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다목적댐의 적정 예비율 산정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optimal reserves for multi-purpose reservoirs considering climate chang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11 suppl., 2018년, pp.1127 - 1134  

채희찬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지정원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이재응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의 5차 평가보고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기후변화로 인해 이상기후 현상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홍수, 가뭄 등 수자원과 관련된 재해의 발생빈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 중 가뭄은 용수공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재해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가뭄피해 사례를 보면 가뭄의 강도와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한 수자원 확보 기술이 필요한 시점이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는 수자원에도 예비율 개념의 대책 도입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현재 국내 대부분의 다목적댐들은 평상시 용수공급에 이용되는 이수용량 외에 비상시 활용 가능한 비상용량을 확보하고 있지만 명확한 활용 기준이 없어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 비상용량을 예비량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AR5 기반 수문시나리오를 저수지 모의운영 모형의 유입량 자료로 이용하였다. 비상용량과 용수공급 조정기준의 활용 조건에 따라 저수지 모의 운영을 실시하였고 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다목적댐별 적정 예비율을 산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climate change increases the frequency of abnormal weather phenomenon. As the frequency of abnormal weather phenomenon increases, frequency of disasters related to water resources such as floods and dro...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상용량을 예비량으로 활용한다면 안정적인 용수공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비상용량을 활용하기 위한 법적 제도 및 활용 기준이 미비하여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 다목적댐의 비상용량을 예비량으로 활용하는 용수공급 예비율 개념을 도입하고, 낙동강 유역의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저수지 모의운영을 실시하였다. 또한 저수지 모의운영 결과로부터 적정 예비율을 산정하여 예비율 확보에 따른 용수공급능력의 향상 정도를 분석하였다.
  • 6개의 다목적댐 중 안동댐과 임하댐은 안동-임하 연결도수로를 통해 양 댐을 연결하여 하나의 댐처럼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안동댐과 임하댐의 저수량을 통합하여 저수지 모의운영을 실시하였다. 안동-임하댐과 합천댐, 밀양댐, 군위댐, 김천부항댐 등 총 5개의 저수지 모의운영 모형의 운영 및 평가의 단위는 일(Day)로 설정하고 모의운영 기간은 2011년부터 2100년까지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뭄으로 인해 다목적댐의 이수용량만으로는 정상적인 용수공급이 불가능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다목적댐의 비상용량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저수지 모의운영 모형인 HEC-ResSim을 이용하여 낙동강수계의 안동-임하댐, 합천댐, 밀양댐, 군위댐, 김천부항댐을 대상으로 저수지 모의운영을 실시하였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극치가뭄 시나리오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RCP 4.
  •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우리나라는 비상용량을 활용하기 위한 법적 제도나 활용 기준이 미비하여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시행중인 용수공급 조정기준과 다목적댐의 비상용량을 연계한 운영방법을 제시하였다. 실제로 낙동강유역에서 가뭄이 매우 심했던 94∼95년, 08∼09년 등 과거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산정한 예비율이 적절한지 검증한다면 신뢰도 높은 가뭄대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AR5 기반 수문시나리오 자료를 유입량 자료로 이용하였으며 용수공급 조정기준의 단계별 감축량을 비상용량과 연계하여 설정하여 더욱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 유역으로 선정하여 적정 예비율을 평가하였다. 낙동강 유역은 최근 30년간 연평균 강수량이 1,215.

가설 설정

  • 5 CMCC-CMS 시나리오의 용수공급 부족량이 다른 시나리오에 비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낙동강 유역의 다른 다목적댐에서도 동일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유입량의 수준이 가장 작게 나타나는 RCP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활용용량은 무엇인가? 다목적댐의 총저수용량은 크게 활용용량과 비활용용량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각각 이수용량과 홍수조절용량, 사수용량과 비상용량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비활용용량은 댐 바닥에서부터 저수위(LWL)까지의 용량으로 정상적인 용수공급계획에는 포함되지 않는 용량이다. 비상방류구 아랫부분의 사수용량은 정상적인 이용이 불가능하다.
합천댐의 예비량은 가뭄 상황에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 합천댐의 적정 예비율은 현재 합천댐 비상용량 130백만 m3의 70%가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확보된 예비량을 이용한다면 일 생·공용수공급량 기준으로 64일의 추가 용수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군위댐의 경우 적정 예비율은 현재 군위댐 비상용량 1.
본 연구가 다목적댐의 비상용량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여 대비하고자 하는 상황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가뭄으로 인해 다목적댐의 이수용량만으로는 정상적인 용수공급이 불가능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다목적댐의 비상용량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저수지 모의운영 모형인 HEC-ResSim을 이용하여 낙동강수계의 안동-임하댐, 합천댐, 밀양댐, 군위댐, 김천부항댐을 대상으로 저수지 모의운영을 실시하였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극치가뭄 시나리오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RCP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ashimoto, T., Stcdinger, J. R., and Loucks, D. P. (1982).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criteria for water resource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8, No. 1, pp. 14-20. 

  2.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2007). HEC-ResSim : Reservoir System Simulation User's Manual. U.S. Army Crops of Engineers. 

  3.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eneva, Switzerland. 

  4. K-water (2016). Practical Manual of Dam Operation. 

  5. Lee, G. M., and Yi, J. E. (2012). "Analysis of emergency water supply effects of multipurpose dams using water shortage index."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11, pp. 1143-1156.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Dam water shortage contrast water supply adjustment standard.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Climate Change Adaptation for water Resources: CCAW Technical Report Division2 TR 2018-01. 

  8.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Dam design standard. 

  9. Moon, J. W., and Lee, D. R. (2009). "Emergency water supply effect on improvement of water supply capacity in multi-purpose dam."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2009 Convention, pp. 3386-3389. 

  10. Moy, W. S., Cohon, J. L., and ReVelle, C. (1986). "A programming model for analysis of the reliability,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of a water supply reservoir."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35, No. 6, pp. 414-425. 

  11. Srivastava, D. K., and Awchi, T. A. (2009). "Storage-Yield evaluation and operation of mula reservoir." Journal of Water Resources and Management, Vol. 135, No. 6, pp. 414-425. 

  12. Yoon, S. K., Kim, G. H., Yeo, K. D., and Shim, M. P. (2008). "A study on estimating emergency water supply benefits by dam."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2008 Convention, pp. 1540-15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