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의체 기반 가뭄 대응 대안 도출과 비전공유모형의 역할
Elicitation of drought alternatives based on Water Policy Council and the role of Shared Vision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6, 2019년, pp.429 - 440  

김기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서승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통합물관리연구실) ,  김영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로 인한 다년 가뭄은 전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충청남도에 위치한 보령댐 또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지속된 다년 가뭄으로 인해 큰 피해를 받았다. 다양한 가뭄 피해 저감 정책 설립 과정에 있어 일방적인 하향식 의사결정 과정을 바탕으로 진행된 정책은 이해당사자간의 갈등을 야기했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해당사자와 정책결정자들간의 참여형 의사결정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그룹으로 구성된 이해당사자의 참여를 독려하는 참여형 의사결정 방식 중 하나인 비전공유계획을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 물관리정책 협의회를 통해 체계적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비전공유계획의 핵심 요소인 비전공유모형을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으로 개발하였고, 총 3회의 소위원회를 거쳐 이해당사자의 요청사항에 맞추어 모형을 보완하였다. 구축한 모형을 활용하여 미래에 발생 가능한 가뭄의 위험을 포함하고 있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로 모의하였고, 보령댐과 보령댐 계통 지자체의 가뭄으로 인한 취약성을 빈도, 지속기간, 크기 개념의 평가지표로 표현하였다. 모의 결과, 용수 공급원인 보령댐은 용수 수급처인 지자체보다 가뭄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하며, 8개 지자체 중 가뭄 대응 대책이 주로 계획되어 있는 지역과 모의에서 추정한 가뭄 발생 지역이 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모의 결과를 향후 협의회 회의에서 이해당사자와 공유하고, 댐과 지자체의 입장에서 용수 부족을 해소할 방안을 모형에 적용함으로써 미래 정책 결정 및 갈등 해소를 위해 개발한 비전공유모형을 이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s of multi-year droughts due to climate change are increasing worldwide. Boryeong Dam, located in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was also affected by a 4-year drought from 2014 to 2017. Since traditional unilateral decision making processes to alleviate drought damage have, until now, res...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결과, 지자체 중심의 모형보다는 지자체들의 생·공용수 공급원인 보령댐 중심의 모형과 보령댐의 취약성을 분석할 수 있는 모형이 요구되었으며, 추가적인 대안을 반영한 모형 개발을 위한 자료를 공유하였다.
  • 장기적으로는, 생활용수의 경우 2018-2022년 동안 아산-홍성과 서산-태안을 연결하는 도·송수관로를 설치하고, 공업용수의 경우 대산임해산업지역 해수담수화 사업을 통해 충남 대산임해단지에 입주한 기업들의 공업용수 부족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설립하였다. 농업용수 부족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금강-예당지 농업용수 이용체계 재편 사업을 진행하여 예산군 농민들의 농업용수부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2016년 2월 완공되어 2016년 3월부터 가동되고 있는 보령댐 도수로를 K-water에서 설정한 운영기준에 맞추어 보령댐의 저수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거나 용수 사용자들이 필요하다고 요청할 때 회의를 통해 가동되도록 하였다(K-water, 2017).
  • 또한,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대안 중 하나인 백제보-보령댐 도수로를 모형에 포함하여 이후 회의에서는 도수로 운영을 대안으로 선택한 후 보령댐과 8개 시·군의 미래 가뭄 대응 대책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참여형 의사결정 과정 중 하나인 ‘비전공유계획(Shared Vision Planning)’을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 물관리정책 협의회」를 통하여 적용함으로써 보령댐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8개 시·군의 이해당사자와 정책결정자 간의 갈등을 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개발된 모형은 미래의 물수요 및 공급, 사회·경제 및 기후변화에 관련된 인자들을 도출하고 각 인자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구축하였다. 이후, 구축한 모형의 모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물수급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노력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장에서는 연구의 공간적 범위인 대상 유역과 모형에 반영한 가뭄 대응 대안을 서술하였다. 또한, 검증을 위해 사용된 과거 자료와 취약성 분석을 위해 사용된 미래 자료, 그리고 모형 구축 시 관측 수치과 모의 수치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정한 내용을 서술하였다.
  • 충남 수자원종합계획 수립용역 보고서(Chungcheongnam-do, 2015)에서 주어진 8개 시·군의 일평균 용수수요량과 과거 실공급량자료를 바탕으로 미래의 실공급량과 용수수요량 간의 비율을 계산한 후, 이를 이용하여 미래 예상 실공급량을 생성한 후 모형에 입력하였다. 미래 모의의 하천유지용수 및 농업용수 수요량은 2015년 자료와 동일하고, 보령댐 가뭄 대응단계 또한 과거 자료와 동일하다고 가정한 후 미래 모의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여형 의사결정 과정이 필요한 이유는? 기후변화로 인한 다년 가뭄은 전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충청남도에 위치한 보령댐 또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지속된 다년 가뭄으로 인해 큰 피해를 받았다. 다양한 가뭄 피해 저감 정책 설립 과정에 있어 일방적인 하향식 의사결정 과정을 바탕으로 진행된 정책은 이해당사자간의 갈등을 야기했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해당사자와 정책결정자들간의 참여형 의사결정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그룹으로 구성된 이해당사자의 참여를 독려하는 참여형 의사결정 방식 중 하나인 비전공유계획을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 물관리정책 협의회를 통해 체계적으로 적용하였다.
시스템 다이내믹스란? 시스템 다이내믹스는 1961년 미국 MIT의 Forrester가 산업공학에서 산업체 재고량과 노동력의 불안정한 변화, 시장점유율의 감소문제를 다룬 산업동태론을 발표하면서 경영학, 정책학, 공학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서의 의사결정 과정과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제안되었다(Forrester, 1961; 1969;1971). 시스템 다이내믹스는 동태적이고 순환적 인과관계의 시각(dynamic feedback perspective)으로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거나, 이러한 이해에 기초한 컴퓨터 모델을 구축하여 복잡한 인과관계로 구성된 현상이 어떻게 동태적으로 변해나가는지를 컴퓨터상에서 실험해 보는 방법론으로 정의된다(Moon, 2002). 이 기법은 주로 산업공학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2000년대 초반부터는 산업공학뿐만 아니라 공학분야,경영학, 사회과학 등의 타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사용되고 있다.
유입량과 수요량 시나리오로 모형에 사용되는 자료가 변경된 이유는? 초기 모형은 미래 물수지 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지자체별 용수 예측 수요량 자료를 사용하였으나, 수요량은 실사용량과 차이가 있어 왜곡된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이해당사자의의견을 반영하여 지자체별 생공용수 실사용량 자료를 대신 모형에 입력하였다. 실공급량 자료는 용수수요량보다 주로 작은 값을 가지며, 실제로 지자체가 상수도를 통하여 댐으로부터 공급받은 양을 측정한 자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hungcheongnam-do (2015). Comprehensive plan for water resources in Chungcheongnam-do. Chungcheongnam-do. pp. IV-20-IV-92. 

  2. Chungcheongnam-do (2016). Minutes for inaugural assembly climate change adaptation council in Chungcheongnam-do. Korean. 

  3. Chungcheongnam-do (2017). Altering the drought action for drought overcoming, accessed 21 Febuary 2019, . 

  4. Chungcheongnam-do (2018). Local water supply secure plan for diversification of districts. Korean. 

  5. Collins, W. J., Bellouin, N., Doutriaux-Boucher, M., Gedney, N., Halloran, P., Hinton, T., Hughes, J., Jones, C. D., Joshi, M., Liddicoat, S., Martin, G., O'Connor, F., Rae, J., Senior, C., Sitch, S., Totterdell, I., Wiltshire, A., and Woodward, S.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arth-System model-HadGEM2." Geoscientific Model Development, Vol. 4, pp. 1051-1075. 

  6. Davini, P., Cagnazzo, C., Fogli, P. G., Gualdi, S., and Navarra, A. (2014). "European blocking and Atlantic jet stream variability in the NCEP/NCAR reanalysis and the CMCC-CMS climate model." Climate Dynamics, Vol. 43, No. 1-2, pp. 71-85. 

  7. Dufresne, J.-L., Foujols, M.-A., Denvil, S., Caubel, A., Marti, O., Aumont, O., Balkanski, Y., Bekki, S., Bellenger, H., and Benshila, R. (2013). "Climate change projections using the IPSL-CM5 Earth System Model: from CMIP3 to CMIP5." Climate Dynamics, Vol. 40, No. 9-10, pp. 2123-2165. 

  8. Eum, H.-I., and Cannon, A. J. (2017). "Intercomparison of projected changes in climate extremes for South Korea: Application of trend preserving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s to the CMIP5 ensemble."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7, pp. 3381-3397. 

  9. Forrester (1961). Industrial dynamics. Cambridge, The MIT Press. 

  10. Forrester (1969). Urban dynamics. Cambridge, The MIT Press. 

  11. Forrester (1971). World dynamics. Cambridge, Wright-Allen Press. 

  12. Global Water Partnership (2018). Shared Vision Planning Approach Applied in Tisza River Basin, accessed 13 February 2019, . 

  13. Hashimoto, T., Loucks, D. P., and Stedinger, J. R. (1982). "Reliability, resiliency, robustness, and vulnerability: criteria for water resource system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8, No. 1, pp. 14-20. 

  14. Jeong, H.-O., Han, J.-I., and Park, S.-W. (2012). "Development of hydrological Shared Vision Model for conflict mediation of dam construc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10, pp. 1009-1022. 

  15. Jeong, W. H., and Kim, Y. I. (2017). Evaluation of Boryeong Dam water supply capacity and drought policy suggestions. ChungNam Report Vol. 278, ChungNam Institute, pp. 1-16. 

  16. Jeong, W. H., Rho, S. H., and Kim, Y. I. (2016). Evaluation of Boryeong Dam water supply capacity and drought action plan. Strategic Research 2016-33. Chungnam Institute. pp. 38-41. 

  17. Keyes, A. M., and Palmer, R. N. (1995). "An assessment of Shared Vision Model effectiveness in water resources planning." Proceedings from the 22nd Annual National Conference,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Division of ASCE, Cambridge, Massachusetts, May 1995, pp. 532-535. 

  18. K-water (2017). Boryeong Dam conduit operation standards. Korean. 

  19. Lee, K. S., and Chung, E. S. (2011). "Planning and implementation for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Republic of Korea. Vol. 50, No. 2, pp. 153-191. 

  2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6). National Water Supply Adjustment Standards. Korean. 

  21. Moon, T. H. (2002). "Issues and methodological status of system dynamics." Journal of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KSDS, Vol. 3, No. 1, pp. 61-77. 

  22. MyWater (2016). Test operations of drought forecast and future plans. MyWater Issue Report Vol. 2006-3. pp. 1-15. 

  23. MyWater (2019). K water, accessed 13 February 2019, . 

  24. Palmer, R. N., Keyes, A. M., and Fisher, S. (1993). "Empowering stakeholders through simulation in water resources planning." Proceedings of the 20th anniversary conference: Water management in the '90s. A time for innovation. ASCE, Seattle, Washington, pp. 451-454. 

  25. Richardson, G. P. (1999). "Reflections for the future of system dynamics." The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Society. ORS, Vol. 50, No. 4, pp. 440-449. 

  26. Ryu, J. N., Kang, H. S., Kim, M. A., and Shin, H. N. (2015). Review of water budget management methods using casual loop. Working Paper, 2015-12,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pp. 35-55. 

  27. Seo, S. B., and Kim, Y.-O. (2018). "Impact of spatial aggregation level of climate indicators on a national-level selection for representative climate change scenarios." Sustainability, Vol. 10, No. 7, pp. 2409. 

  28. Seo, S. B., Kim, Y.-O., Kim, Y., and Eum, H.-I. (2018). "Selecting climate change scenarios for regional hydrologic impact studies based on climate extreme indices." Climate Dynamics, Vol. 53, No. 3-4, pp. 1595-1611. 

  29. Sugawara, M. (1995). Tank model. in computer models of watershed hydrology.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Littleton, CO, USA. 

  30. United States Army Corps of Engineers (USACE) (2010). How to conduct a shared vision planning process. IWR Report 10-R-6. Alexandria, Virginia, pp. 1-8. 

  31. Walker, W. E., Mayer, I. S., and Hagen, E. R. (2010). "Shared vision planning as policy analysis: Opportunities for shared learning and methodological innovation." Proceedings from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Congress 2010. EWRI, Providence, Rhode Island, pp. 2204-2222. 

  32. Wang, X. (2013). A dynamic water balance model for drought management: A case study of the Invitational Drought Tournament. M. S. dissertation,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Alberta, Canada, pp. 45-51. 

  33. Watanabe, S., Hajima, T., Sudo, K., Nagashima, T., Takemura, T., Okajima, H., Nozawa, T., Kawase, H., Abe, M., Yokohata, T., Ise, T., Sato, H., Kato, E., Takata, K., Emori, S., and Kawamiya, M. (2011). "MICROC-ESM 2010: model description and basic results of CMIP5-20c3m experiments." Geoscientific Model Development, Vol. 4, pp. 845-872. 

  34. Werick, W. (2000). "The future of shared vision planning." Joint Conference in Water Resources Engineering and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2000, ASCE, Minneapolis, MN. 

  35. Wu (2012). "A mass-flux cumulus parametrization scheme for large-scale models: description and test with observations." Climate Dynamics, Vol. 38, No. 3-4, pp. 725-744. 

  36. Xi, X., and Kim, L. P. (2013). "Using system dynamics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Singapore." Procedia Computer Science, Atlanta, Vol. 16, pp. 157-1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