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적용에 관한 융합연구의 효과
The Effects of the Convergence Study about Smart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1, 2018년, pp.519 - 527  

기은정 (서영대학교 간호학과) ,  서동희 (서영대학교 간호학과) ,  정순아 (서영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교육에서 교수학습전략으로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후 간호대학생의 학습자 참여,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제가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간호교육에 스마트러닝을 도입하기 위한 융합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 유사실험연구로 G시 소재 일 대학교의 간호학과 학생을 편의 표집하여 2018년 3월 2일부터 6월 8일까지 실험군 86명, 대조군 9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실험군과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의 학습자 참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를 비교한 결과 학습자 참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t=1.065, p=.288), 학업적 자기 효능감(t=2.668, p=.008)과 과제가치(t=2.070, p=.04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스마트러닝은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호교육에 스마트러닝이 교수학습전략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convergenc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 learning on learner's particip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task value in nursing education. The study was design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synchronized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86 exp...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교육의 스마트러닝 효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이러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부분에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되지만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엔 미흡하므로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인간호학 교과목 수업에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후 학습자 참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교육에 스마트러닝 교수학습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성인간호학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자 참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과제가치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성인간호학 교과목 수업에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후 학습자 참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교육에 스마트러닝을 적용하고 간호대학생의 학습자 참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과제가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는 간호교육에 스마트러닝 교수학습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성인간호학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자 참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과제가치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3.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실험군은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 보다 과제가치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1.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실험군은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 보다 학습자 참여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실험군은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 보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 1 가설 :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실험군은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 보다 학습자 참여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 2 가설 :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실험군은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 보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인간호학의 한계는? 한편, 간호교육도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스마트 기기와 인터넷 활용에 친숙한 수요자인 간호대학생의 특성에 맞춰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성인간호학은 인간의 신체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종합적인 간호지식을 배우는 과목으로 복잡한 인간의 신체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데 강의자의 언어로만 전달하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간호대학생이 성인간호학 수업에서 배우고 습득해야 할 학습내용이 많고 반복하여 익혀야 할 간호절차와 술기내용이 많아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고 시간 장소 기기의 제약 없이 반복학습이 가능하며[1,4-5] 다양한 매체에 의한 시청각적 자료와 현장감 있는 동영상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학습법이 필요하다.
스마트러닝이란? 스마트러닝이란 모바일의 속성인 “언제, 어디서나” 라는 유비쿼터스 개념에 교육부에서 제시한 SMART(Self-directed, Motivating, Adaptive, Resource-Free, Technologyembedded)의 개념을 최대한 반영한 새로운 이러닝 교육을 뜻한다[3]. 스마트러닝의 특징은 첫째, 자기주도적인학습을 지향하고, 둘째, 체험을 통한 지식 재구성으로 동기를 부여하며, 셋째, 필요와 적성, 미래의 직업과 맞는 유연성 있는 교육체제를 지향한다.
스마트러닝이 간호교육 학습법에 필요한 대안인 이유? 특히 성인간호학은 인간의 신체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종합적인 간호지식을 배우는 과목으로 복잡한 인간의 신체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데 강의자의 언어로만 전달하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간호대학생이 성인간호학 수업에서 배우고 습득해야 할 학습내용이 많고 반복하여 익혀야 할 간호절차와 술기내용이 많아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고 시간 장소 기기의 제약 없이 반복학습이 가능하며[1,4-5] 다양한 매체에 의한 시청각적 자료와 현장감 있는 동영상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학습법이 필요하다. 이에 스마트러닝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MEST) (2011). The way to a great talent: smart education promotion strategy (Plan). Seoul :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E1018854 

  2. J. G. Shim, Y. M. Kim & S. J. Park. (2016). Study on the effect of smart learning applied at a radiationtherapy subject on self directed learning, self learning efficacy, learning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9(4), 661-667. DOI : http://dx.doi.org/10.17946/JRST.2016.39.4.24 

  3. H. Y. Kim & C. W. Lim. (2013). Smart learning curriculum for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 a case study of "SMART Teacher Lab".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0(3), 197-220. 

  4. Y. Kim & J. G. Shon. (2011). A study on design of K-12 e-learning system for utilization smartphone. Korean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2(4), 135-143. 

  5. M. Y. Kim & Y. W. Bae. (2012). Development of a smart education model for field application of smart education. Korean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3(5), 77-92. DOI : http://dx.doi.org/10.7472/jksii.2012.13.5.77 

  6. M. J. Cha et al. (2010). A development of learner participation scale in instruc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2, 195-219. 

  7. George. T. P. & DiCristofaro. C. (2016). Use of smartphones with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5(7), 411-415. https://doi.org/10.3928/01484834-20160615-11. 

  8. A. Y. Kim & I. Y. Park. (2001).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1), 95-123. 

  9.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10. Honebein, Duffy & Fishman, 1993). Constructivism and the Design of Learning Environments : Context and Authentic Activities for Learning. 

  11. Eccles, J. & Wigfield, A. (1985). Teacher expectations and student motivation. Journal of Teacher expectancies, 185-226. 

  12. J. W. You & Y. H. Song. (2013). Probing the interaction effects of task valu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learning engagement and persistence in an e-learning course. Korea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3, 91-112. 

  13. Phillippi. J. C. & Wyatt. T. H. (2011). "Smartphones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29(8), 449-454. DOI :10.1097/NCN.0b013e3181fc411f. 

  14. Franko. O. I. (2011). Smartphone apps for orthopaedic surgeons. Clin Orthop Relat Res, 469, 2042-2048. 10.1007/s11999-011-1904-0. 

  15. Franko. O. I. & Tirrell. T. F. (2011). Smartphone app use among medical providers in ACGME training programs. Journal of Medical Systems Online. http://www.springerlink.com/content/p6t82ph541835u75. 

  16. Y. J. Kim, J. Y. Cho & B. G. Lee.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smart learning for public education. Korean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6(6), 123-131. DOI : http://dx.doi.org/10.7472/jksii.2015.16.6.123 

  17. K. Lim. (2011). Research on develop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enhancing smart learnin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4(2), 33-45. http://libproxy.jnu.ac.kr/90a6552/_Lib_Proxy_Url/www.riss.kr/link?idA82564603 

  18. B. W. Kim(2016). A study on convergence of mobile learning UX platform service for englisf learning. Journal of thr Korea Convergence Society, 7(5), 155-160. DOI:http://dx.doi. org/10.15207/JKCS.2016.7.5.155. 

  19. J. H Leem & S. H. Kim. (2013). Effects of individual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social efficacy in smart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9(1), 1-24. DOI : http://dx.doi.org/10.15833/KAFEIAM.20.3.327 

  20. S. K. Lee & M. H. Kwon. (2014). A study on the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 smart education and its improvement plan.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4(2), 258-294. DOI : 10.14696/jcs.2014.06.14.2.258 

  21. J. H. Seo, J. P. Jeong & E. J. Choi. (2016). The effects of smart learning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pediatric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 Contents Society, 16(11), 784-795. DOI : http://dx.doi.org/10.5392/JKCA.2016.16.11.784 

  22. M. H. Yan. (2000).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model.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3. M. Kang, B. Heo & H. Lim. (2012). Identifying a mediating effect of task value between task authenticity and learning outcomes in web-based project learning.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3(4), 33-55. 

  24. N. H. Lee & H. R. Jung. (2018). The effects of the flipped learning sensory integration therapy class using online learning platform on learning participation. Journal of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2(4), 247-256. DOI : https://doi.org/10.21184/jkeia.2018.6.12.4.247 

  25. S. R. Kim, E. K. Moon & I. W. Park. (2015).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e-learning readiness,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effects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1(4), 687-710. DOI : http://dx.doi.org/10.15833/KAFEIAM.21.4.687 

  26. Y. R. Park. (2007). Knowledge, attitude and self-confidence of student nurses regarding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4), 429-436. 

  27. S. Du et al. (2013). Web­based distance learning for nurs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60(2), 167-177. DOI : 10.1111/inr.12015. 

  28. E. A. Cho. (2015). Analysis on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ask value, e-Learning quality, approaches to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yber course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9. Pintrich, P., & Schunk, D. (2002). Motivation in education.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 Hall. 

  30. Y. J. Joo, N. Y. Kim, W. J. Shim & J. Y. Kim. (2008). Test development and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measuring motivation in e-learning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9(4), 1-16. 

  31. Bong, M. (2001). Role of self-efficacy and task-value in predicting college students' course performance and future enrollment intentions. Journal of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6(4), 553-570. 

  32. Chiu, C. M., Sun, S. Y., Sun, P.-C., & Ju, T. L. (2007).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antecedents of web-based learning continuance. Korean Journal of Computers & education, 49(4), 1224-1245. 

  33. Y. J. Joo, N. Y. Kim & H. K. Cho. (2008).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online task valu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cyber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4(3), 115-135. 

  34. A. R. Artino(2008). Motivational beliefs and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quality: predicting 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4(3), 260-270. DOI : 10.1111/j.1365-2729.2007.00258.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