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연성근육통 중재 후 통증의 변화가 뇌파와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융합적 분석
Convergence analysis of pain changes on brain wave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after intervention for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2, 2021년, pp.61 - 66  

김경윤 (동신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배세현 (동신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연성근육통의 통증 변화가 자율신경계와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연성 근육통이 유발된 28명을 대조군(n=14)과 실험군(경피신경자극과 키네시오테이핑 적용, n=14)으로 구분하였다. 중재는 지연성근육통 유발 1일 후부터 5일 동안 실시하였다. 평가는 VAS(visual analog scale), 심박변이, 뇌파를 사용하여 지연성근육통 유발 전, 유발 24시간 후, 5일 치료 후, 치료 중단 3일 후에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지연성근육통이 발생하면 교감신경계의 활성 증가 또는 부교감신경계 활성 억제가 되며, 중재로 인한 통증 감소는 반대의 활동이 나타났다. 통증 발생 시 alpha파의 감소가 나타났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통증 변화는 자율신경계와 뇌파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통증 관리와 치료 전략 개발 및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anges in pain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brain waves after inducing delayed-onset muscle soreness(DOMS). Based on voluntary participation, 28 participants with induced-DOMS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non-treatment, n=14) and experimen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였다. DOMS의 선행연구들은 통증 감소를 통한 운동기능 변화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본 연구는 중재에 따른 통증의 변화가 자율신경계와 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변화에 대해서는 연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DOMS 대상자에게 경피신경자극과 키네 시오 테이핑을 적용하여 통증 변화를 알아보고 그 변화에 따른 자율신경계와 통증 인지 변화를 정량화 및 객관화하여 통증 중재 및 관리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 Cheung, P. Hume & L. Maxwell. (2003).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Treatment strategies and performance factors. Sports Med, 33(2), 145-164. DOI: 10.2165/00007256-200333020-00005 

  2. B. Vadasz et al. (2020). Improving characterization and diagnosis quality of myofascial pain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of the clinical and biomarker overlap with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Eur J Phys Rehabil Med 56(4), 469-478. DOI: 10.23736/S1973-9087.20.05820-7 

  3. B. Sonkodi, I. Berkes & E. Koltai. (2020). Have we looked in the wrong direction for more than 100 years?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is, in fact, neural microdamage rather than muscle damage. Antioxidants 9(3), 212. DOI: 10.3390/antiox9030212 

  4. P. M. Clarkson & M. J. Hubal. (2002).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in humans. Am J Phys Med Rehabil, 81(11), S52-69. 

  5. C. Kisner, L. A. Colby & J. Borstad. (2017).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F.A. Davis. 

  6. K. L. Sellwood, P. Brukner, D. Williams, A. Nicol & R. Hinman. (2007). Ice­water immersion and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r J Sports Med 41(6), 392-397. DOI: 10.1136/bjsm.2006.033985. 

  7. D. A. J. Connolly, S. P. Sayers & M. P. McHugh. (2003).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J Strength Cond Res 17(1), 197-208. DOI: 10.1519/1533-4287(2003)017 2.0.co;2 

  8. T. Halseth, J. W. McChesney, M. Debeliso, R. Vaughn & J. Lien. (2004). The effects of kinesioTM taping on proprioception at the ankle. J Sports Sci Med 3(1), 1-7. 

  9. H. H. Host. (1995). Scapular taping in the treatment of anterior shoulder impingement. Phys Ther 75(9), 803-812. DOI: doi.org/10.1093/ptj/75.9.803 

  10. C. G. T. Vance, D. L. Dailey, B. A. Rakel & K. A. Sluka. (2014). Using TENS for pain control: the state of the evidence. Pain Manag 4(3), 197-209. DOI: doi.org/10.2217/pmt.14.13 

  11. S. Telles, S. K. Sharma, R. K. Gupta, A. K. Bhardwaj & A. Balkrishna. (2016). Heart rate variability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randomized to yoga or standard care. BMC Complement Altern Med 16(1), 279. DOI: 10.1186/s12906-016-1271-1 

  12. L. M. Tracy, L. Ioannou, K. S. Baker, S. J. Gibson, N. Georgiou-Karistianis & M. J. Giummarra. (2016). Meta-analytic evidence for decreased heart rate variability in chronic pain implicating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dysregulation. Pain 157(1), 7-29. DOI: 10.1097/j.pain.0000000000000360 

  13. A. Friedman et al. (2017). Chronic stress alters striosome-circuit dynamics, leading to aberrant decision-making. Cell 171(5), 1191-1205.e28. DOI: 10.1016/j.cell.2017.10.017 

  14. D. G. Behm, K. M. Baker, R. Kelland & J. Lomond. (2001). The effect of muscle damage on strength and fatigue deficits. J Strength Cond Res 15(2), 255-263. DOI: 10.1519/00124278-200105000-00016 

  15. J. H. Lee, B. C. Yoon, M. J. Jeon, K. H. Jung & M. H. Lee. (2005). The effects of low frequency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dtimulation o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and muscle strength. Journal of KSSPT, 1(1), 31-37. 

  16. Y. S. Lee, S. H. Bae, J. A. Hwang & K. Y. Kim. (2015). The effects of kinesio taping on architecture, strength and pain of muscles i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of biceps brachii. J Phys Ther Sci 27(2), 457-459. DOI: 10.1589/jpts.27.457 

  17. S. H. Bae, Y. S. Lee, G. D. Kim & K. Y. Kim. (2014). The Effects of Kinesio-taping Applied to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on Changes in 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6(3), 133-142. 

  18. M. Yilmaz, H. Kayancicek & Y. Cekici. (2018). Heart rate variability: Highlights from hidden signals. J Integr Cardiol 4(5). DOI: 10.15761/JIC.1000258 

  19. D. M. Hallman & E. Lyskov. (2012). Autonomic Regulation in Musculoskeletal Pain. In: Pain in Perspective. IntechOpen. 35-62. DOI: 10.5772/51086 

  20. C. Stein, P. Dal Lago, J. B. Ferreira, K. R. Casali, R & D. M. Plentz. (2011).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t different frequencies on heart rate variability in healthy subjects. Autonomic Neuroscience 165(2), 205-208. DOI: 10.1016/j.autneu.2011.07.003 

  21. L. K. McCorry. (2007). Physiology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m J Pharm Educ 71(4), 78. DOI: 10.5688/aj710478 

  22. T. Harmony et al. (1996) EEG delta activity: an indicator of attention to internal processing during performance of mental task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24(1), 161-171. DOI: 10.1016/S0167-8760(96)00053-0 

  23. M. Ploner, J. Gross, L. Timmermann, B. Pollok & A. Schnitzler. (2006). Pain suppresses spontaneous brain rhythms. Cereb Cortex 16(4), 537-540. DOI: 10.1093/cercor/bhj001 

  24. N. Saithong, W. Poolpoem, P. Panavaranan, J. Saetang & Y. Wongsawat. (2012). EEG-Based Acute Pain Control System. In: Computer Aided Surgery. Tokyo : Springer. 101-112. DOI: 10.1007/978-4-431-54094-6_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