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취업 여성의 미혼 성인자녀 돌봄 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부부의사소통과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Burden of Caring Unmarried Adult Children on Depression of Employed Women: Mediating Effects of Couple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6, 2018년, pp.293 - 303  

조옥선 (한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행정학과) ,  백진아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 여성의 미혼 성인자녀 돌봄 부담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부부의사소통 및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KLoWF) 4차년도 자료를 기준으로 미혼 성인자녀와 베이비부머 남편을 둔 취업 기혼여성 586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구조방정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취업 여성의 미혼 성인자녀 돌봄에 대한 부담감은 우울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부의사소통과 일 만족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의사소통은 취업 기혼여성의 우울감에 부(-)적인 영향을 주고, 미혼 성인자녀 돌봄 부담감과 우울감 사이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 기혼여성의 일 만족도는 우울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미혼 성인자녀 돌봄 부담감과 우울감 사이에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취업 여성의 우울감을 낮추고, 부부의사소통과 일 만족도를 고취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burden of caring unmarried adult children on depression of employed wome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ouple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the data from the fourth year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돌봄 부담감과 우울 사이에 부부의사소통과 일 만족도의 매개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지만 이들 관계에 초점을 맞춘 연구도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보완하고, 최근 성년 자녀들의 부모 의존도가 증가하는 사회적 현상에 주목하여 취업 기혼여성의 미혼 성인자녀 돌봄 부담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부부의사소통과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미혼 성인자녀의 돌봄 부담감이 중년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중요성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촉구하고, 성인자녀 돌봄 부담감이 취업여성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이 있어 부부의사소통과 일 만족도의 보호요인을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가족·직장요인에서 입증했다는 점에서의의를 갖는다.
  • 특히 최근 급증하는 손자녀나 미혼 성년자녀에 대한 (조)부모의 돌봄 부담은 이전에 돌봄의 대상자였던 부모의 역할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정체성 혼란과도 이어져 가족연구의 새로운 주제로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35]. 본 연구는 그동안 관련 선행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만 20세 이상에서 만 40세 미만의 미혼 성인자녀를 둔 취업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자녀 돌봄 부담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만 20세 이상 40세 미만의 미혼 성인자녀는 발달단계 과업수행으로 부모로부터 독립과 취업 및 결혼을 하여 새로운 가족을 만들어가는 시기이다.
  • 본 연구는 취업 기혼여성의 미혼 성인자녀 돌봄 부담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미혼 성인자녀 돌봄 부담감과 우울감 간의 관계에서 일 만족도와 부부 의사소통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제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 패널조사는 전국 규모의 만 19세 이상 만 64세 이하 여성가구원을 표본으로 가구용, 일자리용, 여성개인용의 설문지로 분류되어 있다. 특별히 본 연구는 청년실업의 증가와 베이비부머 세대의 조기퇴직으로 인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이 늘어나는 현상과 이에 따라 가정경제를 담당하는 취업 여성의 정신건강상태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여성가족패널 4년도의 자료를 기준으로 베이비부머 남편을 둔 취업 기혼여성이면서 만 20세 이상 40세 미만의 미혼인 성인자녀를 두고 있는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본 연구목적에 적합한 연구대상자는 총 586명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혼여성의 우울감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기혼여성의 우울감은 미혼 여성이나 남성, 혹은 기혼남성보다 훨씬 취약한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자신뿐만 아니라 자녀와 배우자 등의 정신건강에도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5]. 따라서 기혼여성의 우울은 단순히 여성 자신의 개인적인 고통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가족 전체의 안녕과 가족 구성원간의 관계 혹은 자녀의 성장과 발달과정에도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중년층의 심리사회적 적응문제가 노인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전체적인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부모의존형 가족이란 무엇인가? 부모의존형 가족이란 자립할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부모 집에서 거주하며 구직이나 취직을 하지 않고, 대부분의 생활을 부모에게 의존하는 미혼 성인자녀를 둔 가정을 의미한다[7]. 또한 취직을 하였지만 부모에게 경제적인 부분을 의존하며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부모의존형 가족에서 모(어머니)의 감정적인 불안정을 초래하는 이유는? 부모로부터 독립하지 못한 미혼의 성인자녀에 대한 돌봄 부담감은 중년 이후 자녀양육의 부담감에서 해방되어 보다 여유로운 노후생활을 기대하는 여성들에게 "원치 않지만, 그러나 피할 수 없는" 책임감을 가중시킨다. 부모에게 정서적인 부분과 기본적인 의식주를 의존하는 미혼 성인자녀에게 부모의 돌봄이 제공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생활습관 문제 등의 돌봄 부담감은 결과적으로 특정시기에 국한됐던 여성의 돌봄 책임을 확대시켜 감정적인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미혼 성인자녀를 돌보는 취업 기혼여성의 우울감은 사회문화적으로 주어지는 젠더 역할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12). http://www.mohw.go.kr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2014). http://www.hira.or.kr 

  3. J. Y. Lee & M. K. Jang. (2008).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Parenting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Rol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Married Wome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9(2), 339-352. 

  4. S. I. Kang & H. J. Jeon. (2013). Influence Factors of Married Women's Depression Change - Focused on Householder and Poverty, Health and Social Science 33, 161-188. 

  5. C. D. Gjesfjeld, C. G. Greeno & K. H. Kim. (2010). Econo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Maternal Depression: Is Social Support Deterioration Occurring?, Social Work Research, 34(3), 135-143. 

  6. J. S. Lee & W. S. Choi. (2011). A Study on Path of Depression of Married Working Wom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2(4), 389-412. 

  7. Y. B. Lee, S. J. Kim, Y. W. Lee & H. J. Choi. (2011). The Influence of Self Differentiation and Coresidence with Unmarried Adult-Child on Parent's Mental Health,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9(2), 137-168. 

  8. I. S. Cho, S. H. Ahn, S. Y. Kim, Y. S. Park, H. W. Kim, S. O. Lee, S. H. Lee & C. W. Chung. (2012). Depression of Married and Employed Women Based on Social-Role The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4), 496-507. 

  9. J. Y. Kim, S. C. Cjhoi, B. R. Choi & H, Y, Kim. (2009). The Impact Married Worker's Job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on Depress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7(10), 51-61. 

  10. E. Lahelma, S. Arber, K. Kivela & E. Roos. (2002). Multiple Roles and Health Among British and Finnish Women: Theinfluence of Socioeconomic Circumstance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4(2), 727-740. 

  11. K. H. Edward. (1980). Understanding, Communication and Cognitive Homeostasis. Doctor of Philosophy, University of Washington. 

  12. E. Chjung. (2004). A Study on Couple Communication of the Married Women in the City Family and Family Therapy 12(2): 173-199. 

  13. E. J. Jung & M. S. Lee.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iculty of Nurturing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f Parents with Infants: The Mediating Effect of Couple Communica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8(4), 485-510. 

  14. O. H. Jo.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Conflicts, Coping Behavior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rking Wives. 

  15. K. A. Park & H. S. Jeong. (2011). The Effect of Marital Intimacy and Communicat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Immigrant Wome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9(2), 59-84. 

  16. S. J. Kim & S. Y. Kim.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Marital Intimacy, Depression, and Menopausal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9(3), 176-187. 

  17. G. W. Cordner & K. E. Scarborough. (2010). Connecting Police Intelligence with Military and National Untelligence, In K. Logan (ed). Homeland Security and Untelligence. New York, NY: Praeger/ABC-CLIO, pp. 174-210. 

  18. S. Y. Choi. (2000).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 Family Conflict of Married Working Women. 

  19. S. C. Choi, J. M. Woo, Y. M. Yoon, S. A. Kim & W. S. Park. (2006). Gender Differences in Work-Family Conflicts on Job Satisfaction: Development of Family-Friendly Corporate Welfare Systems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7, 143-171. 

  20. G. H. Han & S. E. Choi. (2013). Korean Female Baby Boomer's Work Life and the Marital Quality: A Focus on the Retirement Process and the Job Classification, Family and Culture 25(1), 1-38. 

  21. S. A. Kim, K. A. Nam & H. I. Cheong. (2006) Original Articles : Depression in Married Employ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2), 179-186. 

  22. L. T. Thomas & D. C. Ganster, (1995).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1), 6-15. 

  23. L. G. Reynolds & J. Shister. (1949). Job Horizons: A Study of Job Satisfaction and Labor Mobility. New York: Harper and Brother. 

  24. J. S. Greenberg, M. M. Seltzer & J. R. Greenly. (1993). Aging Parents of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Gratification and Frustrations of Later-Life Caregiving, The Gerontologist, 33(4), 542-550. 

  25. E. A. Lock.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pp. 1297-1343). Chicago: Rand McNally. 

  26. R. M. Steers & L. W. Porter. (1975).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NY, Mcgraw Hill, 234. 

  27. J. F. Woo. (2013).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Hannarae Publishing Co. 

  28. J. Y. Chang & H. S. Kim. (2003).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Job Attitudes, The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9(1), 23-42. 

  29. E. H. Seo & M. S. Lee. (2011).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Workplace Child-Care on the Parenting Stress,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Parent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7(1), 41-65. 

  30. M. R. Kim.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wives Life Stress and Depression Tendency: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Korea Journal of Counseling, 7(3), 669-682. 

  31. D. M. Kim. (2014).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ife Event Stress, Self-Esteem,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 Comparison of Working Women and Full Time Housewives, Korean Education Inquiry, 32(2), 113-131. 

  32. J. B. Cho.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Economic Stressor on Ways of Dealing with Problems among Married Couples -Focusing o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Source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7, 153-174. 

  33. T. S. Um & H. S. Kim. (2013). Impacts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Depression among Local Public Servants,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34, 135-158. 

  34. S. Y. Kim, S. J. Chang, H. R. Kim & J. H. Roh.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Industrial Service Employee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3), 227-235. 

  35. J. Paik. (2013). Experiences of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The Familial Response to the Absence of Care Work in Family, Discourse 201, 16(3), 67-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