 운동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민감도, 통증 및 근육 강도에 해당하며 강도가 높거나 편심수축이 있을 때 발생한다[2,3]. DOMS는 보통 운동이 끝난 후 24시간 동안 나타나며, 운동이 끝난 후 48시간에서 72시간 사이에 통증이 가장 높다[4].
DOMS의 통증이 가장 높을 때는 언제인가? DOMS는 개인이 익숙하지 않은 운동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민감도, 통증 및 근육 강도에 해당하며 강도가 높거나 편심수축이 있을 때 발생한다[2,3]. DOMS는 보통 운동이 끝난 후 24시간 동안 나타나며, 운동이 끝난 후 48시간에서 72시간 사이에 통증이 가장 높다[4]. 통증 기간 동안 개인은 최대 근육강도의 범위와 결핍의 제한을 받을 수 있다[5].
DOMS 통증 기간 동안 제한을 받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DOMS는 보통 운동이 끝난 후 24시간 동안 나타나며, 운동이 끝난 후 48시간에서 72시간 사이에 통증이 가장 높다[4]. 통증 기간 동안 개인은 최대 근육강도의 범위와 결핍의 제한을 받을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 Byrne, C. Twist & R. Eston. (2004). Neuromuscular function after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theoretical and applied implications. Sports medicine, 34(1), 49-69. 

  2. K. Cheung, P. A Hume & L. Maxwell. (2003).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treatment strategies and performance factors. Sports medicine, 33(2), 145-64. 

  3. J. T. Costello, P. R. Baker, G. M. Minett, F. Bieuzen, I. B. Stewart & C. Bleakley. (2016). Cochrane review: Whole-body cryotherapy (extreme cold air exposur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uscle soreness after exercise in adults. Journal of evidence-based medicine, 9(1), 43-44. 

  4. P. B. Lewis, D. Ruby & C. A. Bush-Joseph. (2012). Muscle soreness and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Clinics in sports medicine, 31(2), 255-262. 

  5. O. Prasartwuth, T. J. Allen, J. E. Butler, S. C. Gandevia & J. L. Taylor. (2006). Length-dependent changes in voluntary activation, maximum voluntary torque and twitch responses after eccentric damage in humans. The Journal of physiology, 571(Pt 1), 243-252. 

  6. A. V. Rowlands, R. G. Eston & C. Tilzey. (2001). Effect of stride length manipulation on symptoms of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and the repeated bout effect. Journal of sports sciences, 19(5), 333-340. 

  7. K. Cheung, P. Hume & L. Maxwell. (2003).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treatment strategies and performance factors. Sports medicine, 33(2), 145-164. 

  8. D. MacIntyre, W Reid & D. McKenzie. (1995). Delayed muscle soreness. The inflammatory response to muscle injury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Sports medicine, 20(1), 24-40. 

  9. D. Szymanski. (2001). Recommendations for the avoidance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Strength and Conditioning Journal, 23(4), 7-13. 

  10. Z. Zainuddin, M. Newton, P. Sacco & K. Nosaka. (2005). Effects of massage on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swelling, and recovery of muscle function.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40(3), 174-180. 

  11. A. Ascensao, M. Leite, A. N. Rebelo, S. Magalhaes & J. Magalhaes. (2011). Effects of cold water immersion on the recovery of physical performance and muscle damage following a one-off soccer match. Journal of Sports Sciences, 29(3), 217-225. 

  12. D. A. Connolly, S. E. Sayers & M. P. McHugh. (2003).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17(1), 197-208. 

  13. R. P. McGrath, J. R. Whitehead & D. J. Caine. (2014).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Stretching on Post-Exercise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in Young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Exercise Science, 7(1), 14-21. 

  14. S. Reisman, L. Walsh & U. Proske. (2005). Warm-up stretches reduce sensations of stiffness and soreness after eccentric exercise.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7(6), 929-936. 

  15. E. Witvrouw, N. Mahieu, L. Danneels & P. McNair. (2004). Stretching and injury prevention. Sports medicine, 34(7), 443-449. 

  16. D. J. McMillian, J. H. Moore, B. S. Hatler & D. C. Taylor. (2006). Dynamic vs. static-stretching warm up: the effect on power and agility performance.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0(3), 492-499. 

  17.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1998). The recommended quantity and quality of exercise for developing and maintaining cardiorespiratory and muscular fitness and flexibility in healthy adult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0(6), 975-991. 

  18. J. M. Roberts & K. Wilson. (1999). Effect of stretching duration on the active and passive range of motion in the lower extremity.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33(4), 259-263. 

  19. S. W. Madding, J. G. Wong, A. Hallorn & J. M. Madeiros. (1987). Effect of duration of passive stretch on hip adduction range of motion. The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8(8), 409-416. 

  20. M. Moller, J. Ekstrand, B. Oberg & J. Gillquist. (1985). Duration of stretching effect on range motion in lower extremiti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6(3), 171-173. 

  21. E. Witvrouw, L. F. Danneels, P. Asselman, T. D'Have & D. Cambier. (2003). Muscle flexibility as a risk factor for developing muscle injuries in male professional soccer players. A prospective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31(1), 41-46. 

  22. L. C. Decoster, J. Cleland, C. Altieri & P. Russell. (2005). The effects of hamstring stretching on range of mo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e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35(6), 377-387. 

  23. J. P. Halbertsma, I. Mulder, L. N. Goeken & W. H. Eisma. (1999). Repeated passive stretching: acute effect on the passive muscle moment and extensibility of short hamstring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0(4), 407-414. 

  24. N. Singla, P. J. Desjardins, E. B. Cosca, C. Parulan, A. Arriaga, K. C. Poole, D. M. Batz & P. D. Chang. (2015).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a pilot study to assess analgesic study design features. Pain, 156(6), 1036-1045. 

  25. W. C. Byrnes & P. M. Clarkson. (2003).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and training. Clinics in Sports Medicine, 5(3), 605-614. 

  26. H. B. Lim. (2017). The effects of muscle damage factors and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using a foam roller after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27. S. H. Kim. (2009). Effects of different stretching methods after exercise o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and exercise performance. Exercise Science, 18(4), 527-538. 

  28. S. Imtiyaz, Z. Veqar & M. Y. Shareef. (2014). To Compare the Effect of Vibration Therapy and Massage in Prevention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DOMS). 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8(3), 133-136. 

  29. E. C. Leal Junior, V. de Godoi, J. L. Mancalossi, R. P. Rossi, T. De. Marchi, M. Parente, D. Grosselli, R. A. Generosi, M. Basso, L. Frigo, S. S. Tomazoni, J. M. Bjordal & R. A. Lopes-Martins. (2011). Comparison between cold water immersion therapy (CWIT) and light emitting diode therapy (LEDT) in short-term skeletal muscle recovery after high-intensity exercise in athletes -preliminary results. Lasers in medical science. 26(4), 493-501. 

  30. M. B. Pepys. (1995). The acute phase response and C-reactive protein. University of Oxford Press. second edition, 1527-1533. 

  31. W. McArdle. F. Katch & V. Katch. (2007). Exercise Physiology: Energy, Nutrition, and Human Performance (6th ed). Williams & Wilkins: Baltimore. 

  32. F. Hirschhaeuser. U. G. Sattler & W. Mueller-Klieser. (2011). Lactate: a metabolic key player in cancer. Cancer research, 71(22), 6921-6925. 

  33. G. J. Kato, V. McGowan, R. F. Machado, J. A. Little, V. I. J. Taylor, C. R. Morris, J. S. Nichols, X. Wang, M. Poljakovic, S. M. Morris & M. T. Gladwin. (2006). Lactate dehydrogenase as a biomarker of hemolysis-associated nitric oxide resistance, priapism, leg ulceration, pulmonary hypertension, and death in patients with sickle cell disease. Blood, 107(6), 2279-2285. 

  34. T. W. Kang & J. B. Park. (2017). The Effect of Stretching and Stretching in Cold Bath after Artificial DOMS on Muscle Pain and Muscular Function.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Conference Proceedings, 115-118. 

  35. Z. Zainuddin, M. Newton, P. Sacco & K. Nosaka. (2005). Effects of massage on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swelling, and recovery of muscle function.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30(3), 174-180. 

  36. J. M. Vaile, N. D. Gill & A. J. Blazevich. (2007). The effect of contrast water therapy on symptoms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1(3), 697-702. 

  37. S. Imtiyaz, Z. Veqar & M. Y. Shareef. (2014). To Compare the Effect of Vibration Therapy and Massage in Prevention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DOMS). 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8(1), 133-136. 

  38. G. Z. Macdonald, D. C. Button, E. J. Drinkwater & D. G. Behm. (2014). Foam rolling as a recovery tool after an intense bout of physical activity. Medicine Science of Sports Exercise, 46(1), 131-142. 

  39. P. J. O'Connor & D. B. Cook. (1999). Exercise and pain: The neurobiology, measurement, and laboratory study of pain in relation to exercise in humans.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27(1), 119-166. 

  40. P. Bajaj, T. Graven-Nielsen & L. Arendt-Nielsen. (2001). Post-exercise muscle soreness after eccentric exercise: psychophysical effects and implications on mean arterial pressure.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 science in sports, 11(5), 266-273, 2001. 

  41. M. H. Lee. (2007). Effects of the low back exercise program including a hamstring stretching on lumbar muscle strength and subjective pain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