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부갈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 관계에서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of Marital Conflict an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6, 2018년, pp.343 - 351  

김규랑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이형실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부갈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 관계에서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만 4, 5세의 유아 177명과 그 어머니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부부갈등 및 어머니의 우울은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어머니의 부부갈등과 유아의 과잉행동, 불안행동, 공격행동 간에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어머니 우울과 유아의 과잉행동, 불안행동, 공격행동 간에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부부갈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부갈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 관계에서 어머니의 우울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부갈등은 유아의 과잉행동, 불안행동, 공격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어머니의 우울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s of marital conflict an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Data was collected from 177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부부갈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 관계에서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방, 개입하는데 필요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부부갈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 관계에서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방, 개입하는데 필요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에 비해 부모의 부부갈등과 자녀의 발달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어머니의 우울이 갖는 매개효과를 다룬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러한 점에서 어머니의 우울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므로, 본 연구는 부부갈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 관련성에서 어머니의 우울이 갖는 매개효과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유아 문제행동의 하위요인별로 부부갈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 관계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요구된다.
  • 첫째,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우울 및 유아의 문제행동 간에 관련성이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부갈등이란 무엇인가? 부부갈등은 부부간의 불일치나 대립을 조정하기 위한 갈등적 상황에서 대화를 통해 합리적 해결책을 모색하는 경우나 말다툼과 같은 직접 혹은 간접적인 언어 공격, 간접적인 신체공격 및 위협 등으로 정의한다. 부부갈등을 측정하기 위해 CPIC(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를 서찬란이 수정한 것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32].
높은 수준의 부부갈등이 유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더욱이 부부갈등은 가족 내 긴장감과 혼란을 일으키고, 파괴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가족 분위기를 조성하기 때문에 유아는 두려움 속에서 불안과 무기력을 느끼게 된다[7]. 높은 수준의 부부갈등을 경험하는 유아의 경우 스트레스 정도 수준이 높고, 자아조절능력 및 자아존중감이 낮으며, 불안수준과 우울정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9]. 부부갈등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유아는 정서적 불안과 문제행동을 나타내며, 이혼과 별거의 가정보다 공격성, 과잉행동, 불안, 우울과 같은 발달과정 상의 문제행동을 더 많이 나타낸다[10].
어머니의 우울성향이 유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특히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인 우울을 중시하는 이유는 어머니의 우울은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녀에게 직·간접적 형태로 반영되어 자녀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15]. 유아와 같은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우울은 유아의 불안, 위축 같은 내재화 문제행동와 더불어 공격성 같은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극대화시킨다[16]. 우울한 어머니가 양육하는 자녀는 주의력결핍과 공격성 문제, 불안이나 우울과 같은 내재화문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제행동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 N. Choi & N. N. Shin. (2015).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day-care experiences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11(2), 283-310. 

  2. K. A. Fanti & C. C. Henrich. (2010). Trajectories of pure and co-occurring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from age 2 to age 12: Findings from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Developmental Psychology, 46, 1159-1175. 

  3. J. Y. Kim, H. S. Doh & M. J. Kim. (2008). Problem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The influence of marital conflict and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5), 133-150. 

  4. H. M. Yoon & M. J. Choi. (2006). Effects of mothers' depression and marital conflict on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child neglect.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47, 21-44. 

  5. Y. A. Jang & Y. J. Lee. (2012). Effects of maternal behaviors, parenting stresses, and marital conflicts on children's aggression. Family and Family Therapy, 20(3), 357-373. 

  6. S. M. Kim & Y. H. Kim. (2015). Effects of mother's marital relationship, depression, somatic symptoms, and sleep quality on children's sleep and behavioral problem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19(3), 219-243. 

  7. J. H. Noh & H. J. Song. (2008). Influence of disagreement in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on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in children. Psychotherapy, 7(2), 75-89. 

  8. H. N. Song.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daily stresses, degree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7(3), 1-15. 

  9. H. M. Lee. (2015). The effect of maternal conflict, mother's self-efficacy and social parenting style on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Cognitive Development Intervention, 6(2), 119-136. 

  10. J. H. Block, J. Block, & P. F. Gjerde. (1986). The personality of children prior to divorce: A prospective study. Child Development, 57, 827-840. 

  11. M. J. Kim & H. S. Doh. (2001). The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s, marital conflict, and sibling relations on aggression in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2(2), 149-166. 

  12. E. M. Cummings & P. T. Davies. (2010).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 An emotional perspective. New York, N. Y: Guilford Press. 

  13. J. S. Lee. (2010).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behavior and preschooler's emotionally unstable behavior: Relationship to husband-wife relationship.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4(3), 37-56. 

  14. B. K. Barber. (1993). Effects of family, marital and parent-child conflict on adolescents self-derogation and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 964-974. 

  15. E. M. Cummings & P. T. Davies. (1994).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adjustment: An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 387-411 

  16. G. Downey & J. C. Coyne. (1990). Children of depressed parents: An integr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08, 50-76. 

  17. W. R. Beardslee, J. Bemporad, M. B. Keller, & G. L. Klerman. (1983). Children of parents with major affective disorder: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0, 825-832. 

  18. K. Lyons-Ruth, M. A. Easterbrooks & C. D. Cibelli. (1997). Infant attachment strategies, infant mental lag,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Predictor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at age 7. Developmental Psychology, 33(4), 681-692. 

  19. C. McCullough, & A. Shaffer. (2014).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child externalizing problems: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ly maltreating parenting behavior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3, 389-398. 

  20. J. H. Baik. (2009).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 behavior problems of depressed and non-depressed mothers: Comparisons between mother's perception and child's percep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21. G. H. Yoo & Y. E. Yoon. (2002).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29, 149-171. 

  22. S. N. Choi & Y. K. Moon. (2016). The influences of child daily stress and parental discipline style,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gender.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97, 125-156. 

  23. M. A. Whisman. (2000).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dissatisfaction. In S. R. H. Beach(Ed.), Marital and family processes in depression : A scientific foundation for clinical practice (pp.3-24).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4. F. D. Fincham, S. R. H. Beach, G. T. Harold & L. N. Osborne. (1997).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Different causal relationships for men and women. Psychological Science, 8, 351-357. 

  25. G. H. Hong & Y. O. Seo. (2012).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anger: Moderating effects of gratitude. Humanities, 29, 157-158. 

  26. A. M. Connell & S. H. Goodman. (2002).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pathology in fathers versus mothers and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 meta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28, 746-773. 

  27. H. S. Doh, M. J. Kim, M. K. Choi, S. W. Kim, & S. J. Cho. (2012).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nd mothers' anger and depression on the behavioral problems of preschool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3(2), 145-164. 

  28. E. M. Yeon, H. O. Yoon, & H. S. Choi. (2015).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the emotional temperament of infant, father's parenting engagemen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35(3), 1-29. 

  29. L. M. Papp, E. M. Cummings & A. C. Schermerhorn. (2004). Pathways among marital distress, parental symptomatology, and child 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2), 368-384. 

  30. J. H. Lim & J. J. Yoon. (2010). A review of interparental conflict in relation to child developmental outcomes in Korean journal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7(1), 263-284. 

  31. M. H. Han & A. J. Ryu. (1995). The validat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6(2), 5-21. 

  32. C. R. Seo. (2006). The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18(2), 151-162. 

  33. L. S. Radloff.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34.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35. S. W. Seo & D. K. Lee. (2013).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couple conflict and infants' emotional temperament on mother's parenting stres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3(5), 279-298. 

  36. Y. H. Kim & R. S. Jang. (2004). Parents' perfectionism,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maladjustment. The Journal of Play Therapy, 8(1), 117-1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