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증치매 노인을 위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4 no.4, 2018년, pp.95 - 100  

이재홍 (대구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이관섭 (대구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이진환 (대구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경증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프로그램의 적용이 인지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경증치매를 가진 환자를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실험대상자들은 6주간 주3회 인지기능 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검사(MMSE-K) 를 통해 실험전과 실험 후의 값을 평가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는 실험대상자들에서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의 평균이 증가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따라서, 경증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지기능재활 프로그램은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을 개선하기위한 효과적인 중재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programs on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mild dementia. The subjects were 30 patients with mild dementia. The subjects were applied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three times a week for 6 weeks and analyze...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것은 전산화 인지 훈련을 통해 시각정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 직접적인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친 다고 하였다[2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매환자에게 인지기능 증진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치매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를 보면 Hwang등의 연구에서는 4주간 혈관성 치매환자 12명에게 전산화 인지치료를 중재하여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이 높게 나타난 연구결과를 확인하였으며[27], 강진호[28]의 연구에서는 전산화 인지 치료가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고 보고하였고, 정원미 등[29]은 전산화 재활프로그램이 자극 인식력, 새로운 과제 대한 기억·회상과정, 언어적 표현 및 계획에 따라 적절히 수행하는 과정 등을 요구하여, 이러한 과정들이 반복되어 주의력과 기억력같은 인지기능이 변화되고 일상생활에서의 처리 기술이 변화함에 따라, 직접적인 인지기능의 변화뿐 아니라 인지기능의 변화로 일상생활에서의 수행기술의 변화까지도 확인 할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 따라서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유지 및 향상을 위한 중재 및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매환자에게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수단적 일상 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치매환자의 인지치료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치매환자에게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물치료는 무엇인가? 치매환자의 치료적 중재 방법을 통한 인지기능과 일상 생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약물치료와 비약물 요법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약물치료로는 아세틸 콜린 분해효소 억제제(acetylcholin esterase inhibitors)와 글루타민 수용체 억제제(N - metyl - D - aspartate receptor antagonist)가 임상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12]. 그러나 약물치료의 적용만으로는 치매환자의 일상 생활능력과 인지기능 저하의 진행을 막을 수 없으므로, 인지재활치료 등을 이용한 다양한 비약물 요법이 부가적인 치료로 활용되고 있다[13].
치매는 무엇인가? 치매는 인지기능과 함께 일상 생활능력이 저하된 상태로 노인인구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신경계 퇴행성 질환이며, 이러한 인지능력의 손상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요소가 된다[9]. 치매의 유병률은 65세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여 80세 이후에는 두 명의 한 사람 꼴로 발생한다고 알려지고 있으며[10], 치매환자는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감소 그리고 각종 정신행동증상으로 인하여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나 기회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11].
인지재활 증진프로그램은 경증 치매 환자에게 어떤 결과를 불러오는가?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인지재활 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한 중재는 경증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인지기능의 증가를 통해 일상생활의 수행능력의 증가를 통한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는 앞으로 재활·요양병원에서 치매환자에게 단순 히 신체적 접근만을 강조하기 보다는 인지적 접근도 병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e JH. Effects of Self Taping Therapy on Knee Pain and Physical Functionsin Older Adult.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4(1), 33-39, 2018. 

  2. Statistics Korea. Statistics for the elderly, 2001. 

  3. Statistics Korea. Statistics for the elderly, 2016. 

  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Prevalence of dementia. 2008. 

  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2012, 2013. 

  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Prevalence of dementia, 2012. 

  7. Cunningham C, Archibald C. Supproting people dementia in acute hospital settings. Nursing Standard, 20(43), 51-55, 2006. https://doi.org/10.7748/ns2006.07.20.43.51.c6557 

  8. Yuill N, Hollis V. A systematic review of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for older adults with mild to moderate dementia: a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Occup Ther Int., 18, 163-86, 2011. https://doi.org/10.1002/oti.315 

  9. Lee H S,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Stroke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Vol.6 No.3 44-52. 2018. 

  10. Lautenschlager NT, Almeida OP.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on in old age. Current Opinions in Psychiatry, 19(2), 190-193, 2006. https://doi.org/10.1097/01.yco.0000214347.38787.37 

  11. Kielhofner G. A model of human occupational theory and application.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2. 

  12. Ritchie CW, Ames D, Clayton T et al.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donepezil, galantamine and rivastigmine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2, 358-368, 2004. https://doi.org/10.1097/00019442-200407000-00003 

  13. Schecker M, Pimay-Dummer P, Schmidtke K et al. Cognitive interventions in mild Alzheimer's disease: a therapy evaluation study on the intervention of medication and cognitive treatment.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Extra, 24, 301-311, 2013. https://doi.org/10.1159/000354190 

  14. Gold DA. An examination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essment in older adults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 34(1), 11-34, 2012. https://doi.org/10.1080/13803395.2011.614598 

  15. Felicia CC, Dale CS, John LW et al. Functional outcome of cognitively impaired hip fracture patients on a geriatric rehabilitation unit.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5(1), 35-42, 1997. https://doi.org/10.1111/j.1532-5415.1997.tb00975.x 

  16. Yoo KS. A Study on Measures for Welfare Service Activation.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7(1), 111-129, 2012. 

  17. Jeong WM, Lee DY, Ryu SH. Focused Effects of a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 Focu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6(4), 1-17, 2008. 

  18. Oh BH., Kim YK, Kim JH, Shin YS.. Effects of a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2(4), 514-519, 2003. 

  19. Lee YN, Park JH, Lim KM.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with Physical Exercise on Demented old Adult's Executive Fun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5), 322-331, 2013. 

  20. Egger A, Crismon L, Ereshefsky L. Alzheimer's disease in pharmacotherapy; a pathophysiologic approach New York: Elservier Science Publishing. 1996. 

  21. Roger B, Garry H. Realistic Extectations: The management of Severe Alzheimer Disease. Alzheimer Disease & Association Disorder, 17(3), 80-85., 2003. https://doi.org/10.1097/00002093-200307003-00004 

  22. Kim SY. Deprssion in dementia.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 3(1), 18-23, 2004. 

  23. Wheatley C. Evaluation and treatment of cognitive dysfuncti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456-491, 2001. 

  24. Cho YN. The Effects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ation on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ost-stroke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Deagu University, Daegu. 2010. 

  25. Scheiman M. Optometric model of vision, part thress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In M. Scheiman(Ed), Understanding and managing vision deficits: A guide for occupational therapists. Thorofare, New York: SLACK Inc. pp93-112, 1997. 

  26. Miller J. Discrete versus continuous stage models of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in search of partial output. Journal of Experimental Phyc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8(2), 273-296, 1982. https://doi.org/10.1037/0096-1523.8.2.273 

  27. Hwang KO, Lee HJ. The effects of computer-based Attention Programs on Cognition and Executive Function in Elderly with Vascular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grative Medicine, 2(2), 13-20, 2014. 

  28. Kang JH. Effect of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ild Dementia. The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8(2), 2016. 

  29. Jeong WM., Hwang YJ, Yoon JC. Effects of a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coiety, 30(1), 127-140,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