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접흡연자의 요코티닌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에 관한 융합연구
The Urine Cotinine level and Periodontal Disease among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on Convergence stud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2, 2018년, pp.295 - 299  

김송숙 (수원과학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30세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간접흡연노출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2014년,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5,146명을 최종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치주질환은 지역사회 치주지수로 파악하였다.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결과 성별, 연령, 교육수준, 그리고 수입을 보정한 경우에서 요코티닌 수준이 50ng/mL미만에 비해 550ng/mL이상인 경우에서 치주질환 위험이 2.08배(95% CI=1.73-2.50) 높게 나타났다. 요코티닌 수준과 치주질환 위험 증가에 대한 용량-반응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간접흡연자에서 요코티닌 수준이 증가할수록 치주질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간접흡연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흡연자의 자발적인 금연참여를 권장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level urine cotinine and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 adults. The date from the 2014, 201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used, and 5,146 subjects over 30 year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Periodontal disease was...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비흡연자에서 간접흡연 노출로 인한 요코티닌 농도를 측정하여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간접흡연에 대한 객관적인 바이오마커로 요코티닌 수준을 이용하여 비흡연자에서의 간접흡연 노출로 인한 치주질환 영향을 파악하였다. 간접흡연과 흡연 모두 담배연기를 생성하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메커니즘을 통해 치주질환에 영향을 줄 수 있다[8].
  • 이러한 자가보고에 의한 자료만으로 간접흡연에 대한 노출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간접흡연에 대한 완전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비차별적으로 작용하여 간접흡연과 치주질환 간의 관련성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요코티닌 농도를 측정하여 간접흡연노출을 측정하는데 객관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장점은 우리나라 인구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였다는 점이며, 요의 요코티닌 농도에 대한 임상검사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타당한 근거를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주질환은 무엇인가? 치주질환은 치태 내의 세균 단독으로 또는 유전적 요인들로 인해 우선적으로 야기되는 만성질환이며, 그 외 위험요인으로는 당뇨, 비만, 그리고 흡연 등이 있다[1-3] 이중 흡연은 치주질환과 용량-반응에 대한 연관성이 있으며, 치주질환 위험에 20% 정도 기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4]. 또한 흡연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염증, 면역, 세포분화 그리고 치유에 관여하는 세포에 영향을 준다.
치주질환의 위험요인은 무엇인가? 치주질환은 치태 내의 세균 단독으로 또는 유전적 요인들로 인해 우선적으로 야기되는 만성질환이며, 그 외 위험요인으로는 당뇨, 비만, 그리고 흡연 등이 있다[1-3] 이중 흡연은 치주질환과 용량-반응에 대한 연관성이 있으며, 치주질환 위험에 20% 정도 기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4]. 또한 흡연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염증, 면역, 세포분화 그리고 치유에 관여하는 세포에 영향을 준다.
간접흡연에 대한 노출 정보는 자가보고로 파악하는데 문제점은 무엇인가? 간접흡연에 대한 노출 정보는 일반적으로 자가보고에 의해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자가보고에 의해서만 노출을 평가하는 것이 신뢰하기 어려울 수 있다[10]. 선행연구에서는 thiocyanate, nicotine, cotinine, 및 carbon monoxide 등의 생화학적 마커를 사용하여 간접흡연 노출을 평가하였다[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 Schulze, M. Busse. (2016). Gender differences in periodontal status and oral hygiene of non-diabetic and type 2 diabetic patients. The open dentistry journal, 10, 287-297. DOI : 10.2174/1874210601610010287 

  2. J. H. Kim. (2018).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Peiodontal Diasease on Convergence Stud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cociety, 9(8), 71-76. DOI : 10.15207/JKCS.2018.9.8.071 

  3. J. H. Kim. (2016).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status and eriodontal disease in adults: results from the 2012 Korea 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40(2), 133-139. DOI : 10.11149/jkaoh.2016.40.2.133 

  4. A. E. Sanders, G. D. Slade, J. D. Beck,, H. Agustsdottir. (2011). Secondhand smoke and periodontal diseas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1(S1), S339-S346. DOI : 10.2174/1874210601610010287 

  5. G, B. Rheu, S. Ji, J. J. Ryu, J. B. Lee, C. Shin, J. Y. Lee. (2011). Risk assessment for clinical attachment loss of periodontal tissue in Korean adults.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3(1), 25-32. DOI : 10.4047/jap.2011.3.1.25 

  6.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6). The health consequences of involuntary exposure to tobacco smok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 USA Publishing. 

  7. S. A. Glantz, W. W. Parmley. (1991). Passive smoking and heart disease. Epidemiology, physiology, and biochemistry. Circulation, 83(1), 1-12. 

  8. S. J. Arbes, H. Agustsdottir, G. D. Slade. (2001).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periodontal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1(2), 253-257. DOI : 10.2105/AJPH.91.2.253 

  9. Y. Numabe, T. Ogawa, H. Kamoi, K. Kiyonobu, S. Sato, K. Kamoil. (1998). Phagocytic function of salivary PMN after smoking or secondary smoking. Annals of periodontology, 3(1), 102-107. DOI : 10.1902/annals.1998.3.1.102 

  10. Y. Gonzalez, A. De Nardin, S. Grossi, E. Machtei, R. Genco, E. De Nardin. (1996). Serum cotinine levels, smoking, and periodontal attachment loss. Journal of dental research, 75(2), 796-802. DOI : 10.1177/00220345960750021001 

  11. M. J. Jarvis, H. Tunstall-Pedoe, C. Feyerabend, C. Vesey, Y. Saloojee. (1987). Comparison of tests used to distinguish smokers from nonsmoker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77(11), 1435-1438. DOI : 10.2105/AJPH.77.11.1435 

  12. D. L. Patrick, A. Cheadle, D. C. Thompson, P. Diehr, T. Koepsell, S. Kinne. (1994). The validity of self-reported smoking: a review and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4(7), 1086-1093. DOI : 10.2105/AJPH.84.7.1086 

  13. N. L. Benowitz. (1996). Cotinine as a biomarker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Epidemiologic reviews, 18(2), 188-204. 

  14. Y. Yamamoto, N. Nishida, M. Tanaka, N. Hayashi, R. Matsuse, K. Nakayama, (2005). Association between passive and active smoking evaluated by salivary cotinine and periodontitis.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32(10), 1041-1046. DOI : 10.1111/j.1600-051X.2005.00819.x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5). Oral Health Surveys: Basic Methods.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et], [cited 2018 April 10],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97035/9789241548649_eng.pdf;jsessionidA315AD83D978E38F13B7F95ECF034049?sequence1.pdf. 

  16. W. Zielinska-Danch, W. Wardas, A. Sobczak, I. Szoltysek-Boldys. (2007). Estimation of urinary cotinine cut-off points distinguishing non-smokers, passive and active smokers. Biomarkers, 12(5), 484-496. DOI : 10.1080/13547500701421341 

  17. E. O. Erdemir, I. S. Sonmez, A. A. Oba, J. Bergstrom, O. Caglayan. (2010). Periodontal health in children exposed to passive smoking.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37(2), 160-164. DOI : 10.1111/j.1600-051X.2009.01510.x 

  18. K. Tanaka, Y. Miyake, T. Hanioka, M. Arakawa. (2013). Active and passive smoking and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in young Japanese women. Journal of periodontal research, 48(5), 600-605. DOI : 10.1111/jre.12044 

  19. G. E. Salvi, H. P. Lawrence, S. Offenbacher, J. D. Beck. (1997). Influence of risk factors on the pathogenesis of periodontitis. Periodontology 2000, 14(1), 173-201. DOI : 10.1111/j.1600-0757.1997.tb00197.x 

  20. C. I. Vardavas, D. B. Panagiotakos. (2009).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smoking and inflammation on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a review of the evidence. Inflammation & Allergy-Drug Targets, 8(5), 328-333. DOI : 10.2174/18715280979003124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